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5511 추천 수 1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화이부동(和而不同)


새해가 되면 서로 덕담을 주고받습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덕담을 한자성어처럼 압축된 말로 줄여서 전하기도 합니다. 시화연풍이니 근하신년이니 하는 말들이 그렇습니다. 《교수신문》이 180명의 교수들을 대상으로 올 한 해 희망을 주는 사자성어에 대해 설문조사를 했더니 '화이부동' 이라고 대답한 사람이 가장 많았다고 한 일간지가 전합니다.

'화이부동'(和而不同)은 참 좋은 말입니다. 이 말은 "군자는 화이부동(和而不同)하고 소인은 동이불화(同而不和)한다"는 데서 비롯된 말로『논어』'자로' 편에 나옵니다. 군자는 화합하고 화목하되 남들에게 똑같아지기를 요구하지 않으며, 소인은 같은 점이 많아도 서로 화합하지 못한다는 뜻으로 풀이합니다. 화이부동의 부동(不同)을 더 넓게 보면 남에게 똑같아지기를 요구하지 않는 것만이 아니라, 내가 소신 없이 남과 똑같아지려고 하지 않는다, 즉 부화뇌동하지 않는다는 의미도 있습니다.

화합하려면 상대방을 인정해야 합니다. 상대방은 나와 다른 사람이라는 것을 전제로 합니다. 생각이 다르고 살아가는 방식이 다른 타자의 존재를 인정하고 받아들이며 그와 대화하고 공통의 이해가 만나는 지점을 찾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화합의 과정입니다. 화합은 다양성을 인정하는 것을 기본으로 합니다. 이념이 다르고 계층이 다르고 추구하는 목적이 다르고 살아온 지역과 문화가 다르지만 그것을 어떻게 아우르고 대립을 최소화하며 싸움과 전쟁으로 가지 않게 할 것인가를 고민하는 것이 군자가 해야 할 일입니다.

차이와 불평등을 인정하지만 어떻게 그것을 최소화하고 갈등을 풀어가며 공통의 이해를 끌어내어 평등하고 민주적인 결론을 도출해 갈 것인가를 고민하는 게 정치입니다. 그래서 정치는 어려운 것입니다. 동이불화(同而不和)하기는 쉽습니다. 나하고 같은 생각을 가진 사람, 같은 목적을 가진 사람하고만 모여서 이야기하고 밥 먹고 그 사람들하고만 어울리며 같은 이해관계만을 관철하는 일은 쉽습니다. 나와 생각이 다른 사람은 힘으로 누르고 따르지 않으면 폭력을 사용해서라도 관철시키고 복종하게 하는 일은 편한 방법입니다.

생각이 다른 사람들 하고 어떻게 일하느냐는 말이 대통령의 입에서 자주 나온다는 말을 듣습니다. 이 정부의 임기가 끝나고 나서 평가를 받아야 할 때 가장 아프게 지적받는 것 중의 하나가 화이부동하지 못하고 동이불화한 정권이었다는 평가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경제적으로 불평등하고 사회적으로 불균형한 것을 조정하고 최소화해나가는 것을 정치라고 합니다. 목적한 것을 이루기 위해 힘으로 밀어붙이는 것은 정치가 아니라 폭력입니다.

사회가 성숙한다는 것은 동의 논리에서 화의 논리로 변화해 간다는 것입니다. 싸움보다는 화합, 힘보다는 대화, 전쟁보다는 평화, 지배와 억압보다는 공존공생, 차별보다는 존중, 편견과 무시보다는 관심과 인정이 필요합니다. 정치만이 아니라 개인의 삶에서도 그렇고 국제관계와 남북문제에 있어서도 그렇습니다. 화의 논리를 받아들이는 것은 자신감의 표현이기도 합니다. 자신에 대한 믿음 인간에 대한 신뢰를 가진 사람은 화의 논리에서 출발합니다. 아니 화의 논리야말로 신의 의지이기도 합니다. 이웃, 즉 내가 아닌 다른 사람을 내 몸 같이 사랑하라고 끝없이 요구하는 분이 우리가 믿는 신입니다. 우리들 각자도 정치하는 사람들도 동이불화하지 말고 화이부동하는 한 해가 되길 기대합니다.

/도종환 시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風文 2023.02.04 17421
공지 친구야 너는 아니 1 風文 2015.08.20 106960
1689 새해에는... 風文 2016.12.10 5452
1688 '지금, 여기' 風文 2015.04.27 5447
1687 오래 슬퍼하지 말아요 바람의종 2011.10.27 5445
1686 봄은 처음의 모습으로 돌아옵니다 - 도종환 (142) 바람의종 2009.03.14 5443
1685 「누구였을까」(소설가 한창훈) 바람의종 2009.06.12 5438
1684 행위 그 자체 - 간디 바람의종 2009.07.18 5437
1683 개울에 물이 흐르다 바람의종 2009.08.27 5437
1682 아, 얼마나 큰 죄를 짓고 있는 것인가 - 도종환 (84) 바람의종 2008.10.22 5436
1681 고추 농사 바람의종 2009.09.22 5435
1680 예수님이 오신 뜻 - 도종환 (111) 바람의종 2008.12.26 5432
1679 건설적인 생각 바람의종 2011.12.17 5431
1678 아이들은 이야기와 함께 자란다 바람의종 2012.05.09 5425
1677 꿈꾸는 집 바람의종 2011.06.28 5416
1676 밧줄 하나 바람의종 2011.11.11 5416
1675 젊은 친구 바람의종 2008.12.17 5405
1674 '길 위의 학교' 바람의종 2009.11.09 5405
1673 상처 난 곳에 '호' 해주자 바람의종 2008.11.24 5404
1672 매너가 경쟁력이다 바람의종 2008.05.27 5399
1671 불은 나무에서 생겨 나무를 불사른다 - 도종환 (92) 바람의종 2008.11.11 5395
1670 1cm 변화 바람의종 2009.06.09 5395
1669 한 다발의 시린 사랑얘기 1/2 바람의종 2010.04.24 5394
1668 긍정적 해석 바람의종 2009.09.18 5392
1667 박달재 - 도종환 (65) 바람의종 2008.09.04 5388
1666 거울은 먼저 웃지 않는다 바람의종 2011.09.29 5383
1665 우정 바람의종 2012.02.20 538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 122 Next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