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5403 추천 수 1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누구였을까」(소설가 한창훈)   2009년 6월 11일_서른두번째





 





우리 마을에 초상이 났었다.


장성한 네 딸이 모여 아버지 초상을 쳤다. 딸자식이 많은 집 초상은 유난히 슬프다고 했는데 그 집이 그랬다. 사흘 동안 울음 소리가 그치지 않았다. 드디어 발인하는 날. 상여로 옮기기 직전, 집에서 망자의 마지막 식사 시간이었다. 많이 잡수고 가십시오. 네 딸은 고봉으로 담은 제삿밥을 올리고 나서 꿇어앉았다. 함지박만 한 엉덩이를 뒤로 내민 채 짜내는 울음을 쉰 목소리로 이어 갔다. 그리고 그 순간. 뿌우웅. 네 딸 사이에서 적잖은 방귀가 터져나와 버렸다.


줄지어 서 있던 문상객들은 쿡쿡, 웃음 참느라 곤욕을 보는데 정작 괴로운 이는 딸들이었다. 어떻게 해야 할까. 그냥 있자니 모양새나 상황이 너무 민망했다. 형국 변환 시도로 큰딸이 무작정 몸을 날렸다. 짝, 소리가 나게 방바닥을 치고는 이렇게 말했다.


“아이고, 이게 무슨 소리요. 아부지 가시는 길에 대체 이게 무슨 소리란 말이요.”


이러다가 뒤집어쓰겠구나 싶은 둘째가 언니의 자세를 뒤따르며 외쳤다.


“나는 아니요, 아부지. 나는 아니요.”


그럼 셋째인들 가만 있겠는가.


“이런 경우는 없소. 아부지 가시는 길에 이래서는 안 되는 법이요.”


코너에 밀린 막내까지도 바닥을 치며 악 쓰듯 외쳤다.


“아부지는 아실 것이요, 아부지는 정녕 아실 것이요.”


 


우울했던 초상의 끝이 웃음바다가 되어 버렸다. 상여 나가는 내내 여기저기서 웃음 소리가 끊어지지 않았다. 울음과 웃음이 한장소 같은 시간대에 뒤범벅되어 버린 것이다. 이상하지는 않았다. 자신이 떠나는 자리에 웃음 소리 돋아났다면 그 인생도 괜찮은 인생 아니겠는가.


어쨌든 그렇게 곤란한 상황은 벗어났는데 누가 끼었는지는 아직도 모른다.














■ 필자 소개


 




한창훈(소설가)


1963년 전남 여수에서 태어났다. 소설집 『바다가 아름다운 이유』『가던 새 본다』『세상의 끝으로 간 사람』『청춘가를 불러요』가 있다. 산문소설 『바다도 가끔은 섬의 그림자를 들여다 본다』와 장편소설『홍합』『섬, 나는 세상 끝을 산다』『열 여섯의 섬』등이 있다. 동화 『검은섬의 전설』과 공동 산문집 『깊고 푸른 바다를 보았지』를 펴냈다. 제3회 한겨레문학상을 받았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風文 2023.02.04 16130
공지 친구야 너는 아니 1 風文 2015.08.20 105543
2735 '남의 떡이 더 커 보인다' 바람의종 2013.01.10 8975
2734 문제아 風文 2014.12.08 8964
2733 자본주의 사회에서 더 행복해지는 법 바람의종 2008.04.02 8939
2732 다리가 없는 새가 살았다고 한다. 바람의종 2008.04.05 8939
2731 같이 커피를 마시고 싶은 사람 바람의 소리 2007.08.31 8939
2730 겁먹지 말아라 風文 2014.12.04 8934
2729 고백할게 바람의종 2008.03.14 8929
2728 그대는 황제! 風文 2014.12.28 8925
2727 테리, 아름다운 마라토너 바람의종 2008.02.22 8924
2726 내 사랑, 안녕! 風文 2014.08.11 8916
2725 중국 비즈니스 성패의 절대요건 風文 2014.11.24 8906
2724 어디로 가야 할지 알 수가 없다 윤안젤로 2013.03.23 8889
2723 가장 큰 재산 / 도종환 바람의종 2008.05.29 8887
2722 한 모금의 기쁨 風文 2015.08.05 8880
2721 깨기 위한 금기, 긍정을 위한 부정 바람의종 2008.02.15 8869
2720 「첫날밤인데 우리 손잡고 잡시다」(시인 유안진) 바람의종 2009.05.17 8868
2719 '애무 호르몬' 바람의종 2011.09.29 8864
2718 한 번의 포옹 風文 2014.12.20 8861
2717 '땅 위를 걷는' 기적 風文 2015.04.20 8857
2716 행복한 사람 - 도종환 (50) 바람의종 2008.08.01 8856
2715 「밥 먹고 바다 보면 되지」(시인 권현형) 바람의종 2009.06.25 8838
2714 사랑에 목마른 사람일수록 바람의종 2012.06.11 8837
2713 성숙한 지혜 바람의종 2012.12.10 8836
2712 함께 산다는 것 風文 2014.12.24 8833
2711 행복한 농사꾼을 바라보며 바람의종 2008.04.22 883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122 Next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