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9430 추천 수 1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겨울 나무 - 도종환 (130)


목련나무의 봉오리가 붓끝처럼 휘어진 채 가지 끝에 얹혀 있습니다. 마당을 거닐다가 다가가서 손으로 만져보았습니다. 보기엔 붓끝 같지만 실제론 딱딱하였습니다. 손가락 끝에 닿는 느낌이 나뭇가지와 별 차이가 없습니다. 산수유나무 꽃눈도 만져보니 마찬가지로 딱딱하였습니다. 겨울을 견디느라 몸 전체로 긴장하고 있구나 하는 생각을 했습니다. 산에 있는 다른 나무들도 다 그럴 겁니다. 앙상한 가지만으로 겨울을 견디고 있는 그들의 몸은 텅 비어 있습니다. 날이 좀 풀리긴 했지만 겨울이 다 간 건 아닙니다. 몇 번 더 찬바람이 몰려오고 저수지가 다시 얼기도 하겠지요. 그걸 생각하며 빈 몸, 빈 가지로 침묵하고 있는 겨울 숲의 풍경은 삭막합니다.

사람들이 가진 걸 잃고 빈 몸이 된 걸 보면 우리는 쉽게 '이제 저 사람 끝났구나' 하고 생각합니다. 직장을 쫓겨나거나 자리를 잃는 걸 볼 때도 그렇게 말합니다. 그동안 지녔던 꽃 같고 열매 같은 걸 지키지 못하면 '헛살았다'고 말합니다. 권력을 빼앗기는 걸 보면 '이제 너희 시대는 갔어' 라고 말합니다. 불명예스러운 일을 저지르고 손가락질 받는 걸 보면 함께 욕을 하며 등을 돌립니다.

그러나 나는 겨울나무들이 이제 끝났다고 말하지 않습니다. 겨울나무들은 지금 이 순간을 견디고 있을 뿐입니다. 다른 계절을 살고 있으므로 꽃도 열매도 내려놓고 다만 침묵 속에 서 있는 것입니다. 칼바람 속에서 조용히 기다리고 있어야 하는 날도 있다고 나무들은 생각할 겁니다. 앙상한 저 나무들이 지난날 숲을 이루고 산맥의 큰 줄기를 지켜왔던 걸 나는 기억하고 있습니다.

꽃 같고 열매 같던 걸 지키지 못했지만 아직 끝났다고 함부로 말할 수 없는 사람도 있습니다. 우리가 '이제 네겐 더 기대할 게 없다'고 말한 사람 중에도 겨울나무처럼 견디고 있는 이가 있을지 모릅니다. 작은 언덕과 같은 공동체도 그들이 물러서지 않고 거기 있었기 때문에 지킬 수 있었고, 한 시대 또한 그들로 인해 부끄럽지 않았던 걸 기억하게 하는 사람은 더욱 그렇습니다.

잎새 다 떨구고 앙상해진 저 나무를 보고
누가 헛살았다 말하는가 열매 다 빼앗기고
냉랭한 바람 앞에 서 있는
나무를 보고 누가 잘못 살았다 하는가
저 헐벗은 나무들이 산을 지키고
숲을 이루어 내지 않았는가
하찮은 언덕도 산맥의 큰 줄기도
그들이 젊은 날 다 바쳐 지켜오지 않았는가
빈 가지에 새 없는 둥지 하나 매달고 있어도
끝났다 끝났다고 함부로 말하지 말라
실패하였다고 쉽게 말하지 말라
이웃 산들이 하나씩 허물어지는 걸 보면서도
지킬 자리가 더 많다고 믿으며
물러서지 않고 버텨온 청춘
아프고 눈물겹게 지켜낸 한 시대를 빼놓고

--- 졸시 「겨울나무」



/도종환 시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風文 2023.02.04 16089
공지 친구야 너는 아니 1 風文 2015.08.20 105504
410 「그 부자(父子)가 사는 법」(소설가 한창훈) 바람의종 2009.05.20 8329
409 외로움 때문에 바람의종 2012.11.14 8329
408 1만 시간의 법칙 바람의종 2012.12.21 8329
407 나그네 바람의종 2007.03.09 8335
406 "일단 해봐야지, 엄마" 風文 2014.12.24 8336
405 고마워... 윤안젤로 2013.03.07 8337
404 이야기가 있는 곳 風文 2014.12.18 8346
403 "우리는 행복했다" 바람의종 2013.02.14 8347
402 '찰지력'과 센스 바람의종 2012.06.11 8351
401 solomoon 의 잃어버린 사랑을 위하여(17대 대선 특별판) 바람의종 2007.12.20 8366
400 나를 인정해 주는 사람 風文 2015.08.09 8372
399 아플 틈도 없다 바람의종 2012.10.30 8377
398 귀뚜라미 - 도종환 (66) 바람의종 2008.09.05 8378
397 전혀 다른 세계 바람의종 2008.10.17 8387
396 「쌍둥이로 사는 일」(시인 길상호) 바람의종 2009.07.14 8387
395 이거 있으세요? 바람의종 2008.03.19 8390
394 한 번쯤은 바람의종 2009.04.25 8396
393 곡선의 길 바람의종 2012.12.27 8398
392 행복한 미래로 가는 오래된 네 가지 철학 바람의종 2008.04.16 8405
391 희망의 발견 바람의종 2009.06.17 8406
390 젊은 친구 윤안젤로 2013.03.05 8411
389 절제, 나잇값 風文 2014.12.18 8411
388 선암사 소나무 風文 2014.12.17 8414
387 큐피드 화살 風文 2014.11.24 8416
386 신성한 지혜 風文 2014.12.05 841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 122 Next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