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7952 추천 수 1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칠번출구」(시인 정끝별)   2009년 5월 21일_열여덟번째





 





문자가 날아왔다. “사호선○○○역칠번출구방의원입니다 031-383-××××”. 뭠미? 어젯밤 모임에서 만났던 지인이었다. 문자를 날렸다. “메시지잘못왔어유^^ 난아직도몽롱@@중인데 벌써또한껀을?^^”. 문자를 잘못 날린 지인이 갑자기 정다워졌다. 나만 잘못 날리는 게 아니라는 안도감이 훈훈한 동지애로 화하는 찰나였다.


 


모처에 심사하러 갔을 때다. 소설 부문 심사위원으로 후배가 와 있었다. 부문별로 방을 달리해 진행되었기에 먼저 끝나면 문자를 날리기로 했다. 내가 먼저 날렸다, “우린끝!”.


 


심사 뒤풀이로 식사를 하고 있는데, 선배 마누라로부터 부르르 부르르 진동이 계속 왔다. 식사를 끝내고 후배와 함께 나오면서 전화를 걸 때까지도 몰랐다. “우린끝!”이 후배가 아닌, 선배 마누라에게 잘못 갔다는 걸.


문제는 뜬금없는 ‘우린끝!’을 받은 선배 마누라. 상상력이 마구마구 발동하기 시작. 선배에게 득달같이 전화해 “혹시 당신에게 올 메시지 아냐?" 심문도 해보다 급기야 선배와 머리를 맞대고 아귀를 맞추기 시작했다는 것. 그것도 전화로. 결론은, 연애하는군, 그런데 싸웠나, 아니 헤어졌군, 이었단다. 그리고는 딱 걸렸으니 대란다, 누구였냐고. 아쉽게도(!) 선배 마누라가 후배를 아는 사이여서 전화까지 바꿔주며 버선목을 뒤집어 버리기는 했으나…


 


문자는 늘 짧게 마련이고, 선배 마누라가 후배와 이름이 비슷했다는 게 문제였다면 문제. 수신자 이름 입력 검색 중 커서가 한 칸 더 내려갔었나 보다. 뭐, 한두 번 일도 아니다. 시집을 낼 때였다. 추천의 글을 메일로 확인한 후 인쇄로 들어가기로 했는데, 오후가 다 가는데도 도통 기별이 없었다. 문자를 날렸다. "종일기다리다눈이빠질지경이야요@@". 느닷없는 스승뻘 소설가로부터 문자가 날아왔다. "기다려라달려간다칠번출구!" 아, 이건 또 뭠미?


 


어쨌든, 어젯밤의 지인에게 문자를 날린 직후였다. 어젯밤 모임에서 발모제 효과를 톡톡히 봤다는 지인이 십 년은 젊어 보며 그 연락처를 물었던 기억이 때늦은 전광석화처럼 떠올랐다. ‘속알머리’ 없는 나도 나려니와 ‘주변머리’까지 총체적으로 부실한 남편을 위해 물었던 것이다. 훈훈한 동지애가 싸늘한 열패감으로 화하는 찰나였다. 다시 문자를 날렸다. "아하^^ 헤어! 제가착각@@ 감솨-*_*" 금세 문자가 날아왔다. "병원이름이방이에요ㅋㅋ 즐모 성취하소서!"


 














■ 필자 소개


 




정끝별 (시인)


1964년 전남 나주에서 태어나 이화여대 국문과 및 동 대학원을 졸업했다. 1988년 《문학사상》신인 발굴 시부문에 「칼레의 바다」외 6편의 시가 당선되어 등단하였다. 1994년 〈동아일보〉신춘문예 평론부문에 당선된 후 시 쓰기와 평론 활동을 병행하고 있으며, 2005년 현재 명지대 국문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1.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Date2023.02.04 By風文 Views16396
    read more
  2. 친구야 너는 아니

    Date2015.08.20 By風文 Views105821
    read more
  3. 「웃는 가난」(시인 천양희)

    Date2009.06.18 By바람의종 Views5981
    Read More
  4. 세 잔의 차

    Date2009.06.18 By바람의종 Views6021
    Read More
  5. 희망의 발견

    Date2009.06.17 By바람의종 Views8413
    Read More
  6. 「헤이맨, 승리만은 제발!」(소설가 함정임)

    Date2009.06.17 By바람의종 Views7697
    Read More
  7. 「웃음 1」(소설가 정영문)

    Date2009.06.16 By바람의종 Views6703
    Read More
  8. 손을 펴고도 살 수 있다

    Date2009.06.16 By바람의종 Views4705
    Read More
  9. 실천해야 힘이다

    Date2009.06.15 By바람의종 Views4164
    Read More
  10. 불편하지 않은 진실

    Date2009.06.15 By바람의종 Views4429
    Read More
  11. 「웃음 배달부가 되어」(시인 천양희)

    Date2009.06.12 By바람의종 Views6112
    Read More
  12. 「누구였을까」(소설가 한창훈)

    Date2009.06.12 By바람의종 Views5405
    Read More
  13. 젊었을 적의 내 몸은

    Date2009.06.12 By바람의종 Views5949
    Read More
  14. 지금의 너

    Date2009.06.11 By바람의종 Views7469
    Read More
  15. 「부모님께 큰절 하고」(소설가 정미경)

    Date2009.06.10 By바람의종 Views6750
    Read More
  16. 뿌리를 내릴 때까지

    Date2009.06.10 By바람의종 Views5454
    Read More
  17. 「똥개의 노래」(소설가 김종광)

    Date2009.06.09 By바람의종 Views6720
    Read More
  18. 아이의 웃음

    Date2009.06.09 By바람의종 Views6518
    Read More
  19. 「친구를 찾습니다」(소설가 한창훈)

    Date2009.06.09 By바람의종 Views8508
    Read More
  20. 1cm 변화

    Date2009.06.09 By바람의종 Views5331
    Read More
  21. 우리 사는 동안에

    Date2009.06.09 By바람의종 Views5839
    Read More
  22. 「그녀 생애 단 한 번」(소설가 정미경)

    Date2009.06.09 By바람의종 Views10312
    Read More
  23. 나무 명상

    Date2009.06.09 By바람의종 Views6022
    Read More
  24. 「내 이름은 이기분」(소설가 김종광)

    Date2009.06.09 By바람의종 Views8600
    Read More
  25. 「스페인 유모어」(시인 민용태)

    Date2009.06.09 By바람의종 Views8097
    Read More
  26. '안심하세요, 제가 있으니까요'

    Date2009.06.09 By바람의종 Views3977
    Read More
  27. 「지금 알고 있는 걸 그때도 알았더라면!」(시인 정끝별)

    Date2009.06.09 By바람의종 Views6219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 122 Next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