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7849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에라이..."」(시인 장무령)   2009년 7월 1일_마흔여섯번째





 





김봉만 씨는 소 한 마리당 시세보다 근 이삼십 만 원 더 받고 넘긴 날에도 남들이 보는 앞에서는 내색을 하지 않는 사람이었다. 좋다 나쁘단 말은 빼놓고 오로지 셈법에 필요한 말과 손놀림만 할 뿐이었다. 그러다 집에 돌아와 부인인 이순임 씨 앞에서만 '오늘 국 시원허네'라는 말 한마디 겨우 내뱉는 게 전부였다. 집성촌인지라 대부분 이런저런 혈연관계로 엮여 있는 동네에서 집안의 대소사는 동시에 동네의 대소사였다. 김봉만 씨가 장손인 관계로 중요한 동네의 대소사는 김봉만 씨네 안방으로 모여 왈가왈부되고 판가름되었다. 이럴 때마다 제일 중요한 건 장손의 말이었으나 김봉만 씨는 도통 속을 알 수 없는 사람이었다. 말을 앞서서 꺼내는 법이 없이 다른 이들의 말을 묵묵히 듣고 있을 뿐이었다. 그러다 왈가왈부식 논쟁이 길어진다 싶으면 건넌방으로 가서 자버리기 일쑤였다. 한참 선산을 어떻게 해야 한다느니, 고조부의 묘지가 잘못되었다느니 등등에 대해 서로 날을 세워 팽팽히 말을 주고받는 와중에 장손의 코 고는 소리가 우렁차게 들려 오면, 손위의 어른들은 노골적인 육두문자를 내뱉으며 자리를 박차고 나가고 아래 손들은 머쓱한 표정으로 서로 시선을 회피하는 것으로 논쟁은 마무리되곤 했다.


 


그럴 때마다 제일 곤란한 것은 끝까지 자리를 지키고 있어야 하는 김봉만 씨의 장남인 대복 씨였다. 모든 이의 따가운 시선이 '나 원 참'이라는 낮은 목소리와 함께 한 번쯤은 대복 씨를 향하곤 했다. 대복 씨가 고등학교 갓 입학했을 무렵 갑자기 집안의 큰 제사를 지내는 자리에서 김봉만 씨가 갑자기 폭탄발언을 한 적이 있었다. "앞으로는 제사를 3대조까지만 지내야겠슈, 그 위로는 이젠 안 지내유." 처음엔 그 누구도 그것이 무슨 말인지 못 알아 듣는 것 같았다. 그러다 수분 후 제일 나이 많으신 어른이 내뱉은 "에이 이런 몹쓸…"을 시작으로 제사꾼들이 하나 둘 눈치를 보며 제사 음식을 고스란히 남겨 둔 채 자리를 뜨기 시작했다. 그 날 남은 제사 음식은 한 달 가까이 이런저런 형태로 바뀌며 김봉만 씨네 밥상에 올라왔었다. 물론 4대조 5대조 조상들은 그 날 이후로 김봉만 씨네 집에서 제사 음식을 맛볼 수 없었다. 갖은 비난에도 김봉만 씨는 눈 하나 까딱하지 않았다. 친척집 여기저기에 이런저런 심부름을 다녀야 하는 대복 씨는 그 불만의 목소리를 듣기가 무안했으나, 웬일인지 "그냥 옛날대로 지내지 그류." 하며 김봉만 씨를 설득하려는 순임 씨의 표정은 그리 어둡지만은 않았다.


 


대복 씨가 외지에서 학교를 다니느라 집을 떠난 이후로 김봉만 씨는 단 한 번도 직접 대복 씨에게 전화를 건 적이 없었다. 가끔 순임 씨와의 전화 통화가 길어질라치면 수화기 너머에서 들리는 '돈 떨어졌나 보다'라는 먼 소리로, 방학 때면 오랜만에 내려간 시골집에서 대복 씨가 늦은 아침잠에라도 취해 있으면 벽 너머에서 순임 씨에게 하는 소리로 자신의 말을 돌려 전달할 뿐이었다. '어이 이봐, 제 방에 가봐, 허리 부러졌나 벼, 그러니께 못 일어나지, 해가 중천여.'


 


김봉만 씨가 언젠가부터 부쩍 말이 많아졌다. 변화는 이미 순임 씨에겐 익숙한 일이었으나 객지 생활을 하다 가끔씩 집에 들르는 대복 씨에게 말 많은 아버지란 매우 낯설고 거북하기까지 한 것이었다. 가끔 대복 씨에게 "네가 누구냐?"라고 묻기도 했다. 의사는 알츠하이머라 했다. 치매였다. 다행히 정기적인 치료와 약 복용으로 악화되지는 않았다. 그러나 더 이상 옛날의 김봉만 씨가 아니었다. 속내를 맨 끝에서 밝히되, 한 번도 자기의 결정을 양보하지 않던 고집스런 모습은 남아 있지 않았다. 김봉만 씨가 이상해졌다는 소문은 집안에, 그리고 동네에 금방 퍼졌다. 누군가는 김봉만 씨가 완전히 기억을 잃은 것으로도 알고 있었다. TV드라마에 나오는 치매 걸린 노인과 겹쳐서 말하는 이도 있었다. 대복 씨는 극구 그 정도는 아니라고 말하곤 했으나 사람들은 의심의 눈초리를 쉽게 거두질 않았다. 평소에는 잘 안 찾아오던 이들이 인사를 한다는 핑계로 들러 김봉만 씨의 수다를 확인하곤 재미있어 하곤 했다. 그러던 차 축협 조합장 선거에 입후보한 김봉만 씨 후배가 찾아왔다. 그는 이전에 조합장을 한 번 지낸 인물이었다. 그리고는 재선에서 떨어졌다 이번에 다시 조합장 선거에 나온 사람이었다. 그가 조합장 선거에서 한 번 이기고 한 번 진 데에는 결정적인 것은 아니었으나 조합 임원이었던 김봉만 씨의 몽니가 어느 정도는 작용했다는 근거를 알 수 없는 풍문이 있었다.


 


김봉만 씨의 과도한 자상함에 후배는 처음에는 당황하는 듯했으나 차차 얼굴엔 안심하는 기색이 역력했다. 소문대로 옛날의 김봉만 씨가 아니라는 확인을 하는 얼굴이었다. 김봉만 씨의 입에서는 끊임없이 말이 흘러 나왔다. 조합원 중에 누구누구는 어떻다는 등의 문제에서 시작해 심지어는 예전에 소를 접붙이던 이야기까지 했다. 옆에서 듣고 있는 대복 씨는 조마조마했다. '이젠 제말 그만 하시지.' 그때 후배가 말을 뚝 끊으면서 일어났다 "형님, 제가 바빠서유, 몸조리나 잘 허세유." 이젠 더 이상 들을 필요가 없다는 득의양양한 얼굴로 돌아서는 후배에게 김봉만 씨는 늙은일 찾아와 줘서 고맙다며 예전엔 결코 볼 수 없었던 너스레를 떨었다. 그리고 그런 너스레 끝에 김봉만 씨가 후배의 뒷전에 대고 뜬금없는 말을 한마디 했다. "근디 넌 소부랄여." 후배는 순간 걸음을 멈추었고, 대복 씨는 아차 싶어 얼른 김봉만 씨 기색을 살폈다. 김봉만 씨가 자상한 얼굴로 다시 한마디 덧붙였다.


 


"에라이, 소부랄아."

















■ 필자 소개


 




장무령(시인)


1968년 충남 홍성 출생. 1999년 《작가세계》 ‘신인상’으로 등단 시집 『선사 시대 앞에서 그녀를 기다리다』가 있음.


  1. No Image notice by 風文 2023/02/04 by 風文
    Views 15576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2. 친구야 너는 아니

  3. No Image 05Nov
    by 風文
    2021/11/05 by 風文
    Views 672 

    59. 큰 웃음

  4. No Image 20Jan
    by 風文
    2015/01/20 by 風文
    Views 7047 

    5분 글쓰기 훈련

  5. No Image 04Oct
    by 바람의종
    2010/10/04 by 바람의종
    Views 3341 

    5분 청소

  6. No Image 22Jul
    by 風文
    2023/07/22 by 風文
    Views 795 

    60조 개의 몸 세포

  7. No Image 10Jan
    by 風文
    2023/01/10 by 風文
    Views 815 

    6개월 입양아와 다섯 살 입양아

  8. No Image 09Jul
    by 風文
    2013/07/09 by 風文
    Views 10665 

    6세에서 9세, 66세에서 99세까지

  9. No Image 30Jul
    by 風文
    2015/07/30 by 風文
    Views 8588 

    6초 포옹

  10. No Image 14Nov
    by 바람의종
    2011/11/14 by 바람의종
    Views 3782 

    8,000미터 히말라야 산

  11. No Image 19Aug
    by 바람의종
    2008/08/19 by 바람의종
    Views 9070 

    8.15와 '병든 서울' - 도종환 (57)

  12. No Image 28Aug
    by 風文
    2023/08/28 by 風文
    Views 945 

    80대 백발의 할머니

  13. No Image 27Mar
    by 風文
    2024/03/27 by 風文
    Views 744 

    80세 노교수의 건강 비결 두 가지

  14. 9. 아테나

  15. No Image 23Feb
    by 바람의종
    2008/02/23 by 바람의종
    Views 8655 

    <죽은 시인의 사회> 中

  16. No Image 08Feb
    by 風文
    2024/02/08 by 風文
    Views 752 

    AI 챗지피티ChatGPT가 갖지 못한 것

  17. No Image 07Aug
    by 바람의종
    2011/08/07 by 바람의종
    Views 3158 

    GOD

  18. No Image 27Mar
    by 바람의종
    2008/03/27 by 바람의종
    Views 14091 

    Gustav Klimt and the adagietto of the Mahler 5th symphony

  19. No Image 05Feb
    by 風磬
    2006/02/05 by 風磬
    Views 18313 

    Love is...

  20. No Image 20Dec
    by 바람의종
    2007/12/20 by 바람의종
    Views 8346 

    solomoon 의 잃어버린 사랑을 위하여(17대 대선 특별판)

  21. No Image 25Sep
    by 바람의종
    2008/09/25 by 바람의종
    Views 9864 

    TV에 애인구함 광고를 내보자

  22. ‘옵아트’ 앞에서 인간은 천진난만한 아이가 된다!

  23. No Image 06Jul
    by 바람의종
    2009/07/06 by 바람의종
    Views 7849 

    「"에라이..."」(시인 장무령)

  24. No Image 29Jul
    by 바람의종
    2009/07/29 by 바람의종
    Views 8008 

    「1997년도라는 해」(시인 김영남)

  25. No Image 06Jul
    by 바람의종
    2009/07/06 by 바람의종
    Views 9386 

    「2호차 두 번째 입구 옆자리」(시인 차주일)

  26. No Image 28May
    by 바람의종
    2009/05/28 by 바람의종
    Views 11072 

    「개는 어떻게 웃을까」(시인 김기택)

  27. No Image 03Aug
    by 바람의종
    2009/08/03 by 바람의종
    Views 7879 

    「개업식장이 헷갈려」(시인 이대의)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122 Next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