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7974 추천 수 1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진한 눈물의 감동 속에도 웃음이 있다 」(시인 신달자)


  2009년 5월 18일_열다섯번째





 





웃음이란 반드시 기쁜 일이나 재미있는 일에만 나오는 것은 아니다. 나는 안다. 어쩌면 진한 감동의 눈물 속에서도 웃음은 나오는 것이라는 것을 나는 안다.


그런 웃음은 맑고 눈부셔서 막 빨아 햇빛 속에 널어 놓은 하얀 옥양목 수건 같은 것일지도 모른다. 고운 흰빛이 환하게 눈부신 웃음은 그런 감동의 순간에 슬픔의 끝자락에서 묻어 나오는 것인지도 모른다.


그렇다. 웃음은 절망의 순간에도 터져 나올 수 있으며 고통의 순간에도 결코 멀어지지 않는 우리들의 가슴 속 꽃잎 같은 것일 것이다.


그 웃음을 지금 우리들은 꽃피워 내야 한다. 나는 어렵고 힘든 시절을 살아 오면서도 웃음을 잃지 않았던 것은 우리 민족의 피에 웃음의 혈맥이 뛰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우리나라 사람들에는 '신바람'이라는 넉넉하고 희망적인 유전자가 있었다. '흥'이라는 유전자가 있었다. 그 유전자들은 바위를 뚫고 일어나 솟는 힘을 가졌으며, 그 힘은 우리들의 태산을 가볍게 오르는 극복의 정신으로 이어져 왔던 것이다.


그래서 불덩이 속에서도, 재가 된 파산 위에서도 웃음을 이끌어 내고 '다시'라는 희망의 횃불을 밝혀 온 민족인 것이다. 그 힘이 웃음이었다. 둘이 모이면 노래를 부르고 셋이 모여도 노래를 부르며 지켜 온 것이 우리들의 웃음이었던 것이다. 철골 같은 우리들 정신의 저돌적 극복은 웃음에서 비롯되었을 것이다.


지금 우리는 이 웃음을 살려내야 한다. 더 큰 웃음, 더 힘있는 웃음, 더 높은 웃음을 너도 나도 이끌어 내어 우리나라를 다시 일으키는 힘의 유전자로 키워 올려야 한다.


우리는 알고 있다. 이청준의 소설 <눈길>을 읽고 마냥 울기만 했던 것은 아니다. 넘어간 집을 아들이 오기까지 지키며 그 집에서 아들을 보내고 다시 눈길 위의 아들 발자국을 되짚어 돌아가는 어머니의 모습을 보며 넋 잃고 울었던 것은 아니다. 세상에는 참으로 묘하고 신기한 인간의 혈맥이 있는데 이런 슬픈 장면에서 예상치 못한 미소와 웃음이 번진다. 그렇다. 이런 미소와 웃음이야말로 영원히 변치 않는 웃음, 영원히 우러나오는 샘 같은 웃음이 아니겠는가.


일본의 구리 료헤이의 원작 <우동 한그릇>을 읽고 울었던 것을 기억할 것이다. 그리고 어떤 표정을 지었는가.


눈물이 볼을 적셨다. 그리고 소리내어 울었다. 그리고 그 후는 어떤 표정이었나. 그 다음 우리는 이 세상에서 결코 그냥 만들어 낼 수 없는 맑은 미소와 웃음을 지었다. 그 웃음 장미 한 송이와 견줄 것인가. 그 웃음 목련 한 송이에 비할 것인가. 그것이야말로 인간이 만든 인간의 내면에 살아있는 사람의 웃음이며 향기 짙은 꽃이다.


비단 한 폭보다 질기고 아름다운 웃음, 지금 우리는 웃어야 한다. 인내에게는 이런 웃음의 비타민이 필요하다.


혼자서 웃고 둘이서 웃고 셋이서 웃으며 웃음으로 집안을, 이웃을, 사회를, 국가를 채울 수 있어야 한다. 그렇다, 우리에게는 그런 힘이 있다. 웃자.


 














■ 필자 소개


 




신달자 (시인)
경남 거창 출생. 숙명여대 국문과 및 같은 과 대학원 졸업. 1972년《현대문학》에 박목월의 추천으로 등단. 시집 『봉헌문자』『겨울축제』『모순의 방』『시간과의 동행』『아버지의 빛』『아가』『아버지의 빛』『열애』등, 장편소설 『물 위를 걷는 여자』, 산문집『백치애인』『그대에게 줄 말은 연습이 필요하다』등다수. 1964년 여상 신인여류문학상, 1989년 대한민국문학상, 2001년 시와 시학상, 2004년 시인협회상 등을 수상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風文 2023.02.04 16292
공지 친구야 너는 아니 1 風文 2015.08.20 105740
2560 지금보다 더 나빠질 수 없다., 요청한들 잃을 것이 없다 風文 2022.09.10 872
2559 지금 하라 風文 2015.04.28 6369
2558 지금 하는 일 風文 2015.06.29 6983
2557 지금 이대로도 충분합니다 風文 2014.12.02 10519
2556 지금 이 순간을 미워하면서도 風文 2022.01.09 844
2555 지금 아이들은... 風文 2019.08.27 603
2554 지금 아니면 안 되는 것 바람의종 2008.06.13 7253
2553 지금 시작하고, 지금 사랑하자! 바람의 소리 2007.09.03 8197
2552 지금 바로 윤안젤로 2013.06.05 12545
2551 지금 내가 서 있는 여기 바람의종 2010.05.29 5118
2550 지금 내 가슴이 뛰는 것은 風文 2015.03.11 10443
2549 지금 내 가슴을 뛰게 하는 것은 風文 2023.05.29 819
2548 지금 그것을 하라 바람의종 2010.07.24 6155
2547 지구의 건강 바람의종 2012.05.30 7568
2546 즐겁고 행복한 놀이 바람의종 2012.05.02 8715
2545 즐거움을 연출하라 바람의종 2009.12.22 5646
2544 즐거운 일을 만들어라 바람의종 2010.01.26 5086
2543 즉시 만나라 1 바람의종 2010.10.30 4681
2542 쥐인간의 죄책감은 유아기적 무의식부터? - 강박증에 대하여 바람의종 2007.10.10 25421
2541 중요한 것은 눈에 보이지 않는다 바람의종 2011.11.03 7563
2540 중심(中心)이 바로 서야 風文 2022.02.13 981
2539 중국 현대문학의 아버지 루쉰, 사실은 의사 지망생이었다? 바람의종 2007.02.28 11373
2538 중국 비즈니스 성패의 절대요건 風文 2014.11.24 8910
2537 중간지대 風文 2019.06.05 1228
2536 중간의 목소리로 살아가라 風文 2021.11.10 109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 122 Next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