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할머니가 다녀가셨다!」(시인 정끝별)   2009년 5월 25일_스무번째





 





'엄친딸'과는 촌수가 좀 먼 '내친딸'은 모 가수의 열혈 팬이다. 봄축제를 맞아 재직 중인 대학의 총학생회에서 모 가수의 초청공연을 기획했다. 그러나 나는 못 본 것이다! 그 날 그 시간이면, 내친딸은 마땅히 학원에 앉아 있어야 할 시간이고, 며칠 전 모 가수가 진행하는 라디오 프로그램을 매일 밤 두 시간씩 작파하고 들어 대는 딸과 한판의 혈전이 있지 않았던가. 내친딸에게 이 소식을 알린다는 건, 불타는 가슴에 기름을 끼얹는 일!


 


그 날은 오게 마련이다. 현관을 들어서자마자 내친딸은 내 방으로 직방했다. 내친딸이 어떤 딸인가. 오늘의 공연이 포착되지 않았을 리 없다. 내친딸은 급기야 눈물까지 주루룩 흘리며 '제발, 엄마, 이번 중간고사 국어 100점 맞았잖아". 이렇게까지 내친딸을 구차하게 해서야, 나는 또 졌다.


 


내친딸과 들어선 운동장은 인산인해였다. 흰색 밴에서 내리는 모 가수를 보자마자 내친딸은 '어떡해-' 탄식하며 주루룩 눈물을 흘렸다. 자동반사였다. 두세 곡을 끝낸 모 가수가 무대 구석에 마련된 생수를 마시더니 남은 물을 관객을 향해 뿌렸다. 열광의 도가니였다. 그리고는 빈 생수병을 던졌다. 그런데, 그런데, 그 생수병이, 나를 향해 날아오고 있었다!


 


나는 상상할 수 없을 만큼 높이 비상했고 생수병을 낚아챘다. 자동반사였다. 어디서 그런 힘과 순발력이 솟았는지 묻지 말라. 그때 나는 확인했을 뿐이다. 아이가 떨어지면 엄마가 정말 받을 수 있구나! 생수병을 내친딸에게 건네주는 내 마음이 어땠는지도 묻지 말라. 그때 나는 확인했을 뿐이다. 질투는 나의 힘! 내친딸은 빈 생수병을 신물(神物)처럼 품에 안고 또 다른 눈물을 주루룩 흘렸으니.


 


모 가수의 초청공연은 TV에, 인터넷에 마구 떠돌아다녔다. 특히 생수병을 던진 그 장면이! 초인적으로 날아 그 생수병을 잡는 내 모습은, 다행히, 카메라 밖이었다. 그리고, 며칠이 지난밤이었다. 내친딸 방에서 일찍이 들어 본 적 없는 날카로운 비명이 울렸다. 모두 뛰쳐나와 무슨 일이냐 물었으나 대답조차 못하며 숨만 넘어가고 있었다. 재차 다그쳤을 때에야 "할머니가, 할머니가, 내 생수병을, 내 생수병을…"


 


그 날, 할머니가 다녀가셨다! 그러니까 그 날, 신물(神物) 생수병은 이미 쓸고 닦기 좋아하시는 할머니의 슬리퍼에 한번 꽉 밟힌 채 분리수거장에 들어가 다른 페트병들과 뒤섞여 있을 터였다. 그 밤 내내 내친딸은 분리수거장이 보이는 창가로 서서 소리 없이 눈물만 흘리고 있었다. 그 밤 내내 나는, 내일 당장 저 창에 자바라 설치를 다짐했으며, 창으로부터 내친딸을 떨어뜨려 놓느라 안했어도 될 말까지 하고 말았으니, “대신 싸인 받아다 줄게, 꼬옥, 알았지, 응?”


 














■ 필자 소개


 




정끝별(시인)


1964년 전남 나주에서 태어나 이화여대 국문과 및 동 대학원을 졸업했다. 1988년 《문학사상》신인 발굴 시부문에 「칼레의 바다」외 6편의 시가 당선되어 등단하였다. 1994년 〈동아일보〉신춘문예 평론부문에 당선된 후 시 쓰기와 평론 활동을 병행하고 있으며, 2005년 현재 명지대 국문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風文 2023.02.04 16105
공지 친구야 너는 아니 1 風文 2015.08.20 105521
2560 내 인생의 '가장 젊은 날' 風文 2015.02.17 8034
2559 열번 찍어 안 넘어 가는 나무도 있다 바람의종 2012.09.04 8033
2558 등 / 도종환 바람의종 2008.06.02 8028
2557 엄마의 주름 風文 2014.08.11 8028
2556 지나고 보면 아름다웠다 싶은 것 두 가지 風文 2015.06.24 8027
2555 '상처받은 치유자'(Wounded Healer) 風文 2015.07.05 8016
2554 하늘, 바람, 햇살 바람의종 2013.01.31 8007
2553 유쾌한 활동 風文 2014.12.20 8005
2552 「광진이 형」(시인 김두안) 바람의종 2009.07.06 8000
2551 이치는 마음에 있다 - 도종환 (70) 바람의종 2008.09.18 7992
2550 오늘 하루 - 도종환 (62) 바람의종 2008.08.27 7991
2549 「사랑은 아무나 하나」(시인 이상섭) 바람의종 2009.08.11 7990
2548 가슴으로 답하라 윤안젤로 2013.05.13 7985
2547 '더러움'을 씻어내자 바람의종 2012.11.28 7983
2546 내려갈 때 보았네 風文 2015.01.13 7982
2545 눈 - 도종환 (112) 바람의종 2008.12.27 7977
2544 허물 風文 2014.12.02 7976
2543 「내 말이 그렇게 어려운가요」(시인 조용미) 바람의종 2009.07.10 7973
2542 사랑할수록 바람의종 2008.12.06 7970
2541 「진한 눈물의 감동 속에도 웃음이 있다 」(시인 신달자) 바람의종 2009.05.20 7969
2540 雨中에 더욱 붉게 피는 꽃을 보며 바람의종 2008.07.01 7959
2539 '오늘 컨디션 최고야!' 風文 2014.12.28 7953
2538 아름다움과 자연 - 도종환 (74) 바람의종 2008.09.26 7948
2537 「긴장되고 웃음이 있고 재미있으며 좀 가려운」(소설가 성석제) 바람의종 2009.05.12 7948
2536 얼굴 풍경 바람의종 2012.08.20 794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 122 Next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