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1056 추천 수 1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개는 어떻게 웃을까」(시인 김기택)   2009년 5월 27일_스물두번째





 





동물도 웃을까? 만화 캐릭터 스누피는 웃고 울며 다양한 표정을 보여준다. 그러나 스누피의 웃음은 사람의 웃음을 개의 얼굴에 그린 것일 뿐이다. 눈초리를 구부리고, 입을 벌리고, 하하하 껄껄껄 키득키득 소리를 내며 웃는 얼굴을 동물에게서는 볼 수 없다. 언어처럼 웃음도 인간만이 가지고 있는 것일까? 동물이 인간처럼 웃지 않는다면 그들에겐 웃음이 없는 것일까? 동물도 기쁨과 즐거움의 감정을 가지고 있을 테니 어떤 식으로든 그것을 겉으로 드러내기는 할 것이다. 그렇다면 동물은 어떻게 웃을까?


우리 집 딸아이가 부모의 반대를 무릅쓰고 기르는 강아지가 있다. 이놈이 웃는 것을 본 적이 없지만 나는 이놈이 웃는다고 생각한다. 어떻게? 강아지는 얼굴로 웃는 것이 아니라 꼬리로 웃는다. 아니, 온몸으로 웃는다. 우리 식구가 바깥에 나갔다 들어오면 이놈은 꼬리를 세차게 흔들어 댄다. 껑충껑충 뛰면서 어쩔 줄 모른다. 달려들며 컹컹컹 짖는다. 마치 웃음의 에너지가 온몸에서 강력한 전력을 발생시켜, 그 짜릿한 자극을 감당할 수 없는 몸이, 그 힘을 견디려고 필사적으로 반응하는 것 같다.


개는 사람과 웃는 방법이 다를 뿐이지 웃음에는 별 차이가 없다. 오히려 개가 더 활발하고 신나게 웃는 것 같다. 개의 웃음에는 표정이 없는 대신 껑충껑충 뛰는 다리와 세차게 흔드는 꼬리가 달린 것 같다. 그 웃음은 몸 밖으로 빨리 뛰쳐나가고 싶어 안달하는 것 같다. 사람도 참을 수 없을 만큼 좋을 때는 개처럼 온몸으로 웃는다.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딴 선수가 어떻게 웃는가 보라. 얼굴 웃음으로는 도저히 다 표현할 수 없는 기쁨이 있는 것이다. 개도 기쁨의 크고 작음에 따라 꼬리만 흔들기도 하고 온몸으로 표현하기도 한다.


사람들의 표정이 다양하듯 강아지 꼬리의 움직임도 다양하다. 두려울 때는 뒷다리 안쪽으로 꼬리를 감추고 등을 잔뜩 구부린 채 어기적어기적 걷는다. 밥이나 물을 달라고 할 때는 사람의 눈을 정면으로 쳐다보고 진지한 표정으로 심각하게 꼬리를 흔든다. 꾸우웅 소리를 내거나 앞발로 바닥을 긁기도 한다. 오랫동안 개를 길러 본 사람이라면 개의 행동이나 짖는 소리를 보고 단박에 표정을 읽을 수 있을 것이다.


개는 짖는다고 하거나 운다고 하지 웃는다고 말하지는 않는다. 새도 지저귄다고 하거나 운다고 하지 웃는다고 말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주인을 보고 좋아서 짖거나 새가 아침에 이 가지에서 저 가지로 옮겨 앉으며 맑은 소리로 지저귈 때, 그들은 분명히 우는 것이 아니라 웃는 것이다. 그 소리의 가벼움과 경쾌함, 힘참, 맑음 등에서 그 웃음을 느낄 수 있다.


개의 표정은 얼굴에 없는 대신 온몸에 있다. 사람은 마음이 웃지 않으면서도 얼굴 거죽으로 웃을 수 있다. 감정과 표정을 분리시키는 기술은 지능이 높은 인간만이 할 수 있다. 개에게 그것은 도저히 따라할 수 없는 고난도의 기술이다. 개는 마음이 웃을 때에만 몸도 따라서 웃는다. 그렇지만 그것은 사람보다 열등한 능력이 아니라 우수한 능력 같기도 하다.














■ 필자 소개


 




김기택(시인)


1957년 경기도 안양에서 태어났다. 중앙대학교 영어 영문학과를 졸업했고, 89년도 한국일보 신춘문예 시 부문 당선으로 등단했다. 시집 『태아의 잠』과 『바늘 구멍 속의 폭풍』, 『사무원』 등을 냈고, 『태아의 잠』으로 ‘김수영문학상’을 수상했다. ‘현대문학상’, ‘이수문학상’, ‘미당문학상’을 수상했다.


  1. No Image notice by 風文 2023/02/04 by 風文
    Views 14797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2. 친구야 너는 아니

  3. No Image 28May
    by 바람의종
    2009/05/28 by 바람의종
    Views 5087 

    그렇게도 가까이!

  4. No Image 28May
    by 바람의종
    2009/05/28 by 바람의종
    Views 7528 

    "내가 늘 함께하리라"

  5. No Image 28May
    by 바람의종
    2009/05/28 by 바람의종
    Views 6203 

    「그 모자(母子)가 사는 법」(소설가 한창훈)

  6. No Image 28May
    by 바람의종
    2009/05/28 by 바람의종
    Views 11056 

    「개는 어떻게 웃을까」(시인 김기택)

  7. No Image 29May
    by 바람의종
    2009/05/29 by 바람의종
    Views 5489 

    먼 길을 가네

  8. No Image 30May
    by 바람의종
    2009/05/30 by 바람의종
    Views 5757 

    역경

  9. No Image 01Jun
    by 바람의종
    2009/06/01 by 바람의종
    Views 5404 

    소망의 위대함을 믿으라

  10. No Image 01Jun
    by 바람의종
    2009/06/01 by 바람의종
    Views 7313 

    「인생재난 방지대책 훈련요강 수칙」(시인 정끝별)

  11. No Image 09Jun
    by 바람의종
    2009/06/09 by 바람의종
    Views 5629 

    지난 3년이 마치 꿈을 꾼 듯

  12. No Image 09Jun
    by 바람의종
    2009/06/09 by 바람의종
    Views 6533 

    「충청도 말에 대하여」(소설가 한창훈)

  13. No Image 09Jun
    by 바람의종
    2009/06/09 by 바람의종
    Views 6177 

    「지금 알고 있는 걸 그때도 알았더라면!」(시인 정끝별)

  14. No Image 09Jun
    by 바람의종
    2009/06/09 by 바람의종
    Views 3927 

    '안심하세요, 제가 있으니까요'

  15. No Image 09Jun
    by 바람의종
    2009/06/09 by 바람의종
    Views 8037 

    「스페인 유모어」(시인 민용태)

  16. No Image 09Jun
    by 바람의종
    2009/06/09 by 바람의종
    Views 8552 

    「내 이름은 이기분」(소설가 김종광)

  17. No Image 09Jun
    by 바람의종
    2009/06/09 by 바람의종
    Views 5964 

    나무 명상

  18. No Image 09Jun
    by 바람의종
    2009/06/09 by 바람의종
    Views 10239 

    「그녀 생애 단 한 번」(소설가 정미경)

  19. No Image 09Jun
    by 바람의종
    2009/06/09 by 바람의종
    Views 5815 

    우리 사는 동안에

  20. No Image 09Jun
    by 바람의종
    2009/06/09 by 바람의종
    Views 5286 

    1cm 변화

  21. No Image 09Jun
    by 바람의종
    2009/06/09 by 바람의종
    Views 8440 

    「친구를 찾습니다」(소설가 한창훈)

  22. No Image 09Jun
    by 바람의종
    2009/06/09 by 바람의종
    Views 6494 

    아이의 웃음

  23. No Image 09Jun
    by 바람의종
    2009/06/09 by 바람의종
    Views 6693 

    「똥개의 노래」(소설가 김종광)

  24. No Image 10Jun
    by 바람의종
    2009/06/10 by 바람의종
    Views 5442 

    뿌리를 내릴 때까지

  25. No Image 10Jun
    by 바람의종
    2009/06/10 by 바람의종
    Views 6723 

    「부모님께 큰절 하고」(소설가 정미경)

  26. No Image 11Jun
    by 바람의종
    2009/06/11 by 바람의종
    Views 7448 

    지금의 너

  27. No Image 12Jun
    by 바람의종
    2009/06/12 by 바람의종
    Views 5924 

    젊었을 적의 내 몸은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 122 Next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