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5828 추천 수 1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웃음 2」(소설가 정영문)   2009년 6월 19일_서른여덟번째

 




 





어린 시절 프로이트는 일부러 부모님의 침실 바닥에 오줌을 눈 적이 있다.


 


칼 마르크스는 평생 동안 단 한 번도 공장 안에 들어가 본 적이 없다.


 


T. S. 엘리엇은 암소를 두려워했다.


 


베토벤은 오스트리아 빈의 한 아파트에 살 때 피아노 밑에 요강을 놓아 두었으며, 어떤 방문객이 한번은 그것이 비어 있지 않은 것을 발견하기도 했다


 


고대 그리스에서는 여자들이 쇼핑을 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았다.


 


하나님 덕분에 나는 늘 무신론자일 수 있었다. - 루이 브뉘엘


 


뉴턴은 케임브리지의 트리니티 칼리지에서 수학을 가르칠 때 너무도 추상적으로 강의를 해 학생이 한 명도 강의실에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미국의 소설가 리처드 브라우티건은 어린 시절 학교에서 돌아와 자신의 가족 모두가 한마디 말도 없이 이사를 간 것을 발견한 적도 있었다.


 


<장미의 이름>을 쓰게 한 충동이 무엇이었는지 묻자 움베르토 에코는 한 수도사를 독살하고 싶었다고 대답했다.


 


입센은 창가에 누워 죽어 가면서 거리를 지나가는 사람들을 자신의 희곡 속에 등장하는 인물들과 혼동했다.


 


미국의 소설가 헨리 제임스는 마지막 순간 자신의 비서에게 자신의 원고를 타이핑하는 소리를 들려 달라고 했다.


 


<해변의 아인슈타인>이 메트로폴리탄 오페라에서 공연된 후에도 필립 글래스는 뉴욕에서 택시를 몰고 있었다.


 


렘브란트는 특히 말년에 너무도 느리게 작업을 했고, 그래서 모델을 구하는 것이 더욱 어려워졌다. 그것이 그가 수많은 자화상을 그린 이유이기도 하다.


 


살바도르 달리가 어느 저녁식사 테이블 위에 놓여 있는, 녹고 있던 카망베르 치즈를 거의 최면에 걸린 것처럼 넋이 나가 본 후 얼마 지나지 않아 <기억의 영속>이라는 그림 속의 축 늘어진 시계를 그렸다는 얘기가 있는데 그 진위는 분명치 않다.


 


키에르케고르라는 이름은 덴마크어로 교회 부속 묘지라는 뜻이다.


 


예이츠는 장미 한 송이를 태운 후 밤새 장미의 유령이 나타나기를 심각하게 지켜보았다.


 


횡령죄로 삼 년간 복역하던 중 윌리엄 시드니 포터는 O. 헨리가 되었다.














■ 필자 소개


 




정영문(소설가)


1963년 경남 함양에서 태어나, 서울대 심리학과를 졸업했다. 1996년 <작가세계> 겨울호에 실린 장편소설『겨우 존재하는 인간』으로 문단에 등단했으며, 1999년 제12회 동서문학상을 수상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風文 2023.02.04 16675
공지 친구야 너는 아니 1 風文 2015.08.20 106119
2510 '정말 이게 꼭 필요한가?' 風文 2020.05.05 976
2509 꽃향기처럼 피어나는 것 風文 2019.08.17 977
2508 큰 방황은 큰 사람을 낳는다 - 14. 믿음 風文 2020.06.09 977
2507 걸음마 風文 2022.12.22 977
2506 노동은 네 몫 즐거움을 내 차지 風文 2022.10.13 978
2505 장애로 인한 외로움 風文 2022.04.28 979
2504 슬프면 노래하고 기뻐도 노래하고 風文 2023.11.15 979
2503 쉼이 가져다주는 선물 風文 2023.01.25 980
2502 한마음, 한느낌 風文 2023.01.21 981
2501 사람은 세 번 변한다 風文 2023.06.08 982
2500 '한심한 못난이'가 되지 않으려면 風文 2023.06.14 983
2499 양치기와 늑대 風文 2023.11.24 983
2498 다시 사랑할 수 있을까? 風文 2019.08.15 985
2497 큰 방황은 큰 사람을 낳는다 - 28. 자기 존중 風文 2020.07.04 985
2496 맘껏 아파하고 슬퍼하세요 風文 2022.05.10 985
2495 80대 백발의 할머니 風文 2023.08.28 985
2494 35살에야 깨달은 것 風文 2023.10.10 985
2493 극복할 수 있다! 風文 2020.05.05 988
2492 서로 축복하라 風文 2020.05.01 989
2491 거절은 성공의 씨앗 風文 2022.09.15 989
2490 인생의 명답 風文 2019.08.06 990
2489 조용히 앉아본 적 있는가 風文 2019.08.25 991
2488 어린이는 신의 선물이다 風文 2020.05.08 991
2487 '밥 먹는 시간' 행복론 風文 2023.06.20 991
2486 마음의 문이 열릴 때까지 風文 2023.12.06 99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 122 Next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