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9492 추천 수 1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겨울 나무 - 도종환 (130)


목련나무의 봉오리가 붓끝처럼 휘어진 채 가지 끝에 얹혀 있습니다. 마당을 거닐다가 다가가서 손으로 만져보았습니다. 보기엔 붓끝 같지만 실제론 딱딱하였습니다. 손가락 끝에 닿는 느낌이 나뭇가지와 별 차이가 없습니다. 산수유나무 꽃눈도 만져보니 마찬가지로 딱딱하였습니다. 겨울을 견디느라 몸 전체로 긴장하고 있구나 하는 생각을 했습니다. 산에 있는 다른 나무들도 다 그럴 겁니다. 앙상한 가지만으로 겨울을 견디고 있는 그들의 몸은 텅 비어 있습니다. 날이 좀 풀리긴 했지만 겨울이 다 간 건 아닙니다. 몇 번 더 찬바람이 몰려오고 저수지가 다시 얼기도 하겠지요. 그걸 생각하며 빈 몸, 빈 가지로 침묵하고 있는 겨울 숲의 풍경은 삭막합니다.

사람들이 가진 걸 잃고 빈 몸이 된 걸 보면 우리는 쉽게 '이제 저 사람 끝났구나' 하고 생각합니다. 직장을 쫓겨나거나 자리를 잃는 걸 볼 때도 그렇게 말합니다. 그동안 지녔던 꽃 같고 열매 같은 걸 지키지 못하면 '헛살았다'고 말합니다. 권력을 빼앗기는 걸 보면 '이제 너희 시대는 갔어' 라고 말합니다. 불명예스러운 일을 저지르고 손가락질 받는 걸 보면 함께 욕을 하며 등을 돌립니다.

그러나 나는 겨울나무들이 이제 끝났다고 말하지 않습니다. 겨울나무들은 지금 이 순간을 견디고 있을 뿐입니다. 다른 계절을 살고 있으므로 꽃도 열매도 내려놓고 다만 침묵 속에 서 있는 것입니다. 칼바람 속에서 조용히 기다리고 있어야 하는 날도 있다고 나무들은 생각할 겁니다. 앙상한 저 나무들이 지난날 숲을 이루고 산맥의 큰 줄기를 지켜왔던 걸 나는 기억하고 있습니다.

꽃 같고 열매 같던 걸 지키지 못했지만 아직 끝났다고 함부로 말할 수 없는 사람도 있습니다. 우리가 '이제 네겐 더 기대할 게 없다'고 말한 사람 중에도 겨울나무처럼 견디고 있는 이가 있을지 모릅니다. 작은 언덕과 같은 공동체도 그들이 물러서지 않고 거기 있었기 때문에 지킬 수 있었고, 한 시대 또한 그들로 인해 부끄럽지 않았던 걸 기억하게 하는 사람은 더욱 그렇습니다.

잎새 다 떨구고 앙상해진 저 나무를 보고
누가 헛살았다 말하는가 열매 다 빼앗기고
냉랭한 바람 앞에 서 있는
나무를 보고 누가 잘못 살았다 하는가
저 헐벗은 나무들이 산을 지키고
숲을 이루어 내지 않았는가
하찮은 언덕도 산맥의 큰 줄기도
그들이 젊은 날 다 바쳐 지켜오지 않았는가
빈 가지에 새 없는 둥지 하나 매달고 있어도
끝났다 끝났다고 함부로 말하지 말라
실패하였다고 쉽게 말하지 말라
이웃 산들이 하나씩 허물어지는 걸 보면서도
지킬 자리가 더 많다고 믿으며
물러서지 않고 버텨온 청춘
아프고 눈물겹게 지켜낸 한 시대를 빼놓고

--- 졸시 「겨울나무」



/도종환 시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風文 2023.02.04 16799
공지 친구야 너는 아니 1 風文 2015.08.20 106277
2610 선한 싸움 風文 2014.12.22 8278
2609 향기에서 향기로 바람의종 2012.12.31 8277
2608 가을이 떠나려합니다 風文 2014.12.03 8276
2607 화려한 중세 미술의 철학적 기반 바람의종 2008.06.11 8275
2606 바람의종 2012.02.02 8271
2605 혼자서는 이룰 수 없다 바람의종 2008.10.10 8270
2604 큰일을 낸다 바람의종 2012.09.11 8270
2603 오늘 음식 맛 바람의종 2012.12.10 8269
2602 새로운 세상을 창조한다 바람의종 2012.12.21 8261
2601 소인배 - 도종환 바람의종 2008.07.24 8259
2600 '굿바이 슬픔' 윤안젤로 2013.03.05 8244
2599 연암 박지원의 황금에 대한 생각 바람의종 2007.02.01 8223
2598 인생 기술 바람의종 2013.01.21 8217
2597 친구라는 아름다운 이름 바람의종 2008.09.29 8213
2596 가장 작은 소리, 더 작은 소리 바람의종 2012.10.30 8213
2595 어머니가 촛불로 밥을 지으신다 바람의종 2008.10.23 8211
2594 그 꽃 바람의종 2013.01.14 8210
2593 더 넓은 공간으로 바람의종 2012.11.22 8204
2592 지금 시작하고, 지금 사랑하자! 바람의 소리 2007.09.03 8199
2591 「이런 웃음을 웃고 싶다」(시인 김기택) 바람의종 2009.05.20 8195
2590 참기름 장사와 명궁 바람의종 2008.01.28 8194
2589 모든 순간에 잘 살아야 한다 風文 2017.01.02 8193
2588 '산길의 마법' 윤안젤로 2013.04.11 8192
2587 꿈은 춤이다 바람의종 2012.06.13 8191
2586 하루에 한끼만 먹어라 바람의종 2012.09.23 819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 122 Next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