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할머니가 다녀가셨다!」(시인 정끝별)   2009년 5월 25일_스무번째





 





'엄친딸'과는 촌수가 좀 먼 '내친딸'은 모 가수의 열혈 팬이다. 봄축제를 맞아 재직 중인 대학의 총학생회에서 모 가수의 초청공연을 기획했다. 그러나 나는 못 본 것이다! 그 날 그 시간이면, 내친딸은 마땅히 학원에 앉아 있어야 할 시간이고, 며칠 전 모 가수가 진행하는 라디오 프로그램을 매일 밤 두 시간씩 작파하고 들어 대는 딸과 한판의 혈전이 있지 않았던가. 내친딸에게 이 소식을 알린다는 건, 불타는 가슴에 기름을 끼얹는 일!


 


그 날은 오게 마련이다. 현관을 들어서자마자 내친딸은 내 방으로 직방했다. 내친딸이 어떤 딸인가. 오늘의 공연이 포착되지 않았을 리 없다. 내친딸은 급기야 눈물까지 주루룩 흘리며 '제발, 엄마, 이번 중간고사 국어 100점 맞았잖아". 이렇게까지 내친딸을 구차하게 해서야, 나는 또 졌다.


 


내친딸과 들어선 운동장은 인산인해였다. 흰색 밴에서 내리는 모 가수를 보자마자 내친딸은 '어떡해-' 탄식하며 주루룩 눈물을 흘렸다. 자동반사였다. 두세 곡을 끝낸 모 가수가 무대 구석에 마련된 생수를 마시더니 남은 물을 관객을 향해 뿌렸다. 열광의 도가니였다. 그리고는 빈 생수병을 던졌다. 그런데, 그런데, 그 생수병이, 나를 향해 날아오고 있었다!


 


나는 상상할 수 없을 만큼 높이 비상했고 생수병을 낚아챘다. 자동반사였다. 어디서 그런 힘과 순발력이 솟았는지 묻지 말라. 그때 나는 확인했을 뿐이다. 아이가 떨어지면 엄마가 정말 받을 수 있구나! 생수병을 내친딸에게 건네주는 내 마음이 어땠는지도 묻지 말라. 그때 나는 확인했을 뿐이다. 질투는 나의 힘! 내친딸은 빈 생수병을 신물(神物)처럼 품에 안고 또 다른 눈물을 주루룩 흘렸으니.


 


모 가수의 초청공연은 TV에, 인터넷에 마구 떠돌아다녔다. 특히 생수병을 던진 그 장면이! 초인적으로 날아 그 생수병을 잡는 내 모습은, 다행히, 카메라 밖이었다. 그리고, 며칠이 지난밤이었다. 내친딸 방에서 일찍이 들어 본 적 없는 날카로운 비명이 울렸다. 모두 뛰쳐나와 무슨 일이냐 물었으나 대답조차 못하며 숨만 넘어가고 있었다. 재차 다그쳤을 때에야 "할머니가, 할머니가, 내 생수병을, 내 생수병을…"


 


그 날, 할머니가 다녀가셨다! 그러니까 그 날, 신물(神物) 생수병은 이미 쓸고 닦기 좋아하시는 할머니의 슬리퍼에 한번 꽉 밟힌 채 분리수거장에 들어가 다른 페트병들과 뒤섞여 있을 터였다. 그 밤 내내 내친딸은 분리수거장이 보이는 창가로 서서 소리 없이 눈물만 흘리고 있었다. 그 밤 내내 나는, 내일 당장 저 창에 자바라 설치를 다짐했으며, 창으로부터 내친딸을 떨어뜨려 놓느라 안했어도 될 말까지 하고 말았으니, “대신 싸인 받아다 줄게, 꼬옥, 알았지, 응?”


 














■ 필자 소개


 




정끝별(시인)


1964년 전남 나주에서 태어나 이화여대 국문과 및 동 대학원을 졸업했다. 1988년 《문학사상》신인 발굴 시부문에 「칼레의 바다」외 6편의 시가 당선되어 등단하였다. 1994년 〈동아일보〉신춘문예 평론부문에 당선된 후 시 쓰기와 평론 활동을 병행하고 있으며, 2005년 현재 명지대 국문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風文 2023.02.04 16461
공지 친구야 너는 아니 1 風文 2015.08.20 105893
535 군고구마 - 도종환 (120) 바람의종 2009.01.24 5732
534 국화(Chrysanthemum) 호단 2006.12.19 9337
533 구조선이 보인다! 風文 2020.05.03 723
532 구원의 손길 바람의종 2009.08.31 7047
531 구수한 된장찌개 바람의종 2012.08.13 8591
530 구름 위를 걷다가... 바람의종 2012.07.02 6356
529 구령 맞춰 하나 둘 風文 2020.07.08 1254
528 구경꾼 風文 2014.12.04 8083
527 교환의 비밀: 가난은 어떻게 생겨났는가 바람의종 2008.04.22 6775
526 교실의 날씨 風文 2023.10.08 874
525 괴테는 왜 이탈리아에 갔을까? 風文 2023.12.07 813
524 괴로워하고 있나요? 風文 2019.08.24 868
523 괴로운 불면의 밤 風文 2024.02.24 759
522 괜찮은 어른 風文 2023.07.27 1012
521 괜찮아요, 토닥토닥 風文 2015.07.03 5768
520 광고의 힘 風文 2023.03.14 1128
519 관찰자 바람의종 2010.07.22 2759
518 관중과 포숙아를 아십니까? 風文 2020.07.04 1132
517 관점에 따라서... 風文 2015.06.03 4469
516 관점 風文 2014.11.25 9361
515 관계 회복의 길 風文 2016.09.04 7553
514 과일 가게 아저씨가 의사보다 낫다 風文 2019.09.02 898
513 과식 바람의종 2013.01.21 7638
512 과거 風文 2014.08.11 9896
511 공포와 맞서 요청한 남자 - 마크 빅터 한센 風文 2022.09.01 97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 122 Next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