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6361 추천 수 1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새해 산행


어수선한 연말이 지나고 또 바쁘게 새해가 왔습니다.
한 해가 가고 새해가 오는 연말연시는 차분하게 한 해를 마무리 짓고 새해 계획을 세우기 위해 마음을 가다듬는 시간보다는 대개 바쁘게 보내는 시간이 더 많습니다. 연말에는 한 해를 마무리하기 위한 각종 송년 모임으로 분주하고, 새해 첫날부터는 새롭게 시작하기 위한 인사를 하기 위해 바쁩니다. 신정 연휴를 보내면서 조용히 새로운 다짐을 해 보거나 새해 계획을 세울 시간도 없이 쫓기듯 한 해를 시작합니다.

연초에는 일부러 시간을 내서 산행을 했습니다.
겨울 산길은 언제 찾아도 좋습니다. 도심 속에서 쫓기는 생활, 무겁고 분주한 생각의 실타래들을 털고 빈 마음으로 산을 대할 수 있어서 좋습니다. 겨울 골짝을 얼지 않고 흐르는 물소리의 신선함이 좋고 참나무 마른 잎새를 스치고 지나가는 바람 소리가 제대로 들려서 좋습니다. 다른 계절의 산행 때와는 다르게 사람이 많지 않아서 더욱 좋습니다. 걸음이 여유로워지고 따라서 마음도 더욱 여유가 생깁니다.

그런데 사람의 몸은 허약하기 짝이 없고 마음 또한 변하기 쉬운 것이어서 몇 시간씩 걷다 보면 자연 발걸음도 무겁고 마음도 지치게 됩니다. 그럴 때면 올 한 해는 또 얼마나 힘들 것인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이렇게 산뜻한 걸음, 가벼운 마음으로 출발을 해도 걷다 보면 지치는 것입니다. 내가 선택한 길인데도 원망과 짜증이 생기고 그만 쉬고 싶다는 생각이 자꾸 생깁니다. 등에 진 짐도 무거워지고 이 짐을 벗어 다른 사람에게 주고 싶어 주저앉았는데 그 이야기가 떠올랐습니다.

원래 사람의 수명은 서른 살이었다고 합니다. 하느님이 우주 만물을 창조하시면서 다른 동물들과 똑같이 서른 살로 정하셨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당나귀가 달려와 "하느님, 그렇게 오래 살면 저는 허리가 휘도록 일을 해야 합니다. 줄여 주십시오." 해서 당나귀의 수명을 십이 년 깎아 십팔 년이 되게 했답니다.

그랬더니 개가 달려와 "저는 그렇게 오래 뛰어다닐 수가 없으니 저도 줄여 주십시오." 하고 간청해서 십팔 년을 줄여 십이 년이 되게 하였답니다. 이번에는 원숭이가 달려와 "저는 사람들을 웃기고 재롱이나 떨면서 사는데 늙어서는 그렇게 할 수도 없으니 깎아 주십시오." 하여 십 년으로 줄여 주었답니다.

그런데 사람은 하느님께 찾아와 "삼십 년은 너무 짧습니다." 하고 화를 내기에 당나귀와 개, 원숭이에게서 줄인 것을 모두 합쳐 사람에게 주었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사람의 수명은 팔십이 되었는데, 그 덕택에 사람은 사는 동안 당나귀처럼 무거운 짐을 지고 가야 하고, 개처럼 헐레벌떡 뛰어다녀야 하며, 원숭이처럼 먹을 것을 던져 주는 사람 앞에서 재롱을 떨고 바보짓을 하며 살게 되었다는 것입니다.

독일에서 전해 오는 이 이야기를 생각하며 올 한 해 우리가 지고 가야 할 짐과 바쁘게 뛰어다녀야 할 나날들과 밥벌이를 해야 할 시간들을 떠올려 보았습니다. 그러나 꼭 그렇지만은 않을 것입니다. 우리가 하는 일에서 삶의 보람을 찾고, 차곡차곡 쌓이는 일의 성과 속에서 살아 있는 의미를 확인하며, 그것으로 생활의 양식을 벌어 간다면 우리 인생은 그렇게 헛된 노고로 이어지는 삶만은 아닐 것입니다.

그럴 때일수록 마음을 다독이고 여유를 가져야 합니다. 그리고 또 가는 거지요. 저 산 저 고개 내가 넘어야 할 곳을 잃지 않으면 됩니다. 올 한 해도 앞으로 나의 인생도 그렇게 걸어가자는 생각을 했습니다.

마지막 정상을 향해 가는 길이 늘 제일 힘들지만, 그 고개를 넘었을 때의 기쁨 또한 고통 때문에 더욱 커지는 것이니 그렇게 묵묵히 가자 그런 생각도 들었습니다.

고갯마루가 얼마 남지 않았을 때였습니다. 걸음을 멈추고 뒤를 돌아다보았습니다. 산기슭마다 아름다운 눈으로 덮인 주흘산 봉우리가 보였습니다. 비경이었습니다. 저 아름다운 모습을 제대로 못보고 앞만 보고 왔구나. 가다가 가끔씩 뒤돌아보면 저렇게 아름다운 모습을 볼 수 있는데 올해도 또 앞만 보고 걷는 건 아닐는지 그 생각이 들었습니다.

올 한 해. 우리 모두 앞도 보고 뒤도 보며 여유 있게 간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도종환 시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風文 2023.02.04 14203
공지 친구야 너는 아니 1 風文 2015.08.20 103597
2035 용서를 비는 기도 風文 2015.01.18 6417
2034 만음(萬音)과 마음(魔音) 바람의종 2012.09.04 6416
2033 상대를 이해한다는 것은 風文 2014.12.22 6416
2032 왕과 여왕이라도 바람의종 2011.08.20 6411
2031 가끔은 보지 않는 것도 필요하다 바람의종 2008.10.17 6409
2030 위대한 인연 윤안젤로 2013.03.05 6407
2029 젊어지는 식사 바람의종 2009.01.24 6402
2028 허송세월 風文 2016.12.13 6402
2027 삼년지애(三年之艾) 風文 2015.07.08 6389
2026 혼자 있는 즐거움 風文 2014.12.07 6388
2025 응원 바람의종 2008.12.09 6383
2024 '좋은 점은 뭐지?' 바람의종 2011.10.25 6377
2023 오늘따라 아버지의 말씀이... 바람의종 2012.07.02 6377
2022 곁에 있어주자 風文 2017.01.02 6377
2021 하나를 바꾸면 전체가 바뀐다 바람의종 2011.08.12 6370
2020 '간까지 웃게 하라' 風文 2014.12.30 6362
» 새해 산행 - 도종환 (116) 바람의종 2009.01.23 6361
2018 피땀이란 말 바람의종 2012.04.03 6358
2017 벌거벗은 마음으로 바람의종 2012.12.31 6352
2016 바람직한 변화 바람의종 2011.12.28 6347
2015 당신의 외로움 바람의종 2012.11.02 6344
2014 이글루 바람의종 2009.02.19 6340
2013 불과 나무 - 도종환 (126) 바람의종 2009.02.04 6339
2012 「신부(神父)님의 뒷담화」(시인 유종인) 바람의종 2009.08.01 6334
2011 구름 위를 걷다가... 바람의종 2012.07.02 633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 122 Next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