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9331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추어탕의 맛」(시인 조용미)   2009년 7월 13일





 





아버지는 추어탕을 좋아하셨다. 초등학교 시절, 학교에 다녀와 마당의 넓적한 다라에 빽빽하게 담겨 꼬리를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는 미끈미끈한 미꾸라지들을 보게 되는 날이면 그 날 저녁은 밥상에 추어탕이 올라왔다. 그 날은 대개 외할머니나 삼촌, 고모가 오는 날과 겹쳤다. 추어탕은 뭔가 특별한 날 만들어 먹는 음식이었다. 하지만 어머니가 직접 끓여 주시는 추어탕을 먹는 일은 우리 가족이 지방의 도시에 살던 초등학교 6학년 때까지였고, 서울로 오게 되면서 추어탕을 밥상에서 만나게 되는 일은 사라졌다. 대신 친구의 집에 가서 무가 떠 있는 맑은 닭국과 밀가루 수제비가 들어간 이상한 서울식 매운탕을 처음 맛보았다.


 


음식에 대한 기호란 어떤 것일까. 그것은 엄밀한 의미에서 맛이 아닌 기억에 의해 좌우되는 건 아닐까. 아무리 생각해 봐도 기억이다, 기억이 먼저고 맛이 다음이다. 맛은 기억을 당해 낼 수 없다.


 


어릴 때 추어탕을 좋아했는지 모르겠다. 하지만 나이가 들고 나서는 신기하게도 어릴 때는 싫어했던 청국장이며 비지찌개, 그리고 입에서 불이 날 정도로 매운 청양고추가 듬뿍 들어간 부추전 같은 음식을 찾게 되었다. 모두 아버지께서 좋아하시던 것들이다.


 


내 혀와 코와 눈에 각인된 추어탕의 맛은 서른을 넘어서면서부터 되살아난 것 같다. 아버지를 모시고 여기저기 추어탕을 먹으러 다녔지만 제대로 된 경상도식 추어탕을 먹을 수 있는 곳은 거의 없었다. 음식점을 나설 때면 늘 옛 맛을 그리워하는 아쉬운 소리를 입에 담았다.


 


추어탕 맛에 대한 나의 까다로움은 돌이켜보니 아버지가 돌아가시고 난 뒤부터였다. 그때부터 어지간히 이름 있는 추어탕집은 물론 허름한 식당도 추어탕이란 메뉴가 들어 있으면 다 가보게 되었다. 한때는 매콤하고 걸쭉한 맛이 나는 남원식 추어탕을 자주 먹기도 했다. 그러나 맛으로 정평이 나 있는 원주식 추어탕, 남원식 추어탕도 그저 좋은 정도일 뿐 내 입맛을 만족시키진 못했다. 그래서 경상도식 추어탕이 그리울 때면 고향에 들렀다가 추어탕을 먹기 위해 청도까지 내려가기도 했다.


 


아주 마음에 드는 맛있는 음식을 먹게 되었을 때 사람들은 이렇게 말하곤 한다. 아, 이건 옛날에 우리 어머니가 해 주시던 바로 그 맛이야! 기억을 만난 것이다. 내 혀에 각인된 추억이 맛을 통해 확 살아나는 순간, 그때 우리는 가장 맛있는 음식을 먹는 것이다.


 


몸이 많이 아파 밥을 차려먹기가 힘들 때 가장 먼저 생각나는, 좋은 사람과 친해지기 위해 왠지 함께 먹어 보아야 할 것 같은, 어떤 이와 함께 먹으면 목이 메는, 그러나 들키지 않으려고 헛헛한 숟가락질을 하다 보면 한 그릇을 다 비우게 되는 음식. 이 정도면 추어탕 예찬이다.






















■ 필자 소개


 




조용미(시인)


1962년 경북 고령에서 태어나, 1990년 《한길문학》으로 등단했다. 시집 『불안은 영혼을 잠식한다』『일만 마리 물고기가 山을 날아오르다』『삼베옷을 입은 자화상』『나의 별서에 핀 앵두나무는』가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風文 2023.02.04 14016
공지 친구야 너는 아니 1 風文 2015.08.20 103414
2810 첫눈에 반한 사랑 風文 2023.04.16 795
2809 바쁘다는 것은 風文 2023.04.13 874
2808 혈당 관리가 중요한 이유 風文 2023.04.13 864
2807 나의 음악 레슨 선생님 風文 2023.04.07 928
2806 곡지(曲枝)가 있어야 심지(心志)도 굳어진다 風文 2023.04.06 741
2805 씨앗 뿌리는 사람이 많을수록 風文 2023.04.03 832
2804 '멋진 할머니'가 되는 꿈 風文 2023.04.03 810
2803 하나만 아는 사람 風文 2023.04.03 850
2802 요즘 어떻게 지내세요? 風文 2023.03.29 933
2801 아버지가 수없이 가르친 말 風文 2023.03.29 1024
2800 다락방의 추억 風文 2023.03.25 771
2799 어린 시절 부모 관계 風文 2023.03.25 1034
2798 진실이면 이긴다 風文 2023.03.25 738
2797 세상을 만나는 방식 風文 2023.03.17 1552
2796 자부심과 자만심의 차이 風文 2023.03.16 956
2795 광고의 힘 風文 2023.03.14 958
2794 탐험가들의 철저한 준비 風文 2023.03.10 974
2793 그냥 들어주자 風文 2023.03.09 1227
2792 실수에 대한 태도 風文 2023.03.08 809
2791 생각은 쉴 새 없이 움직인다 風文 2023.03.07 506
2790 삶의 모든 것은 글의 재료 風文 2023.03.04 589
2789 '나'는 프리즘이다 風文 2023.03.02 806
2788 습득하는 속도 風文 2023.02.28 685
2787 우리 삶이 올림픽이라면 風文 2023.02.25 788
2786 꽉 쥐지 않기 때문이다 風文 2023.02.24 62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122 Next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