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7960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내 말이 그렇게 어려운가요」(시인 조용미)   2009년 7월 10일





 





시인과 소설가는 동류인 줄 알았다. 사실 그렇기도 하지만 동류도 아주 다른, 이보다 더 다를 수는 없는 동류다. 일상은 시의 적인가. 시는 정말 일상의 반대편에 서 있기만 한 것인가.


 


특별히 가까이 지내본 소설가가 없어서 나는 소설가나 시인이나 같은 글쟁이이므로 동일한 안테나를 소유하고 있는 사람들로 생각했다. 그러나 몇 안 되지만 내가 겪어 본 바로, 우리는 같은 동네에만 살지 집의 크기도, 위치도, 창문의 방향도 거의 다른 곳을 향하고 있는 사람들임을 어렵지 않게 알게 되었다.


 


외국인과의 결혼 뒤에는 영주권이 있고, 이방인에 대한 견제 뒤에는 국수주의가 있고, 고슴도치의 털 뒤에는 우아함이 있다지만, 시의 뒤에는 시인이 있고, 시인의 뒤에도 시가 있을 뿐이다.


 


얼마 전에 소설 쓰는 후배를 만나기로 했다. 만날 장소로 나가려다 아무래도 장소를 변경해야 할 것 같아서, 약속시간이 한 시간밖에 남아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대방에게 조금 다급한 마음으로 문자메시지를 보냈다.


 


<그쪽엔 아는 식당이 없어. 인사동에서 만나 삼청동 쪽으로 가야겠어. 그 건너편 저쪽으로‥> 약간의 불안감은 있지만 나는 우리가 움직일 동선이며 만날 장소를 눈앞에 그리며 또박또박 문자를 눌렀다. 조금 지난 후에 답이 왔다. <네. 종로경찰서 길 건너편 삼청동 입구에서 뵐게요.> 몸에 착 감기는 것 같은 답이라 얼른 문자를 보냈다. <맞아. 바로 내가 표현하려던 말이야. 곧 보도록 하자.>


 


그 날 후배가 만나서 한 말을 옮겨 보자면 이렇다. “저는 선배님 문자 받고 설마 이 메시지가 끝은 아니겠지 하고 다음 문자를 기다렸어요. 그런데 더 이상 문자가 없어서, 설마하던 마음을 포기하고 답을 드렸어요. 그런데, 맞아 바로 이게 내가 표현하려던 그 말이었다니. 어휴, 선배님 저니까 이 말을 알아 들었지 다른 사람 같으면 어림도 없어요.” 그동안 내 화법에 약간이나마 단련이 되어 말을 알아 들은 거라는, 그런 요지의 말이었다. 나는 이해할 수 없다는 표정으로 후배에게 말했다. “아니, 그, 건너편, 거기다 저쪽이라고까지 했으니 그보다 더 정확한 말이 어디 있어? 너는 어쩌면 그렇게도 말을 정확하게 할 수 있는지 부러워. 역시 소설가는 다르구나.”


 


운전 중인 누군가에게 전화로 길을 알려 줄 일이 있었다. 나는 친절하게 성심을 다해 설명했다. “거기서 앞을 쭉 바라보면 나무들 중에 유난히 녹색빛이 짙은 나무가 한 그루 있는데 거기서 우회전하면 돼.” 상대방은 못 참겠다는 듯 버럭 화를 냈다. 운전 중인 사람에게 그렇게 설명을 하면 도대체 어떻게 하라는 거냐고. 후배에게 며칠 후 이메일을 받았는데 끝이 이랬다. ‘선배님 말씀을 신통하게도 잘 알아 듣는 후배 OO 올림’






















■ 필자 소개


 




조용미(시인)


1962년 경북 고령에서 태어나, 1990년 《한길문학》으로 등단했다. 시집 『불안은 영혼을 잠식한다』『일만 마리 물고기가 山을 날아오르다』『삼베옷을 입은 자화상』『나의 별서에 핀 앵두나무는』가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風文 2023.02.04 14493
공지 친구야 너는 아니 1 風文 2015.08.20 103938
2485 슬픔의 다음 단계 윤안젤로 2013.03.07 7719
2484 창조 에너지 風文 2014.11.24 7717
2483 작은 것에서부터 바람의종 2012.07.30 7714
2482 청춘의 권리 風文 2014.12.28 7714
2481 진정한 감사 風文 2014.12.16 7710
2480 자랑스런 당신 바람의종 2008.12.23 7708
2479 소금과 호수 바람의종 2008.03.18 7706
2478 오해 윤안젤로 2013.03.13 7706
2477 다 이루었기 때문이 아니다 바람의종 2012.11.14 7704
2476 나는 걸었다 윤안젤로 2013.04.19 7702
2475 사람은 '일회용'이 아니다 바람의종 2012.06.19 7697
2474 지하철에서 노인을 만나면 무조건 양보하라 바람의종 2008.05.22 7693
2473 「세상에 없는 범죄학 강의」(시인 최치언) 바람의종 2009.07.08 7688
2472 작은 상처, 큰 상처 風文 2015.08.09 7687
2471 "내 말을 귓등으로 흘려요" 바람의종 2009.07.06 7681
2470 세상을 사는 두 가지의 삶 바람의종 2008.03.14 7675
2469 「헤이맨, 승리만은 제발!」(소설가 함정임) 바람의종 2009.06.17 7670
2468 좋은 디자인일수록... 風文 2014.12.13 7666
2467 도덕적인 것 이상의 목표 바람의종 2012.06.18 7664
2466 그 아이는 외로울 것이며... 風文 2014.12.30 7661
2465 '명품 사람' 風文 2015.04.28 7655
2464 역설의 진리 - 도종환 바람의종 2008.07.21 7654
2463 진짜 그대와 만날 때... 風文 2015.04.20 7654
2462 매뉴얼 風文 2015.01.14 7648
2461 「비명 소리」(시인 길상호) 바람의종 2009.07.15 764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122 Next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