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8195 추천 수 2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그 부자(父子)가 사는 법」(소설가 한창훈)   2009년 5월 20일_열일곱번째





 





굳이 콤플렉스 관련 정신이론을 들먹이지 않더라도 아버지와 아들은 갈등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수컷으로서의 기능과 역할이 겹치기 때문이다. 인간이 동물과 다른 점이 웃음 말고도 아버지의 존재라고 하니 (그 역사가 짧아서 그러겠지만) 부자간의 갈등과 경쟁은 지금도 진행 중이다.


한 아버지가 있다.


그는 어부이다. 이른 새벽 어장을 나가기 위해서는 아들의 도움이 필요하다. 그런데 아들은 술에 취해 늦게 들어왔다. 깨우긴 했는데 병든 닭처럼 꾸벅거리고 있는 몰골을 보고 있자니 화가 솟구친다. 하지만 한바탕 해 버리면 어장은 파산이다. 꾹 누르며 평소에 준비해 둔 말을 내뱉는다.   


“이런 말 너도 들어 봤을 것이다.”


무슨 소리냐며 아들은 고개를 든다. 눈은 아예 떠지지 않는다.


“일찍 일어나는 새가 벌레를 잡아먹는다는 말 말이다. 먹고살려면 새고 사람이고 모두 부지런해야 한다는 뜻이다.”


아들은 그 상태로 답한다.


“그럼 그 벌레는요?”


“......”


“일찍 일어나는 바람에 잡아먹힌 벌레는요?”


“이 자식아, 그 벌레는 너처럼 술 퍼마시고 늦게 들어오는 놈이야. 그러니까 잡아먹히지.”


아들은 비로소 눈을 슬며시 뜬다.


“그럼 술 마시고 늦게 들어오는 새도 벌레를 잡아먹을 수 있겠네요?”


아버지는 기가 찬다. 뭔가 잘못된 것 같은데 대응이 궁하다. 속만 끓어오른다. 교육의 창이 막힌 것이다. 한동안 이를 물고 있던 아버지는 소주병을 열고 밥그릇 가득 술을 부어 준다.


“오냐, 술이 그리 좋다면 이 애비가 직접 따라 주마. 그동안 한잔도 못 준 거 한꺼번에 주는 것이니까 시원하게 마셔라.”


기세로 밀어붙이는 방법이 남았던 것이다. 숙취에 끙끙거리는데 어떻게 그 많은 소주를 마실 것인가. 잘못했습니다, 소리가 나오기를 아버지는 기다린다. 그런데 아들은 한동안 술 찰랑거리는 그릇을 바라보다가 정 그러시다면, 하고는 마신다. 아버지는 숨이 콱 막힌다. 사약 먹듯 간신히 들이킨 아들은


“저도 그동안 진심으로 술 한잔 못 올렸습니다, 사과드리는 의미에서 저도 한잔 올리겠습니다.”


이번에는 아버지 앞에 찰랑거리는 술사발이 놓인다. 자존심이 있지. 아버지는 마신다. 그리고 쓰러진다. 결국 아들이 아버지를 업다시피 하고 바다로 어장을 나간다.


 


협력의 전제조건은 갈등이다. 갈등이 소박한가 아닌가가 문제이다.  


 














■ 필자 소개


 




한창훈 (소설가)


1963년 전남 여수에서 태어났다. 소설집 『바다가 아름다운 이유』『가던 새 본다』『세상의 끝으로 간 사람』『청춘가를 불러요』가 있다. 산문소설 『바다도 가끔은 섬의 그림자를 들여다 본다』와 장편소설『홍합』『섬, 나는 세상 끝을 산다』『열 여섯의 섬』등이 있다. 동화 『검은섬의 전설』과 공동 산문집 『깊고 푸른 바다를 보았지』를 펴냈다. 제3회 한겨레문학상을 받았다.


  1.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Date2023.02.04 By風文 Views13249
    read more
  2. 친구야 너는 아니

    Date2015.08.20 By風文 Views102631
    read more
  3. 「의뭉스러운 이야기 1」(시인 이재무)

    Date2009.08.05 By바람의종 Views6933
    Read More
  4. 「웃음꽃이 넝쿨째!」(시인 손정순)

    Date2009.07.31 By바람의종 Views8483
    Read More
  5. 「웃음 배달부가 되어」(시인 천양희)

    Date2009.06.12 By바람의종 Views6031
    Read More
  6. 「웃음 3」(소설가 정영문)

    Date2009.06.25 By바람의종 Views5842
    Read More
  7. 「웃음 2」(소설가 정영문)

    Date2009.06.19 By바람의종 Views5797
    Read More
  8. 「웃음 1」(소설가 정영문)

    Date2009.06.16 By바람의종 Views6646
    Read More
  9. 「웃는 여잔 다 이뻐」(시인 김소연)

    Date2009.06.29 By바람의종 Views9267
    Read More
  10. 「웃는 동물이 오래 산다」(시인 신달자)

    Date2009.05.15 By바람의종 Views7743
    Read More
  11. 「웃는 가난」(시인 천양희)

    Date2009.06.18 By바람의종 Views5923
    Read More
  12. 「우리처럼 입원하면 되잖아요」(시인 유홍준)

    Date2009.07.17 By바람의종 Views6928
    Read More
  13. 「연변 처녀」(소설가 김도연)

    Date2009.06.26 By바람의종 Views7477
    Read More
  14. 「엉뚱스러운 문학교실」(시인 김종태)

    Date2009.07.06 By바람의종 Views7833
    Read More
  15. 「쌍둥이로 사는 일」(시인 길상호)

    Date2009.07.14 By바람의종 Views8276
    Read More
  16. 「신부(神父)님의 뒷담화」(시인 유종인)

    Date2009.08.01 By바람의종 Views6303
    Read More
  17. 「스페인 유모어」(시인 민용태)

    Date2009.06.09 By바람의종 Views8012
    Read More
  18. 「세상에 없는 범죄학 강의」(시인 최치언)

    Date2009.07.08 By바람의종 Views7660
    Read More
  19. 「성인용품점 도둑사건」(시인 신정민)

    Date2009.07.17 By바람의종 Views9158
    Read More
  20. 「사랑은 아무나 하나」(시인 이상섭)

    Date2009.08.11 By바람의종 Views7939
    Read More
  21. 「비명 소리」(시인 길상호)

    Date2009.07.15 By바람의종 Views7619
    Read More
  22. 「부모님께 큰절 하고」(소설가 정미경)

    Date2009.06.10 By바람의종 Views6687
    Read More
  23. 「밥 먹고 바다 보면 되지」(시인 권현형)

    Date2009.06.25 By바람의종 Views8773
    Read More
  24. 「바람에 날리는 남자의 마음」(소설가 성석제)

    Date2009.05.15 By바람의종 Views9378
    Read More
  25. 「미소를 600개나」(시인 천양희)

    Date2009.06.23 By바람의종 Views6195
    Read More
  26. 「만두 이야기_2」(시인 최치언)

    Date2009.07.10 By바람의종 Views6572
    Read More
  27. 「만두 이야기_1」(시인 최치언)

    Date2009.07.09 By바람의종 Views7015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 122 Next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