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7995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내 말이 그렇게 어려운가요」(시인 조용미)   2009년 7월 10일





 





시인과 소설가는 동류인 줄 알았다. 사실 그렇기도 하지만 동류도 아주 다른, 이보다 더 다를 수는 없는 동류다. 일상은 시의 적인가. 시는 정말 일상의 반대편에 서 있기만 한 것인가.


 


특별히 가까이 지내본 소설가가 없어서 나는 소설가나 시인이나 같은 글쟁이이므로 동일한 안테나를 소유하고 있는 사람들로 생각했다. 그러나 몇 안 되지만 내가 겪어 본 바로, 우리는 같은 동네에만 살지 집의 크기도, 위치도, 창문의 방향도 거의 다른 곳을 향하고 있는 사람들임을 어렵지 않게 알게 되었다.


 


외국인과의 결혼 뒤에는 영주권이 있고, 이방인에 대한 견제 뒤에는 국수주의가 있고, 고슴도치의 털 뒤에는 우아함이 있다지만, 시의 뒤에는 시인이 있고, 시인의 뒤에도 시가 있을 뿐이다.


 


얼마 전에 소설 쓰는 후배를 만나기로 했다. 만날 장소로 나가려다 아무래도 장소를 변경해야 할 것 같아서, 약속시간이 한 시간밖에 남아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대방에게 조금 다급한 마음으로 문자메시지를 보냈다.


 


<그쪽엔 아는 식당이 없어. 인사동에서 만나 삼청동 쪽으로 가야겠어. 그 건너편 저쪽으로‥> 약간의 불안감은 있지만 나는 우리가 움직일 동선이며 만날 장소를 눈앞에 그리며 또박또박 문자를 눌렀다. 조금 지난 후에 답이 왔다. <네. 종로경찰서 길 건너편 삼청동 입구에서 뵐게요.> 몸에 착 감기는 것 같은 답이라 얼른 문자를 보냈다. <맞아. 바로 내가 표현하려던 말이야. 곧 보도록 하자.>


 


그 날 후배가 만나서 한 말을 옮겨 보자면 이렇다. “저는 선배님 문자 받고 설마 이 메시지가 끝은 아니겠지 하고 다음 문자를 기다렸어요. 그런데 더 이상 문자가 없어서, 설마하던 마음을 포기하고 답을 드렸어요. 그런데, 맞아 바로 이게 내가 표현하려던 그 말이었다니. 어휴, 선배님 저니까 이 말을 알아 들었지 다른 사람 같으면 어림도 없어요.” 그동안 내 화법에 약간이나마 단련이 되어 말을 알아 들은 거라는, 그런 요지의 말이었다. 나는 이해할 수 없다는 표정으로 후배에게 말했다. “아니, 그, 건너편, 거기다 저쪽이라고까지 했으니 그보다 더 정확한 말이 어디 있어? 너는 어쩌면 그렇게도 말을 정확하게 할 수 있는지 부러워. 역시 소설가는 다르구나.”


 


운전 중인 누군가에게 전화로 길을 알려 줄 일이 있었다. 나는 친절하게 성심을 다해 설명했다. “거기서 앞을 쭉 바라보면 나무들 중에 유난히 녹색빛이 짙은 나무가 한 그루 있는데 거기서 우회전하면 돼.” 상대방은 못 참겠다는 듯 버럭 화를 냈다. 운전 중인 사람에게 그렇게 설명을 하면 도대체 어떻게 하라는 거냐고. 후배에게 며칠 후 이메일을 받았는데 끝이 이랬다. ‘선배님 말씀을 신통하게도 잘 알아 듣는 후배 OO 올림’






















■ 필자 소개


 




조용미(시인)


1962년 경북 고령에서 태어나, 1990년 《한길문학》으로 등단했다. 시집 『불안은 영혼을 잠식한다』『일만 마리 물고기가 山을 날아오르다』『삼베옷을 입은 자화상』『나의 별서에 핀 앵두나무는』가 있다.


  1.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Date2023.02.04 By風文 Views16867
    read more
  2. 친구야 너는 아니

    Date2015.08.20 By風文 Views106361
    read more
  3. 「웃는 여잔 다 이뻐」(시인 김소연)

    Date2009.06.29 By바람의종 Views9428
    Read More
  4. 마중물

    Date2009.06.30 By바람의종 Views5178
    Read More
  5. 「화들짝」(시인 김두안)

    Date2009.06.30 By바람의종 Views7262
    Read More
  6. 가장 사랑하는 사람을 가장 잘 안다

    Date2009.07.01 By바람의종 Views5347
    Read More
  7. 결정적 순간

    Date2009.07.06 By바람의종 Views6100
    Read More
  8. 「"에라이..."」(시인 장무령)

    Date2009.07.06 By바람의종 Views7867
    Read More
  9. 「광진이 형」(시인 김두안)

    Date2009.07.06 By바람의종 Views8034
    Read More
  10. "내 말을 귓등으로 흘려요"

    Date2009.07.06 By바람의종 Views7742
    Read More
  11. 찰떡궁합

    Date2009.07.06 By바람의종 Views5867
    Read More
  12. 길 떠날 준비

    Date2009.07.06 By바람의종 Views4926
    Read More
  13. 일상의 가치

    Date2009.07.06 By바람의종 Views4929
    Read More
  14. 「엉뚱스러운 문학교실」(시인 김종태)

    Date2009.07.06 By바람의종 Views7895
    Read More
  15. 「2호차 두 번째 입구 옆자리」(시인 차주일)

    Date2009.07.06 By바람의종 Views9413
    Read More
  16. 비가 내리지 않는 하늘은 없다

    Date2009.07.07 By바람의종 Views4083
    Read More
  17. 「세상에 없는 범죄학 강의」(시인 최치언)

    Date2009.07.08 By바람의종 Views7727
    Read More
  18. 그가 부러웠다

    Date2009.07.09 By바람의종 Views5627
    Read More
  19. 우리가 눈물을 흘리는 이유

    Date2009.07.09 By바람의종 Views4418
    Read More
  20. 「만두 이야기_1」(시인 최치언)

    Date2009.07.09 By바람의종 Views7070
    Read More
  21. 「만두 이야기_2」(시인 최치언)

    Date2009.07.10 By바람의종 Views6678
    Read More
  22. 먹는 '식품'이 큰 문제

    Date2009.07.10 By바람의종 Views4716
    Read More
  23. 「내 말이 그렇게 어려운가요」(시인 조용미)

    Date2009.07.10 By바람의종 Views7995
    Read More
  24. 내가 세상에 남기는 것

    Date2009.07.12 By바람의종 Views4368
    Read More
  25. 청년의 가슴은 뛰어야 한다

    Date2009.07.13 By바람의종 Views5719
    Read More
  26. 「추어탕의 맛」(시인 조용미)

    Date2009.07.13 By바람의종 Views9407
    Read More
  27. 작은 사치

    Date2009.07.14 By바람의종 Views7018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122 Next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