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6021 추천 수 2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웃는 가난」(시인 천양희)   2009년 6월 18일_서른일곱번째





 





어떤 나그네가 움막집 옆을 지나는데, 안에서 웃음 소리가 크게 들려 왔다. 찢어지게 가난할 것 같은 집에서 웃음 소리가 그치지 않았다. 이상하게 여긴 나그네가 들어가서 물었다. ‘보아하니 집안 형편이 몹시 어려운 것 같은데, 무엇이 좋아서 그렇게 웃느냐’고 하자 그 집 주인인 가장(家長)이 이렇게 대답했다. ‘자식들 기르니 저축해서 좋고, 부모님 봉양하니 빚 갚아서 좋다. 그러니 웃을 수밖에요.’


 


집을 버리고 떠돌던 나그네는 가난해도 웃고 사는 그들을 보면서, 정작 가난한 것은 자신이라는 것을 크게 깨닫고 집으로 돌아갔다고 한다. 가난해서 웃음을 잃는 것이 아니라 웃음을 잃어서 가난하게 되는 것이다.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나라 방글라데시의 행복지수는 세계 1위라고 하니, 가난하다고 해서 반드시 불행한 것은 아니라는 생각이다. 가난해도 가난한 대로 남 탓하지 않고 욕심 없이 웃고 살기 때문에 그들은 행복한 것이다.


 


몇 년 전 라디오에서 어느 공단 근로자의 인터뷰를 들은 적이 있다. 그 근로자는 야간 작업을 마치고 집으로 가는 길에 하늘의 별을 바라볼 때, 집으로 돌아가 시를 읽을 때 웃음이 나오고 행복하다고 했다. 나는 그가 한 말을 잊을 수가 없다. 나는 그때 그 근로자한테서 작은 말 같지만 큰 것을 느끼고 깨달았다. 그런 마음을 갖지 않고서는 누구도 웃게 할 수 없다는 것을 배웠다. 누구를 웃게 한다는 것은 그 사람의 마음을 살려 주고 행복하게 해 주는 것이다. 마음이 살아날 때, 가난해도 웃음을 잃지 않고, 행복지수가 1위가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 필자 소개


 




천양희(시인)


1942년 부산에서 태어나 이화여대 국문과를 졸업하였다. 1965년 《현대문학》을 통해 등단했다. 시집으로 『신이 우리에게 묻는다면』『사람 그리운 도시』『하루치의 희망』『마음의 수수밭』『오래된 골목』『너무 많은 입』등이 있다. 제43회 현대문학상을 수상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風文 2023.02.04 17165
공지 친구야 너는 아니 1 風文 2015.08.20 106678
335 「의뭉스러운 이야기 1」(시인 이재무) 바람의종 2009.08.05 7090
334 「웃음꽃이 넝쿨째!」(시인 손정순) 바람의종 2009.07.31 8630
333 「웃음 배달부가 되어」(시인 천양희) 바람의종 2009.06.12 6127
332 「웃음 3」(소설가 정영문) 바람의종 2009.06.25 5907
331 「웃음 2」(소설가 정영문) 바람의종 2009.06.19 5843
330 「웃음 1」(소설가 정영문) 바람의종 2009.06.16 6741
329 「웃는 여잔 다 이뻐」(시인 김소연) 1 바람의종 2009.06.29 9445
328 「웃는 동물이 오래 산다」(시인 신달자) 바람의종 2009.05.15 7877
» 「웃는 가난」(시인 천양희) 바람의종 2009.06.18 6021
326 「우리처럼 입원하면 되잖아요」(시인 유홍준) 바람의종 2009.07.17 7006
325 「연변 처녀」(소설가 김도연) 바람의종 2009.06.26 7573
324 「엉뚱스러운 문학교실」(시인 김종태) 바람의종 2009.07.06 7898
323 「쌍둥이로 사는 일」(시인 길상호) 바람의종 2009.07.14 8398
322 「신부(神父)님의 뒷담화」(시인 유종인) 바람의종 2009.08.01 6408
321 「스페인 유모어」(시인 민용태) 바람의종 2009.06.09 8108
320 「세상에 없는 범죄학 강의」(시인 최치언) 바람의종 2009.07.08 7746
319 「성인용품점 도둑사건」(시인 신정민) 바람의종 2009.07.17 9331
318 「사랑은 아무나 하나」(시인 이상섭) 바람의종 2009.08.11 8055
317 「비명 소리」(시인 길상호) 바람의종 2009.07.15 7690
316 「부모님께 큰절 하고」(소설가 정미경) 바람의종 2009.06.10 6764
315 「밥 먹고 바다 보면 되지」(시인 권현형) 바람의종 2009.06.25 8875
314 「바람에 날리는 남자의 마음」(소설가 성석제) 바람의종 2009.05.15 9573
313 「미소를 600개나」(시인 천양희) 바람의종 2009.06.23 6329
312 「만두 이야기_2」(시인 최치언) 바람의종 2009.07.10 6700
311 「만두 이야기_1」(시인 최치언) 바람의종 2009.07.09 708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 122 Next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