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6732 추천 수 1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똥개의 노래」(소설가 김종광)   2009년 6월 9일_서른번째





 





그 똥개는 그 고장의 들개 두목으로서 오랜 세월을 군림했다. 인간들과 싸우느라 스트레스가 많았다. 호구산 꼭대기에 올라 노래로 스트레스를 풀곤 했다. 그 개의 주인이었던 여자가 ‘똥개의 노래’라면서 지어 준 노래가 있다. 조용필이라는 인간 가수가 부른 <킬리만자로의 표범>을 ‘노(래)가(사)바(꾸기)’한 것이라고 했다. 똥개는 그 노래가 마음에 들었다. 그 노래를 부르면 마음이 차분히 가라앉고 머리가 맑아졌다. 한 번을 부르더라도 온 생애를 다하여 불렀다. 부르고 나면 마음에 웃음이 가득 차올랐다.


 


존엄을 지키기 위해 정상에 선 똥개를 본 일이 있는가? 인간과 끝없이 투쟁하는 호구산의 똥개! 나는 똥개가 아니라 천연기념물 개이고 싶다. 어디에서나 대접받는 태평천국의 그 천연기념물이고 싶다. 싸우면서 위대해지고 지도하면서 강건해지는 나는 지금, 호구산의 제일 꼭대기에서 울고 있다. 살의 찬 인간의 그 불빛, 어디에도 개는 없다. 이 큰 인간세의 복판에 이렇듯 철저히 혼자 살아남으니 부끄럽도다! 나보다 먼저 죽은 똥개들의 피가 마르지도 않았다! 바람처럼 왔다가 보신탕으로 갈 순 없잖아! 우리 개들이 산 흔적일랑 남겨 둬야지. 갈비 수육으로 가뭇없이 먹혀도 빛나는 불꽃으로 타올라야지. 묻지 마라 왜냐고 왜 그렇게 싸우려고 애썼는지 묻지를 마라! 고독한 똥개의 불타는 영혼을 아는 이 없으면 또 어떠리!


 


개로 사는 일이 허전하고 등이 시릴 때 개로 사는 것을 위안해 줄 아무것도 없는 보잘 것 없는 세상을, 그런 세상을 새삼스레 아름답게 보이게 하는 건 우리 개들의 투쟁 때문이다! 투쟁이 똥개들을 얼마나 개답게 만드는지 인간들은 모르지. 투쟁만큼 개가 위대해진다는 걸 모르지. 인간들은 개고기를 사랑한다고 했다. 우리 개들은 사람고기를 먹지 않는다. 인간들은 보신탕을 사랑한다고 했다. 우리 개들은 사람탕을 본 적도 없다. 인간들은 애완견을 사랑한다고 했다. 우리 똥개들도 애완견처럼 사랑받고 싶다. 그리고 또 우리 개들은 사랑한다. 화려하면서도 쓸쓸하고 가득 찬 것 같으면서도 텅 비어 있는 우리들의 이념! 애완견과 똥개를 차별하지 마라! 모든 개를 천연기념물로 지정하라!


 


투쟁이 살벌한 건 운명을 걸기 때문이지. 모든 것을 거니까 살벌한 거야! 투쟁도 사랑도 모두를 요구하는 것 모두를 건다는 건 살벌한 거야! 투쟁이란 실패가 보이는 가슴 아픈 정열, 정열의 마지막엔 무엇이 있나! 모두를 잃어도 투쟁은 후회 않는 것, 그래야 투쟁했다 할 수 있겠지.


 


아무리 강고한 인간세상이라 할지라도 나는 한 마리 똥개로 남으리. 인간만 활개 치는 땅일지라도 나는 한 가닥 불타는 똥개가 되리. 인간의 군홧발이 초목을 휩쓸어도 꺾이지 않는 한 마리 똥개 되리. 우리 개들이 지금 이 세상을 살고 있는 것은 21세기가 간절히 우리 개를 원했기 때문이야! 공존인가 전쟁인가 저 많은 인간들! 최후까지 우리 똥개는 가리! 이빨을 곧추세우고, 길에서 만나는 동지와 악수하며, 최후까지 싸우다 죽는 넋이 되리!














■ 필자 소개


 




김종광(소설가)


1971년 충남 보령에서 태어났다. 1998년 계간 《문학동네》에 단편 소설 「경찰서여, 안녕」이, 2000년 《중앙일보》신춘문예에 희곡 「해로가」가 각각 당선되었다. 소설집으로 『경찰서여, 안녕』『모내기 블루스』『짬뽕과 소주의 힘』『낙서문학사』가 있으며, 장편 소설로는 『71년생 다인이』『야살쟁이록』이 있다. 대산창작기금, 신동엽창작상을 받았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風文 2023.02.04 16892
공지 친구야 너는 아니 1 風文 2015.08.20 106413
335 친구의 슬픔 風文 2013.07.09 12281
334 친구인가, 아닌가 바람의종 2008.11.11 7944
333 친밀한 사이 風文 2023.12.29 744
332 친밀함 바람의종 2009.10.27 5160
331 친애란 무엇일까요? 바람의종 2007.10.24 11153
330 친절을 팝니다. 風文 2020.06.16 1038
329 침묵과 용서 風文 2024.01.16 1326
328 침묵의 예술 바람의종 2008.11.21 7388
327 침묵하는 법 風文 2014.12.05 9731
326 침착을 되찾은 다음에 風文 2015.08.20 12997
325 칫솔처럼 風文 2014.11.25 8070
324 카오스, 에로스 風文 2023.05.12 1134
323 카지노자본주의 - 도종환 (98) 바람의종 2008.11.26 7032
322 카프카의 이해: 먹기 질서와 의미 질서의 거부 바람의종 2008.08.19 9152
321 칼국수 風文 2014.12.08 9448
320 커피 한 잔의 행복 風文 2013.08.20 17581
319 코앞에 두고도... 風文 2013.08.19 13974
318 콧노래 윤안젤로 2013.06.03 13999
317 콩 세 알을 심는 이유 바람의종 2009.09.18 6284
316 쾌감 호르몬 風文 2023.10.11 928
315 큐피드 화살 風文 2014.11.24 8533
314 큰 돌, 작은 돌 바람의종 2010.02.02 5713
313 큰 뜻 바람의종 2010.08.10 4538
312 큰 방황은 큰 사람을 낳는다 -3. 깨달음 風文 2020.05.29 1226
311 큰 방황은 큰 사람을 낳는다 - 10. 가치 風文 2020.06.05 87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 122 Next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