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6206 추천 수 1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그 모자(母子)가 사는 법」(소설가 한창훈)   2009년 5월 26일_스물한번째





 





그렇다면 어머니와 아들은 어떤가.


오래 전 나는 시골 친구 집엘 무작정 찾아들어간 적이 있다. 당시 친구는 군 제대를 하고 복학을 기다리고 있었다. 응석받이 막내아들이 군대엘 간다고 땅바닥치며 어머니 울던 시절도 다 지나고, 아이고 삼 년 동안 탈 없이 지내다가 돌아와 주어서 고맙다, 껴안던 장면도 시들어진 다음이었다.


때는 가을 추수철. 친구는 끝없는 들판 일이 지겨워, 내가 왜 제대를 했나, 한탄을 하고 있었다. 나는 당장 갈 곳이 없었고 그 집에서는 바쁜 시절에 장정 하나 찾아온 게 손해는 아니었다.   


한 보름 지나 그곳을 떠날 때가 되었다. 문제는 내 주머니에 한 푼도 없다는 데 있었다. 친구는 엄마를 졸랐다. 내 차비 명목으로 돈을 내놓으라는 거였다. 가난한 시골살림 증거는 어머니의 주머니가 으뜸이다. 어머니는 꼬깃꼬깃 만 원 한 장을 내놓았다. 친구는 더 내놓으라고 다그쳤다.


“그 돈이면 서울도 충분히 가겠다. 뭐가 더 필요하다냐?”


맞는 말이었다. 나는 친구를 한쪽으로 잡아끌었다. 그러나 밸이 뒤틀려 버린 그는 만 원짜리를 땅바닥에 패대기쳤다.  


“이것을 돈이라고 줘? 얘가 먹고 놀았소? 그동안 일한 것을 돈으로 쳐도 몇 만 원은 되겠구만.”


(내 핑계로 우려내서 지가 좀 쓰려고 했다는 고백이 나중에 있었지만 어쨌든) 어머니도 지지 않았다.


“에미한테 하는 짓 보소? 그렇다면 하루 세 끼 꼬박꼬박 먹이고 재운 것은?”


둘은 감정이 상해 갔다. 내 낯이 있지 어떻게 달랑 만 원만 주느냐? 돈이 없는 것을 어떡한단 말이냐, 거짓말 마라 고춧가루값 받은 거 봤다, 어린애들처럼 떼만 쓰면 대수냐, 나도 제대해서 이때껏 일했는데 용돈 한푼 제대로 안 주었지 않느냐, 개학하면 돈을 다발로 들고 갈 놈이 집에서 뭔 돈을 쓴다고 난리냐… 뭐 그렇게 싸움은 격해져 갔다. 밀려난 나만 아주 이상하게 되어 버리고 말았다.  


친구는 결국 최후의 수단까지 꺼내고 말았다.


“제기랄, 이렇게 하려면 뭐하러 놨어. 낳지 말지 뭐한다고 나를 놨냐고?”


내가 달려들어 입을 틀어막았으나 늦고 말았다. 나를 왜 낳았느냐. 부모 입장에서 듣기에 가장 괴로운 말 아닌가. 그러나 어머니는 같잖다는 듯이 피식 웃으며 바로 반격을 했다.


“내가 놨다냐?”


“그럼, 엄마가 안 낳고 누가 났어?”


“나는 다른 놈 낳으려고 했는데 네가 아득바득 용을 쓰고 기어 나왔지.”


친구는 역전타 한 방에 나가 떨어졌다.


지금도 손자 보러 올라오면 그 정도 투덕거리면서 지낸단다.


 














■ 필자 소개


 




한창훈(소설가)


1963년 전남 여수에서 태어났다. 소설집 『바다가 아름다운 이유』『가던 새 본다』『세상의 끝으로 간 사람』『청춘가를 불러요』가 있다. 산문소설 『바다도 가끔은 섬의 그림자를 들여다 본다』와 장편소설『홍합』『섬, 나는 세상 끝을 산다』『열 여섯의 섬』등이 있다. 동화 『검은섬의 전설』과 공동 산문집 『깊고 푸른 바다를 보았지』를 펴냈다. 제3회 한겨레문학상을 받았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風文 2023.02.04 14821
공지 친구야 너는 아니 1 風文 2015.08.20 104245
1985 뚜껑을 열자! 바람의종 2011.02.05 3040
1984 '10분만 문밖에서 기다려라' 바람의종 2011.02.05 4483
1983 영혼의 친구 바람의종 2011.02.05 5251
1982 이제 좀 쉬세요! 바람의종 2011.02.05 4791
1981 내가 가장 좋아하는 친구 바람의종 2011.02.07 3460
1980 더 잘 살기 위해서 바람의종 2011.02.07 3011
1979 어린아이에게만은 깨끗하고 건강한 음식을 먹여야 한다 바람의종 2011.02.07 2650
1978 내가 여기에 있는 이유 바람의종 2011.02.07 2979
1977 기차 사랑 바람의종 2011.02.09 3808
1976 풍요롭게 사는 사람 바람의종 2011.02.09 4647
1975 세상에서 가장 쉬운 일, 가장 어려운 일 바람의종 2011.02.09 3971
1974 다시 새살이 돋고 바람의종 2011.02.09 4358
1973 사랑이란 무엇인가? 바람의종 2011.02.10 2634
1972 고이 간직할 이야기 바람의종 2011.02.10 3951
1971 개척자 바람의종 2011.02.10 4209
1970 좋은 울림 바람의종 2011.02.10 4755
1969 창조의 순간 바람의종 2011.02.12 4943
1968 온전한 배려 바람의종 2011.02.12 3601
1967 새 지도를 만든다 바람의종 2011.02.14 2924
1966 한 명 뒤의 천 명 바람의종 2011.02.15 4318
1965 나는 너무 행복하면 눈을 감는다 바람의종 2011.02.16 3248
1964 당신만의 영웅 바람의종 2011.02.17 2924
1963 뼈저린 외로움 바람의종 2011.02.18 2777
1962 따뜻한 말은 공격하던 사람을 무장해제 시킨다 바람의종 2011.02.19 3322
1961 낯선 길을 헤매는 즐거움 바람의종 2011.02.22 461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 122 Next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