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9394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추어탕의 맛」(시인 조용미)   2009년 7월 13일





 





아버지는 추어탕을 좋아하셨다. 초등학교 시절, 학교에 다녀와 마당의 넓적한 다라에 빽빽하게 담겨 꼬리를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는 미끈미끈한 미꾸라지들을 보게 되는 날이면 그 날 저녁은 밥상에 추어탕이 올라왔다. 그 날은 대개 외할머니나 삼촌, 고모가 오는 날과 겹쳤다. 추어탕은 뭔가 특별한 날 만들어 먹는 음식이었다. 하지만 어머니가 직접 끓여 주시는 추어탕을 먹는 일은 우리 가족이 지방의 도시에 살던 초등학교 6학년 때까지였고, 서울로 오게 되면서 추어탕을 밥상에서 만나게 되는 일은 사라졌다. 대신 친구의 집에 가서 무가 떠 있는 맑은 닭국과 밀가루 수제비가 들어간 이상한 서울식 매운탕을 처음 맛보았다.


 


음식에 대한 기호란 어떤 것일까. 그것은 엄밀한 의미에서 맛이 아닌 기억에 의해 좌우되는 건 아닐까. 아무리 생각해 봐도 기억이다, 기억이 먼저고 맛이 다음이다. 맛은 기억을 당해 낼 수 없다.


 


어릴 때 추어탕을 좋아했는지 모르겠다. 하지만 나이가 들고 나서는 신기하게도 어릴 때는 싫어했던 청국장이며 비지찌개, 그리고 입에서 불이 날 정도로 매운 청양고추가 듬뿍 들어간 부추전 같은 음식을 찾게 되었다. 모두 아버지께서 좋아하시던 것들이다.


 


내 혀와 코와 눈에 각인된 추어탕의 맛은 서른을 넘어서면서부터 되살아난 것 같다. 아버지를 모시고 여기저기 추어탕을 먹으러 다녔지만 제대로 된 경상도식 추어탕을 먹을 수 있는 곳은 거의 없었다. 음식점을 나설 때면 늘 옛 맛을 그리워하는 아쉬운 소리를 입에 담았다.


 


추어탕 맛에 대한 나의 까다로움은 돌이켜보니 아버지가 돌아가시고 난 뒤부터였다. 그때부터 어지간히 이름 있는 추어탕집은 물론 허름한 식당도 추어탕이란 메뉴가 들어 있으면 다 가보게 되었다. 한때는 매콤하고 걸쭉한 맛이 나는 남원식 추어탕을 자주 먹기도 했다. 그러나 맛으로 정평이 나 있는 원주식 추어탕, 남원식 추어탕도 그저 좋은 정도일 뿐 내 입맛을 만족시키진 못했다. 그래서 경상도식 추어탕이 그리울 때면 고향에 들렀다가 추어탕을 먹기 위해 청도까지 내려가기도 했다.


 


아주 마음에 드는 맛있는 음식을 먹게 되었을 때 사람들은 이렇게 말하곤 한다. 아, 이건 옛날에 우리 어머니가 해 주시던 바로 그 맛이야! 기억을 만난 것이다. 내 혀에 각인된 추억이 맛을 통해 확 살아나는 순간, 그때 우리는 가장 맛있는 음식을 먹는 것이다.


 


몸이 많이 아파 밥을 차려먹기가 힘들 때 가장 먼저 생각나는, 좋은 사람과 친해지기 위해 왠지 함께 먹어 보아야 할 것 같은, 어떤 이와 함께 먹으면 목이 메는, 그러나 들키지 않으려고 헛헛한 숟가락질을 하다 보면 한 그릇을 다 비우게 되는 음식. 이 정도면 추어탕 예찬이다.






















■ 필자 소개


 




조용미(시인)


1962년 경북 고령에서 태어나, 1990년 《한길문학》으로 등단했다. 시집 『불안은 영혼을 잠식한다』『일만 마리 물고기가 山을 날아오르다』『삼베옷을 입은 자화상』『나의 별서에 핀 앵두나무는』가 있다.


  1. No Image notice by 風文 2023/02/04 by 風文
    Views 16461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2. 친구야 너는 아니

  3. 「웃는 여잔 다 이뻐」(시인 김소연)

  4. No Image 30Jun
    by 바람의종
    2009/06/30 by 바람의종
    Views 5170 

    마중물

  5. No Image 30Jun
    by 바람의종
    2009/06/30 by 바람의종
    Views 7258 

    「화들짝」(시인 김두안)

  6. No Image 01Jul
    by 바람의종
    2009/07/01 by 바람의종
    Views 5346 

    가장 사랑하는 사람을 가장 잘 안다

  7. No Image 06Jul
    by 바람의종
    2009/07/06 by 바람의종
    Views 6094 

    결정적 순간

  8. No Image 06Jul
    by 바람의종
    2009/07/06 by 바람의종
    Views 7863 

    「"에라이..."」(시인 장무령)

  9. No Image 06Jul
    by 바람의종
    2009/07/06 by 바람의종
    Views 8026 

    「광진이 형」(시인 김두안)

  10. No Image 06Jul
    by 바람의종
    2009/07/06 by 바람의종
    Views 7727 

    "내 말을 귓등으로 흘려요"

  11. 찰떡궁합

  12. No Image 06Jul
    by 바람의종
    2009/07/06 by 바람의종
    Views 4922 

    길 떠날 준비

  13. No Image 06Jul
    by 바람의종
    2009/07/06 by 바람의종
    Views 4925 

    일상의 가치

  14. No Image 06Jul
    by 바람의종
    2009/07/06 by 바람의종
    Views 7888 

    「엉뚱스러운 문학교실」(시인 김종태)

  15. No Image 06Jul
    by 바람의종
    2009/07/06 by 바람의종
    Views 9409 

    「2호차 두 번째 입구 옆자리」(시인 차주일)

  16. No Image 07Jul
    by 바람의종
    2009/07/07 by 바람의종
    Views 4078 

    비가 내리지 않는 하늘은 없다

  17. No Image 08Jul
    by 바람의종
    2009/07/08 by 바람의종
    Views 7710 

    「세상에 없는 범죄학 강의」(시인 최치언)

  18. No Image 09Jul
    by 바람의종
    2009/07/09 by 바람의종
    Views 5621 

    그가 부러웠다

  19. No Image 09Jul
    by 바람의종
    2009/07/09 by 바람의종
    Views 4412 

    우리가 눈물을 흘리는 이유

  20. No Image 09Jul
    by 바람의종
    2009/07/09 by 바람의종
    Views 7065 

    「만두 이야기_1」(시인 최치언)

  21. No Image 10Jul
    by 바람의종
    2009/07/10 by 바람의종
    Views 6669 

    「만두 이야기_2」(시인 최치언)

  22. No Image 10Jul
    by 바람의종
    2009/07/10 by 바람의종
    Views 4711 

    먹는 '식품'이 큰 문제

  23. No Image 10Jul
    by 바람의종
    2009/07/10 by 바람의종
    Views 7985 

    「내 말이 그렇게 어려운가요」(시인 조용미)

  24. No Image 12Jul
    by 바람의종
    2009/07/12 by 바람의종
    Views 4362 

    내가 세상에 남기는 것

  25. No Image 13Jul
    by 바람의종
    2009/07/13 by 바람의종
    Views 5708 

    청년의 가슴은 뛰어야 한다

  26. No Image 13Jul
    by 바람의종
    2009/07/13 by 바람의종
    Views 9394 

    「추어탕의 맛」(시인 조용미)

  27. No Image 14Jul
    by 바람의종
    2009/07/14 by 바람의종
    Views 7015 

    작은 사치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122 Next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