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6650 추천 수 1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똥개의 노래」(소설가 김종광)   2009년 6월 9일_서른번째





 





그 똥개는 그 고장의 들개 두목으로서 오랜 세월을 군림했다. 인간들과 싸우느라 스트레스가 많았다. 호구산 꼭대기에 올라 노래로 스트레스를 풀곤 했다. 그 개의 주인이었던 여자가 ‘똥개의 노래’라면서 지어 준 노래가 있다. 조용필이라는 인간 가수가 부른 <킬리만자로의 표범>을 ‘노(래)가(사)바(꾸기)’한 것이라고 했다. 똥개는 그 노래가 마음에 들었다. 그 노래를 부르면 마음이 차분히 가라앉고 머리가 맑아졌다. 한 번을 부르더라도 온 생애를 다하여 불렀다. 부르고 나면 마음에 웃음이 가득 차올랐다.


 


존엄을 지키기 위해 정상에 선 똥개를 본 일이 있는가? 인간과 끝없이 투쟁하는 호구산의 똥개! 나는 똥개가 아니라 천연기념물 개이고 싶다. 어디에서나 대접받는 태평천국의 그 천연기념물이고 싶다. 싸우면서 위대해지고 지도하면서 강건해지는 나는 지금, 호구산의 제일 꼭대기에서 울고 있다. 살의 찬 인간의 그 불빛, 어디에도 개는 없다. 이 큰 인간세의 복판에 이렇듯 철저히 혼자 살아남으니 부끄럽도다! 나보다 먼저 죽은 똥개들의 피가 마르지도 않았다! 바람처럼 왔다가 보신탕으로 갈 순 없잖아! 우리 개들이 산 흔적일랑 남겨 둬야지. 갈비 수육으로 가뭇없이 먹혀도 빛나는 불꽃으로 타올라야지. 묻지 마라 왜냐고 왜 그렇게 싸우려고 애썼는지 묻지를 마라! 고독한 똥개의 불타는 영혼을 아는 이 없으면 또 어떠리!


 


개로 사는 일이 허전하고 등이 시릴 때 개로 사는 것을 위안해 줄 아무것도 없는 보잘 것 없는 세상을, 그런 세상을 새삼스레 아름답게 보이게 하는 건 우리 개들의 투쟁 때문이다! 투쟁이 똥개들을 얼마나 개답게 만드는지 인간들은 모르지. 투쟁만큼 개가 위대해진다는 걸 모르지. 인간들은 개고기를 사랑한다고 했다. 우리 개들은 사람고기를 먹지 않는다. 인간들은 보신탕을 사랑한다고 했다. 우리 개들은 사람탕을 본 적도 없다. 인간들은 애완견을 사랑한다고 했다. 우리 똥개들도 애완견처럼 사랑받고 싶다. 그리고 또 우리 개들은 사랑한다. 화려하면서도 쓸쓸하고 가득 찬 것 같으면서도 텅 비어 있는 우리들의 이념! 애완견과 똥개를 차별하지 마라! 모든 개를 천연기념물로 지정하라!


 


투쟁이 살벌한 건 운명을 걸기 때문이지. 모든 것을 거니까 살벌한 거야! 투쟁도 사랑도 모두를 요구하는 것 모두를 건다는 건 살벌한 거야! 투쟁이란 실패가 보이는 가슴 아픈 정열, 정열의 마지막엔 무엇이 있나! 모두를 잃어도 투쟁은 후회 않는 것, 그래야 투쟁했다 할 수 있겠지.


 


아무리 강고한 인간세상이라 할지라도 나는 한 마리 똥개로 남으리. 인간만 활개 치는 땅일지라도 나는 한 가닥 불타는 똥개가 되리. 인간의 군홧발이 초목을 휩쓸어도 꺾이지 않는 한 마리 똥개 되리. 우리 개들이 지금 이 세상을 살고 있는 것은 21세기가 간절히 우리 개를 원했기 때문이야! 공존인가 전쟁인가 저 많은 인간들! 최후까지 우리 똥개는 가리! 이빨을 곧추세우고, 길에서 만나는 동지와 악수하며, 최후까지 싸우다 죽는 넋이 되리!














■ 필자 소개


 




김종광(소설가)


1971년 충남 보령에서 태어났다. 1998년 계간 《문학동네》에 단편 소설 「경찰서여, 안녕」이, 2000년 《중앙일보》신춘문예에 희곡 「해로가」가 각각 당선되었다. 소설집으로 『경찰서여, 안녕』『모내기 블루스』『짬뽕과 소주의 힘』『낙서문학사』가 있으며, 장편 소설로는 『71년생 다인이』『야살쟁이록』이 있다. 대산창작기금, 신동엽창작상을 받았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風文 2023.02.04 13401
공지 친구야 너는 아니 1 風文 2015.08.20 102752
335 '땅 위를 걷는' 기적 風文 2015.04.20 8613
334 오늘의 위기상황은... 윤안젤로 2013.05.13 8616
333 오늘을 위한 아침 5분의 명상 바람의종 2008.03.20 8645
332 참는다는 것 / 도종환 바람의종 2008.04.28 8646
331 기품 바람의종 2008.11.26 8649
330 즐겁고 행복한 놀이 바람의종 2012.05.02 8668
329 한 번의 포옹 風文 2014.12.20 8671
328 이별 없는 사랑을 꿈꾼다 바람의종 2012.11.14 8675
327 이해인 수녀님께 - 도종환 (54) 바람의종 2008.08.09 8678
326 체 게바라처럼 바람의종 2012.10.04 8689
325 함께 산다는 것 風文 2014.12.24 8701
324 행복한 농사꾼을 바라보며 바람의종 2008.04.22 8718
323 추억의 기차역 바람의종 2012.10.15 8720
322 사람은 떠나도 사랑은 남는다 바람의종 2012.11.01 8722
321 행복한 사람 - 도종환 (50) 바람의종 2008.08.01 8727
320 깨기 위한 금기, 긍정을 위한 부정 바람의종 2008.02.15 8729
319 사랑에 목마른 사람일수록 바람의종 2012.06.11 8740
318 결혼 서약 바람의종 2012.10.15 8766
317 「밥 먹고 바다 보면 되지」(시인 권현형) 바람의종 2009.06.25 8775
316 중국 비즈니스 성패의 절대요건 風文 2014.11.24 8788
315 성숙한 지혜 바람의종 2012.12.10 8792
314 겁먹지 말아라 風文 2014.12.04 8801
313 자본주의 사회에서 더 행복해지는 법 바람의종 2008.04.02 8803
312 「첫날밤인데 우리 손잡고 잡시다」(시인 유안진) 바람의종 2009.05.17 8810
311 가장 큰 재산 / 도종환 바람의종 2008.05.29 882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 122 Next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