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9367 추천 수 1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겨울 나무 - 도종환 (130)


목련나무의 봉오리가 붓끝처럼 휘어진 채 가지 끝에 얹혀 있습니다. 마당을 거닐다가 다가가서 손으로 만져보았습니다. 보기엔 붓끝 같지만 실제론 딱딱하였습니다. 손가락 끝에 닿는 느낌이 나뭇가지와 별 차이가 없습니다. 산수유나무 꽃눈도 만져보니 마찬가지로 딱딱하였습니다. 겨울을 견디느라 몸 전체로 긴장하고 있구나 하는 생각을 했습니다. 산에 있는 다른 나무들도 다 그럴 겁니다. 앙상한 가지만으로 겨울을 견디고 있는 그들의 몸은 텅 비어 있습니다. 날이 좀 풀리긴 했지만 겨울이 다 간 건 아닙니다. 몇 번 더 찬바람이 몰려오고 저수지가 다시 얼기도 하겠지요. 그걸 생각하며 빈 몸, 빈 가지로 침묵하고 있는 겨울 숲의 풍경은 삭막합니다.

사람들이 가진 걸 잃고 빈 몸이 된 걸 보면 우리는 쉽게 '이제 저 사람 끝났구나' 하고 생각합니다. 직장을 쫓겨나거나 자리를 잃는 걸 볼 때도 그렇게 말합니다. 그동안 지녔던 꽃 같고 열매 같은 걸 지키지 못하면 '헛살았다'고 말합니다. 권력을 빼앗기는 걸 보면 '이제 너희 시대는 갔어' 라고 말합니다. 불명예스러운 일을 저지르고 손가락질 받는 걸 보면 함께 욕을 하며 등을 돌립니다.

그러나 나는 겨울나무들이 이제 끝났다고 말하지 않습니다. 겨울나무들은 지금 이 순간을 견디고 있을 뿐입니다. 다른 계절을 살고 있으므로 꽃도 열매도 내려놓고 다만 침묵 속에 서 있는 것입니다. 칼바람 속에서 조용히 기다리고 있어야 하는 날도 있다고 나무들은 생각할 겁니다. 앙상한 저 나무들이 지난날 숲을 이루고 산맥의 큰 줄기를 지켜왔던 걸 나는 기억하고 있습니다.

꽃 같고 열매 같던 걸 지키지 못했지만 아직 끝났다고 함부로 말할 수 없는 사람도 있습니다. 우리가 '이제 네겐 더 기대할 게 없다'고 말한 사람 중에도 겨울나무처럼 견디고 있는 이가 있을지 모릅니다. 작은 언덕과 같은 공동체도 그들이 물러서지 않고 거기 있었기 때문에 지킬 수 있었고, 한 시대 또한 그들로 인해 부끄럽지 않았던 걸 기억하게 하는 사람은 더욱 그렇습니다.

잎새 다 떨구고 앙상해진 저 나무를 보고
누가 헛살았다 말하는가 열매 다 빼앗기고
냉랭한 바람 앞에 서 있는
나무를 보고 누가 잘못 살았다 하는가
저 헐벗은 나무들이 산을 지키고
숲을 이루어 내지 않았는가
하찮은 언덕도 산맥의 큰 줄기도
그들이 젊은 날 다 바쳐 지켜오지 않았는가
빈 가지에 새 없는 둥지 하나 매달고 있어도
끝났다 끝났다고 함부로 말하지 말라
실패하였다고 쉽게 말하지 말라
이웃 산들이 하나씩 허물어지는 걸 보면서도
지킬 자리가 더 많다고 믿으며
물러서지 않고 버텨온 청춘
아프고 눈물겹게 지켜낸 한 시대를 빼놓고

--- 졸시 「겨울나무」



/도종환 시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風文 2023.02.04 13581
공지 친구야 너는 아니 1 風文 2015.08.20 102918
410 호기심 천국 風文 2022.12.19 780
409 헬퍼스 하이(Helper's High) 風文 2022.02.24 779
408 소년소녀여, 눈부신 바다에 뛰어들라! 風文 2022.05.25 779
407 24시간 스트레스 風文 2023.08.05 779
406 균형 風文 2019.09.02 778
405 당신 자신에게 던지는 질문 4 - 짐 캐츠카트 風文 2022.11.23 778
404 우주심(宇宙心)과 에고(Ego) 風文 2023.07.27 778
403 빨래를 보면 다 보인다 風文 2023.08.04 778
402 춤을 추는 순간 風文 2023.10.08 778
401 '정말 이게 꼭 필요한가?' 風文 2020.05.05 777
400 외로움을 덜기 위해서 風文 2023.01.13 777
399 첫눈에 반한 사랑 風文 2023.04.16 777
398 살아있는 지중해 신화와 전설 - 9.3.미트라 風文 2023.11.24 777
397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 風文 2020.05.07 776
396 1%의 가능성을 굳게 믿은 부부 - 릭 겔리나스 風文 2022.08.29 776
395 아직 시간이 남아 있어요 風文 2019.08.25 775
394 신앙으로 다시 서는 사람들 風文 2021.09.05 775
393 '내일은 아이들과 더 잘 놀아야지' 風文 2022.05.23 775
392 시간이라는 약 風文 2023.08.17 775
391 '어른 아이' 모차르트 風文 2023.11.21 775
390 많은 것들과의 관계 風文 2023.08.07 774
389 큰 방황은 큰 사람을 낳는다 - 10. 가치 風文 2020.06.05 773
388 자기주도적인 삶 風文 2020.06.06 773
387 '내가 왜 사는 거지?' 風文 2023.06.08 773
386 얼어붙은 바다를 쪼개는 도끼처럼 風文 2023.09.21 77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 122 Next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