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6737 추천 수 1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똥개의 노래」(소설가 김종광)   2009년 6월 9일_서른번째





 





그 똥개는 그 고장의 들개 두목으로서 오랜 세월을 군림했다. 인간들과 싸우느라 스트레스가 많았다. 호구산 꼭대기에 올라 노래로 스트레스를 풀곤 했다. 그 개의 주인이었던 여자가 ‘똥개의 노래’라면서 지어 준 노래가 있다. 조용필이라는 인간 가수가 부른 <킬리만자로의 표범>을 ‘노(래)가(사)바(꾸기)’한 것이라고 했다. 똥개는 그 노래가 마음에 들었다. 그 노래를 부르면 마음이 차분히 가라앉고 머리가 맑아졌다. 한 번을 부르더라도 온 생애를 다하여 불렀다. 부르고 나면 마음에 웃음이 가득 차올랐다.


 


존엄을 지키기 위해 정상에 선 똥개를 본 일이 있는가? 인간과 끝없이 투쟁하는 호구산의 똥개! 나는 똥개가 아니라 천연기념물 개이고 싶다. 어디에서나 대접받는 태평천국의 그 천연기념물이고 싶다. 싸우면서 위대해지고 지도하면서 강건해지는 나는 지금, 호구산의 제일 꼭대기에서 울고 있다. 살의 찬 인간의 그 불빛, 어디에도 개는 없다. 이 큰 인간세의 복판에 이렇듯 철저히 혼자 살아남으니 부끄럽도다! 나보다 먼저 죽은 똥개들의 피가 마르지도 않았다! 바람처럼 왔다가 보신탕으로 갈 순 없잖아! 우리 개들이 산 흔적일랑 남겨 둬야지. 갈비 수육으로 가뭇없이 먹혀도 빛나는 불꽃으로 타올라야지. 묻지 마라 왜냐고 왜 그렇게 싸우려고 애썼는지 묻지를 마라! 고독한 똥개의 불타는 영혼을 아는 이 없으면 또 어떠리!


 


개로 사는 일이 허전하고 등이 시릴 때 개로 사는 것을 위안해 줄 아무것도 없는 보잘 것 없는 세상을, 그런 세상을 새삼스레 아름답게 보이게 하는 건 우리 개들의 투쟁 때문이다! 투쟁이 똥개들을 얼마나 개답게 만드는지 인간들은 모르지. 투쟁만큼 개가 위대해진다는 걸 모르지. 인간들은 개고기를 사랑한다고 했다. 우리 개들은 사람고기를 먹지 않는다. 인간들은 보신탕을 사랑한다고 했다. 우리 개들은 사람탕을 본 적도 없다. 인간들은 애완견을 사랑한다고 했다. 우리 똥개들도 애완견처럼 사랑받고 싶다. 그리고 또 우리 개들은 사랑한다. 화려하면서도 쓸쓸하고 가득 찬 것 같으면서도 텅 비어 있는 우리들의 이념! 애완견과 똥개를 차별하지 마라! 모든 개를 천연기념물로 지정하라!


 


투쟁이 살벌한 건 운명을 걸기 때문이지. 모든 것을 거니까 살벌한 거야! 투쟁도 사랑도 모두를 요구하는 것 모두를 건다는 건 살벌한 거야! 투쟁이란 실패가 보이는 가슴 아픈 정열, 정열의 마지막엔 무엇이 있나! 모두를 잃어도 투쟁은 후회 않는 것, 그래야 투쟁했다 할 수 있겠지.


 


아무리 강고한 인간세상이라 할지라도 나는 한 마리 똥개로 남으리. 인간만 활개 치는 땅일지라도 나는 한 가닥 불타는 똥개가 되리. 인간의 군홧발이 초목을 휩쓸어도 꺾이지 않는 한 마리 똥개 되리. 우리 개들이 지금 이 세상을 살고 있는 것은 21세기가 간절히 우리 개를 원했기 때문이야! 공존인가 전쟁인가 저 많은 인간들! 최후까지 우리 똥개는 가리! 이빨을 곧추세우고, 길에서 만나는 동지와 악수하며, 최후까지 싸우다 죽는 넋이 되리!














■ 필자 소개


 




김종광(소설가)


1971년 충남 보령에서 태어났다. 1998년 계간 《문학동네》에 단편 소설 「경찰서여, 안녕」이, 2000년 《중앙일보》신춘문예에 희곡 「해로가」가 각각 당선되었다. 소설집으로 『경찰서여, 안녕』『모내기 블루스』『짬뽕과 소주의 힘』『낙서문학사』가 있으며, 장편 소설로는 『71년생 다인이』『야살쟁이록』이 있다. 대산창작기금, 신동엽창작상을 받았다.


  1.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Date2023.02.04 By風文 Views16971
    read more
  2. 친구야 너는 아니

    Date2015.08.20 By風文 Views106480
    read more
  3. 길 떠날 준비

    Date2009.07.06 By바람의종 Views4933
    Read More
  4. 찰떡궁합

    Date2009.07.06 By바람의종 Views5868
    Read More
  5. "내 말을 귓등으로 흘려요"

    Date2009.07.06 By바람의종 Views7742
    Read More
  6. 「광진이 형」(시인 김두안)

    Date2009.07.06 By바람의종 Views8045
    Read More
  7. 「"에라이..."」(시인 장무령)

    Date2009.07.06 By바람의종 Views7883
    Read More
  8. 결정적 순간

    Date2009.07.06 By바람의종 Views6112
    Read More
  9. 가장 사랑하는 사람을 가장 잘 안다

    Date2009.07.01 By바람의종 Views5347
    Read More
  10. 「화들짝」(시인 김두안)

    Date2009.06.30 By바람의종 Views7269
    Read More
  11. 마중물

    Date2009.06.30 By바람의종 Views5195
    Read More
  12. 「웃는 여잔 다 이뻐」(시인 김소연)

    Date2009.06.29 By바람의종 Views9437
    Read More
  13. 결단의 성패

    Date2009.06.29 By바람의종 Views5651
    Read More
  14. 귀중한 나

    Date2009.06.29 By바람의종 Views5059
    Read More
  15. 「연변 처녀」(소설가 김도연)

    Date2009.06.26 By바람의종 Views7567
    Read More
  16. 진실한 사람

    Date2009.06.26 By바람의종 Views7123
    Read More
  17. 「밥 먹고 바다 보면 되지」(시인 권현형)

    Date2009.06.25 By바람의종 Views8866
    Read More
  18. 「웃음 3」(소설가 정영문)

    Date2009.06.25 By바람의종 Views5901
    Read More
  19. 뜨거운 물

    Date2009.06.25 By바람의종 Views4808
    Read More
  20. 길이 울퉁불퉁하기 때문에

    Date2009.06.24 By바람의종 Views5035
    Read More
  21. 「미소를 600개나」(시인 천양희)

    Date2009.06.23 By바람의종 Views6305
    Read More
  22. 「호세, 그라시아스!」(소설가 함정임)

    Date2009.06.22 By바람의종 Views6872
    Read More
  23. 산이 좋아 산에 사네

    Date2009.06.22 By바람의종 Views4567
    Read More
  24. 행복해 보이는 사람들

    Date2009.06.20 By바람의종 Views6348
    Read More
  25. 「웃음 2」(소설가 정영문)

    Date2009.06.19 By바람의종 Views5835
    Read More
  26. 짧게 만드는 법

    Date2009.06.19 By바람의종 Views7241
    Read More
  27. 타인의 성공

    Date2009.06.19 By바람의종 Views7189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 122 Next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