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6468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충청도 말에 대하여」(소설가 한창훈)  2009년 6월 2일_스물네번째





 





(비참하고 슬픈 이야기이긴 하지만)


 


몇몇 사람들 사이에는 5, 6공 시절, 운동권 대학생 잡아들여 취조 고문을 하던 이의 사적인 증언이 떠돌았다. 그자의 말에 의하면 삼남(경상 전라 충청)의 특성이 취조실에서도 여실히 드러난다는 것이다. 먼저 경상도 학생. 잡아 족치면 한번에 다 분단다. 그 다음 전라도 학생. 족친 만큼만 분단다. 다음날 조금 더 조져 보면 그만큼만 더 나온단다. 가장 독한 애들은 바로 충청도. 아무리 족쳐도  


 


“물류. 그게 아뉴.”


 


소리만 한단다. 빨리 안 불어? 아무리 때리고 거꾸로 매달아도, 뭔 소리를 하는지 당췌 물르겄슈, 잘못 아신규, 소리만 해서 결국 내보내고 말았단다. 뒷날 알고 보니 내보낸 학생이 그들이 찾고 있던 사람이란다.  


 


그런데 그 말을 들은 충청도 출신 어느 시인 왈.


 


“독해서 그러기버덤은 갸도 말을 하려고 했을 겨. 막 실토하려고 하는데도 말 안한다고 두들겼을 겨. 그러니 원제 말을 햐.”


 


삼남의 기질 차이는 말투에서 가장 극명하게 나타난다. 경상도 말은 왜 그렇게 짧고 공격적일까. 답은 산이 높고 날카로워서. 어떤 방문자라도 불쑥 나타날 수밖에 없다. 이미 눈앞이라 재빠르게 대응할 수밖에 없어서.


 


전라도는 리듬을 타야 한다. 산이 낮지는 않지만 구릉이 많고 완만하여 그렇다고 본다. 그럼 충청도는? 평야가 넓은 곳이다. 모르는 이가 저만치에서 나타나면 궁리하기 시작한다. 삼국시대부터 그랬다. 침범이 잦았던 탓에 저것들이 고구려일까, 신라일까, 우리 백제일까, 정보가 모아질 때까지 판단을 유보한다. 그러기에 직설이 없다.


 


충청도 말이 느린 것은 생각을 하고 있다는 증거이다. 대답 없이 가만히 있는 것도 그 이유이다. 직설이 없다 보니 비유가 발달했다.  


 


충청도를 배경으로 비유의 언어를 가장 뛰어나게 구사한 분이 돌아가신 명천 이문구 선생이다. <보기 싫은 새끼>가 충청도 언어로 가면 <장마철에 물걸레 같은 새끼>가 된다.


 


일전에 친구들과 술집엘 갔다. 안주가 마땅찮아 주저하고 있는데 빨리 안 시킨다고 안주인이 구시렁거렸다. 내가 나서서 한마디 했다.    


 


“뱃속에 간도 있고 쓸개도 있고 곱창도 있고 다 있는데 뭐하러 안주 먹어요. 술만 넣어 주면 되지.”


 


이문구 선생의 단편 <우리동네 김씨>에 나오는 말이다.


 


이정록 시인도 충청도 출신이다. 그가 최근에 아들 운동화를 빨다가 갑자기 무릎을 치며 웃었다. 자기가 아들녀석 나이였을 때 뭔가를 잘못해서 선친께 욕을 먹은 적이 있었다. <저 운동화나 씹어 먹을 자식>이 그건데 무슨 내용인지 오래도록 알지 못하다가 아들 운동화 빠는 순간에 깨달은 것이다(도대체 무슨 말일까. 힌트. 댓돌에 신발 벗어 놓으면 누가 와서 이빨로 씹을까).


 


요즘 그는 아들이 잘못했을 때 해줄, 상처가 되지 않고 되레 웃음이 나는 그런 욕을 만들고 있는 중이라고 한다.   














■ 필자 소개


 




한창훈(소설가)



1963년 전남 여수에서 태어났다. 소설집 『바다가 아름다운 이유』『가던 새 본다』『세상의 끝으로 간 사람』『청춘가를 불러요』가 있다. 산문소설 『바다도 가끔은 섬의 그림자를 들여다 본다』와 장편소설『홍합』『섬, 나는 세상 끝을 산다』『열 여섯의 섬』등이 있다. 동화 『검은섬의 전설』과 공동 산문집 『깊고 푸른 바다를 보았지』를 펴냈다. 제3회 한겨레문학상을 받았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風文 2023.02.04 12929
공지 친구야 너는 아니 1 風文 2015.08.20 102306
385 빈둥거림의 미학 風文 2022.06.01 670
384 나무도 체조를 한다 風文 2022.06.04 815
383 세월이 지나도 변하지 않는 것 風文 2022.06.04 638
382 허둥지둥 쫓기지 않으려면 風文 2022.06.04 714
381 일단 해보기 風文 2022.06.04 726
380 말하지 않으면 아무도 도와주지 않는다. 風文 2022.08.18 844
379 나는 좋아, 그런데 왜 청하지 않니? 風文 2022.08.19 816
378 한 통의 전화가 가져다 준 행복 - 킴벨리 웨일 風文 2022.08.20 832
377 단도적입적인 접근이 일궈낸 사랑 風文 2022.08.21 886
376 끈질긴 요청이 가져온 성공 - 패티 오브리 風文 2022.08.22 750
375 딱 한 번의 실천이 가져온 행복 - 클로디트 헌터 風文 2022.08.23 697
374 남 따라한 시도가 가져온 성공 - TV 프로듀서 카를라 모건스턴 風文 2022.08.27 678
373 세계 평화를 요청한 소년 - 마크 빅터 한센 風文 2022.08.28 831
372 자기 가치를 요청한 여성 - 제인 블루스테인 風文 2022.08.28 625
371 1%의 가능성을 굳게 믿은 부부 - 릭 겔리나스 風文 2022.08.29 759
370 정열적으로 요청한 부부 - 젝키 밀러 風文 2022.08.30 837
369 공포와 맞서 요청한 남자 - 마크 빅터 한센 風文 2022.09.01 816
368 경험을 통해 배운 남자 - 하브 에커 風文 2022.09.02 720
367 끈질기게 세상에 요청한 남자 - 안토니 로빈스 風文 2022.09.03 750
366 101가지 소원 목록을 만들어라 - 바바라 드 안젤리스 風文 2022.09.04 556
365 열렬하게 믿어라 - 레이몬드 R. 風文 2022.09.05 801
364 자기 암시를 하라 風文 2022.09.07 739
363 꿈의 공책을 만들어라 - 패티 한센 風文 2022.09.08 1143
362 소원의 시한을 정하라 風文 2022.09.09 670
361 지금보다 더 나빠질 수 없다., 요청한들 잃을 것이 없다 風文 2022.09.10 70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 122 Next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