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21523 추천 수 1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세한도(歲寒圖) - 도종환 (125)


세상이 나를 잊어도 나는 정신을 잃지 말자고 추사는 세한도를 그렸습니다. 세상이 엄혹할수록 꼿꼿한 정신을 지니는 일이 필요하다고 그는 생각했을 겁니다. 그가 외로운 적거지에서 푸르게 살아 견딘 유배의 세월은 얼마나 많은 이들의 삶에 따뜻한 위로가 되는지 모릅니다.

그는 여윈 소나무와 잣나무를 그려놓고 "공자께서 이르시기를 소나무와 잣나무는 사철 잎이 시들지 않아서 날이 추워지기 전에도 그대로의 소나무 잣나무요 날이 추워진 뒤에도 그대로의 소나무 잣나무"라고 한다고 제자 이상적에게 글을 적어 보냈습니다. 세상은 도도히 권력과 이익을 좇아 흘러가는데 권력과 이익을 뿌리치고 언제나 한결같은 마음으로 자신을 대해주는 제자에게 고마운 마음으로 세한도를 그려 보낸 것입니다. 이미 오래전부터 세한도는 정신의 한 표상이 되어 있습니다. 곽재구 시인은 「세한도」라는 시에서 이렇게 겨울을 노래한 바 있습니다.

수돗물도 숨차 못 오르는 고지대의 전세방을
칠년씩이나 명아주풀 몇 포기와 함께 흔들려온
풀내 나는 아내의 이야기를 나는 또 쓰고 싶다
방안까지 고드름이 쩌렁대는 경신년 혹한
가게의 덧눈에도 북풍에도 송이눈이 쌓이는데
고향에서 부쳐온 칡뿌리를 옹기다로에 끓이며
아내는 또 이 겨울의 남은 슬픔을
뜨개질하고 있을 것이다
은색으로 죽어 있는 서울의 모든 슬픔들을 위하여
예식조차 못 올린 반도의 많은 그리움을 위하여
밤늦게 등을 켜고
한 마리의 들사슴이나
고사리의 새순이라도 새길 것이다
---곽재구「세한도」(이근배 엮음, 『시로 그린 세한도』) 중에서

수돗물도 숨차 못 오르는 고지대의 전세방을 시인은 추사의 대정 적거지와 크게 다르지 않다고 생각했던 것 같습니다. 방안까지 고드름이 쩌렁대는 혹한이 유배의 세월을 사는 것과 같다고 생각했을지도 모릅니다. 아니 그렇게 살아가는 가난한 사람들, 가난한 정신을 생각했을 것입니다.

고향을 떠나와 서울의 변두리나 산동네에 거처를 정하고 어렵게 살아가는 많은 사람들, 그들의 슬픔, "은색으로 죽어 있는 서울의 모든 슬픔들을 위하여" 무슨 이야기인가를 하고 싶었을 것입니다. 추사가 붓을 들고 먹을 갈아 세한도를 그리는 심정으로 "칡뿌리를 옹기다로에 끓이며""이 겨울의 남은 슬픔을 / 뜨개질하"는 아내를 바라보았을 것입니다.

세상은 오늘도 권력을 가진 이를 향하여 머리를 조아리고, 이익이 되는 일이라고 판단되면 가난하고 가진 것 없는 불쌍한 이들을 마구 짓밟고 내쫓는 일을 되풀이합니다. 심지어 죽음으로 내몰고 난 뒤에도 부끄러워 할 줄 모르고, 어디로 어떻게 책임을 떠넘길 것인지만을 궁리합니다. 인면수심의 세월을 살고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러나 세상이 아무리 냉혹해져도 소나무와 잣나무의 정신으로 푸르게 살아 깨어 있는 이들이 있습니다. 그들이 이 세월을 지켜보고 있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됩니다.



/도종환 시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風文 2023.02.04 13040
공지 친구야 너는 아니 1 風文 2015.08.20 102401
410 나그네 바람의종 2007.03.09 8242
409 큐피드 화살 風文 2014.11.24 8243
408 무슨 일이 일어나든... 風文 2014.12.28 8243
407 아버지의 포옹 바람의종 2013.02.14 8244
406 희망의 발견 바람의종 2009.06.17 8245
405 벽을 허물자 바람의종 2008.11.29 8247
404 흉내내기 風文 2014.12.16 8247
403 solomoon 의 잃어버린 사랑을 위하여(17대 대선 특별판) 바람의종 2007.12.20 8255
402 고마워... 윤안젤로 2013.03.07 8264
401 「쌍둥이로 사는 일」(시인 길상호) 바람의종 2009.07.14 8267
400 "우리는 행복했다" 바람의종 2013.02.14 8276
399 단식과 건강 바람의종 2013.02.14 8279
398 아버지 책 속의 옛날돈 윤안젤로 2013.03.11 8282
397 몸에 잘 맞는 옷 윤안젤로 2013.05.15 8285
396 이거 있으세요? 바람의종 2008.03.19 8290
395 휴식은 생산이다 風文 2014.12.18 8293
394 1만 시간의 법칙 바람의종 2012.12.21 8296
393 신성한 지혜 風文 2014.12.05 8297
392 '찰지력'과 센스 바람의종 2012.06.11 8298
391 저녁 무렵 - 도종환 (79) 바람의종 2008.10.10 8303
390 행복한 미래로 가는 오래된 네 가지 철학 바람의종 2008.04.16 8305
389 아름다운 마무리 風文 2014.08.18 8305
388 귀뚜라미 - 도종환 (66) 바람의종 2008.09.05 8306
387 한 번쯤은 바람의종 2009.04.25 8310
386 외로움 때문에 바람의종 2012.11.14 831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 122 Next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