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7051 추천 수 1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만두 이야기_1」(시인 최치언)   2009년 7월 8일





 





만두와 애인 중 하나를 선택하라면 전 만두를 택합니다. 애인을 팔아서 만두를 더 사먹을 수 있다면 하이힐로 처맞더라도 그렇게 할 겁니다.


 


군대 말년이던가요? 면회 온 졸따구의 어머니가 찬합 가득 만두를 싸 온 겁니다. 그래, 한 손에는 만두 찬합 들고 한 손에는 꽃을 꺾어들고, 졸따구와 저는 다정히 부대 뒷산으로 올라갔죠. 저 반 먹고 졸따구 반 먹자고 말하고 우선 나무 위에 졸따구 먼저 올라가 망을 보라고 했습니다. 행여 만두 냄새를 맡고 전 부대원들이 개 떼처럼 달려들지 모르는 일이니까요. 꽤 큰 나무라서 졸따구를 무등 태워 올려 줬죠. 멀리 뻐꾹새는 봄날을 노래하지, 찬합 속의 만두는 그득하지, 졸따구는 만두 하나만 달라고 나무 위에서 애타게 울어 대지. 시절 참 좋았습니다. 그런데 그때 비상 사이렌이 울리는 겁니다. 처음엔 행정병이 졸다가 방송 스위치를 잘못 조작한 거라고 생각했죠. 근데, 졸따구가 나무 위에서 저를 슬픈 까마귀처럼 쳐다보는 겁니다. 슬쩍 연병장을 보니까 장난이 아니었죠. 실제로 비상이 떨어진 겁니다. 연병장에 개 떼처럼 부대원들이 집합하고 있었죠. “이런 말년에 새 됐다.” 새 된 건 저만이 아니었어요. 얼결에 저 혼자 산을 내려오는 바람에 졸따구 녀석은 나무 위에서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꼼짝없이 나무에 갇혀 버린 꼴이 된 것이죠. 명심하십시오. 철창 없는 나무에도 갇히는 수가 있습니다.


 


하여간 트럭에 올라타고 어느 도신가로 갔습니다. 그 도시에 들어서자마자 매캐한 화약 냄새와 타이어 바퀴 타는 냄새가 진동하더라니까요. 총을 주고 대기하라니까 대기했죠. 실탄을 장전하라니까 장전했죠. 쏘라니까 쐈습니다. 군대라는 게 코로 밤송이를 까라면 까야잖아요. 정말 전 아무것도 몰랐어요. 제가 무슨 짓을 하고 있는지. 단지 나무 아래 두고 온 찬합 속 만두만 걱정되더라고요. 나무 위의 졸따구는 새까맣게 잊어버렸죠.


 


그리고 다시 부대로 돌아왔어요. 이젠 총을 쏘지 말라기에 총을 쏘지 않았고, 실탄을 제거하라기에 빼 줬고, 총기를 소제하라기에 저녁도 먹지 못하고 총기를 번들번들하게 소제했죠. 그리고 부대 뒷산으로 달려갔죠. 그 날 그 나무 아래 찬합이 그대로 있었습니다. 물론 찬합은 비어 있었습니다. 그럼 졸따구는 그 나무 위에 있었겠습니까? 놀라지 마십시오. 그 나뭇가지엔 웬 까마귀 한 마리가 썩은 만두를 입에 물고 앉아 있는 겁니다. 까마귀 새끼가 다 먹어 버린 겁니다. 저도 모르게 눈물이 나더라구요. 그래 그 까마귀 새끼를 향해 돌을 집어던져 버렸죠. 그리고 그 돌이 땅에 떨어지기도 전에 전 제대를 했습니다. 전 정말 몰랐어요. 알고도 당했다고 거짓말하지 않습니다. 전 정말 모르고 당했다니까요. 뭘 당했느냐고요? 수상한 시절이 그 날 그 맛나던 만두를 썩게 만들었으니까요! 만두를 썩게 하다니!


 


그런데 어느 날부턴가 제 몸에서 썩은 만두 냄새가 나요. 그리고 누가 자꾸 제 이름을 부르는 것 같은 환청이 들리지 않겠어요. 그 졸따구 목소리였죠.


 


“김병장님, 만두 하나만 주세요.”






















■ 필자 소개


 




최치언(시인)


1970년 전남 영암에서 태어나 1999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시부문과 2001년 세계일보 신춘문예 소설 부문에 당선되면서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시집으로 『설탕은 모든 것을 치료할 수 있다』가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風文 2023.02.04 15196
공지 친구야 너는 아니 1 風文 2015.08.20 104623
2735 「광진이 형」(시인 김두안) 바람의종 2009.07.06 7981
2734 「그 모자(母子)가 사는 법」(소설가 한창훈) 바람의종 2009.05.28 6229
2733 「그 부자(父子)가 사는 법」(소설가 한창훈) 바람의종 2009.05.20 8305
2732 「그녀 생애 단 한 번」(소설가 정미경) 바람의종 2009.06.09 10276
2731 「긴장되고 웃음이 있고 재미있으며 좀 가려운」(소설가 성석제) 바람의종 2009.05.12 7929
2730 「내 말이 그렇게 어려운가요」(시인 조용미) 바람의종 2009.07.10 7973
2729 「내 이름은 이기분」(소설가 김종광) 바람의종 2009.06.09 8559
2728 「누구였을까」(소설가 한창훈) 바람의종 2009.06.12 5385
2727 「니들이 고생이 많다」(소설가 김이은) 바람의종 2009.07.29 7613
2726 「똥개의 노래」(소설가 김종광) 바람의종 2009.06.09 6701
» 「만두 이야기_1」(시인 최치언) 바람의종 2009.07.09 7051
2724 「만두 이야기_2」(시인 최치언) 바람의종 2009.07.10 6654
2723 「미소를 600개나」(시인 천양희) 바람의종 2009.06.23 6263
2722 「바람에 날리는 남자의 마음」(소설가 성석제) 바람의종 2009.05.15 9462
2721 「밥 먹고 바다 보면 되지」(시인 권현형) 바람의종 2009.06.25 8825
2720 「부모님께 큰절 하고」(소설가 정미경) 바람의종 2009.06.10 6742
2719 「비명 소리」(시인 길상호) 바람의종 2009.07.15 7649
2718 「사랑은 아무나 하나」(시인 이상섭) 바람의종 2009.08.11 7976
2717 「성인용품점 도둑사건」(시인 신정민) 바람의종 2009.07.17 9265
2716 「세상에 없는 범죄학 강의」(시인 최치언) 바람의종 2009.07.08 7696
2715 「스페인 유모어」(시인 민용태) 바람의종 2009.06.09 8053
2714 「신부(神父)님의 뒷담화」(시인 유종인) 바람의종 2009.08.01 6345
2713 「쌍둥이로 사는 일」(시인 길상호) 바람의종 2009.07.14 8350
2712 「엉뚱스러운 문학교실」(시인 김종태) 바람의종 2009.07.06 7874
2711 「연변 처녀」(소설가 김도연) 바람의종 2009.06.26 751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122 Next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