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6304 추천 수 1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새해 산행


어수선한 연말이 지나고 또 바쁘게 새해가 왔습니다.
한 해가 가고 새해가 오는 연말연시는 차분하게 한 해를 마무리 짓고 새해 계획을 세우기 위해 마음을 가다듬는 시간보다는 대개 바쁘게 보내는 시간이 더 많습니다. 연말에는 한 해를 마무리하기 위한 각종 송년 모임으로 분주하고, 새해 첫날부터는 새롭게 시작하기 위한 인사를 하기 위해 바쁩니다. 신정 연휴를 보내면서 조용히 새로운 다짐을 해 보거나 새해 계획을 세울 시간도 없이 쫓기듯 한 해를 시작합니다.

연초에는 일부러 시간을 내서 산행을 했습니다.
겨울 산길은 언제 찾아도 좋습니다. 도심 속에서 쫓기는 생활, 무겁고 분주한 생각의 실타래들을 털고 빈 마음으로 산을 대할 수 있어서 좋습니다. 겨울 골짝을 얼지 않고 흐르는 물소리의 신선함이 좋고 참나무 마른 잎새를 스치고 지나가는 바람 소리가 제대로 들려서 좋습니다. 다른 계절의 산행 때와는 다르게 사람이 많지 않아서 더욱 좋습니다. 걸음이 여유로워지고 따라서 마음도 더욱 여유가 생깁니다.

그런데 사람의 몸은 허약하기 짝이 없고 마음 또한 변하기 쉬운 것이어서 몇 시간씩 걷다 보면 자연 발걸음도 무겁고 마음도 지치게 됩니다. 그럴 때면 올 한 해는 또 얼마나 힘들 것인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이렇게 산뜻한 걸음, 가벼운 마음으로 출발을 해도 걷다 보면 지치는 것입니다. 내가 선택한 길인데도 원망과 짜증이 생기고 그만 쉬고 싶다는 생각이 자꾸 생깁니다. 등에 진 짐도 무거워지고 이 짐을 벗어 다른 사람에게 주고 싶어 주저앉았는데 그 이야기가 떠올랐습니다.

원래 사람의 수명은 서른 살이었다고 합니다. 하느님이 우주 만물을 창조하시면서 다른 동물들과 똑같이 서른 살로 정하셨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당나귀가 달려와 "하느님, 그렇게 오래 살면 저는 허리가 휘도록 일을 해야 합니다. 줄여 주십시오." 해서 당나귀의 수명을 십이 년 깎아 십팔 년이 되게 했답니다.

그랬더니 개가 달려와 "저는 그렇게 오래 뛰어다닐 수가 없으니 저도 줄여 주십시오." 하고 간청해서 십팔 년을 줄여 십이 년이 되게 하였답니다. 이번에는 원숭이가 달려와 "저는 사람들을 웃기고 재롱이나 떨면서 사는데 늙어서는 그렇게 할 수도 없으니 깎아 주십시오." 하여 십 년으로 줄여 주었답니다.

그런데 사람은 하느님께 찾아와 "삼십 년은 너무 짧습니다." 하고 화를 내기에 당나귀와 개, 원숭이에게서 줄인 것을 모두 합쳐 사람에게 주었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사람의 수명은 팔십이 되었는데, 그 덕택에 사람은 사는 동안 당나귀처럼 무거운 짐을 지고 가야 하고, 개처럼 헐레벌떡 뛰어다녀야 하며, 원숭이처럼 먹을 것을 던져 주는 사람 앞에서 재롱을 떨고 바보짓을 하며 살게 되었다는 것입니다.

독일에서 전해 오는 이 이야기를 생각하며 올 한 해 우리가 지고 가야 할 짐과 바쁘게 뛰어다녀야 할 나날들과 밥벌이를 해야 할 시간들을 떠올려 보았습니다. 그러나 꼭 그렇지만은 않을 것입니다. 우리가 하는 일에서 삶의 보람을 찾고, 차곡차곡 쌓이는 일의 성과 속에서 살아 있는 의미를 확인하며, 그것으로 생활의 양식을 벌어 간다면 우리 인생은 그렇게 헛된 노고로 이어지는 삶만은 아닐 것입니다.

그럴 때일수록 마음을 다독이고 여유를 가져야 합니다. 그리고 또 가는 거지요. 저 산 저 고개 내가 넘어야 할 곳을 잃지 않으면 됩니다. 올 한 해도 앞으로 나의 인생도 그렇게 걸어가자는 생각을 했습니다.

마지막 정상을 향해 가는 길이 늘 제일 힘들지만, 그 고개를 넘었을 때의 기쁨 또한 고통 때문에 더욱 커지는 것이니 그렇게 묵묵히 가자 그런 생각도 들었습니다.

고갯마루가 얼마 남지 않았을 때였습니다. 걸음을 멈추고 뒤를 돌아다보았습니다. 산기슭마다 아름다운 눈으로 덮인 주흘산 봉우리가 보였습니다. 비경이었습니다. 저 아름다운 모습을 제대로 못보고 앞만 보고 왔구나. 가다가 가끔씩 뒤돌아보면 저렇게 아름다운 모습을 볼 수 있는데 올해도 또 앞만 보고 걷는 건 아닐는지 그 생각이 들었습니다.

올 한 해. 우리 모두 앞도 보고 뒤도 보며 여유 있게 간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도종환 시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風文 2023.02.04 12789
공지 친구야 너는 아니 1 風文 2015.08.20 102200
385 빈둥거림의 미학 風文 2022.06.01 670
384 나무도 체조를 한다 風文 2022.06.04 808
383 세월이 지나도 변하지 않는 것 風文 2022.06.04 638
382 허둥지둥 쫓기지 않으려면 風文 2022.06.04 706
381 일단 해보기 風文 2022.06.04 723
380 말하지 않으면 아무도 도와주지 않는다. 風文 2022.08.18 844
379 나는 좋아, 그런데 왜 청하지 않니? 風文 2022.08.19 808
378 한 통의 전화가 가져다 준 행복 - 킴벨리 웨일 風文 2022.08.20 829
377 단도적입적인 접근이 일궈낸 사랑 風文 2022.08.21 886
376 끈질긴 요청이 가져온 성공 - 패티 오브리 風文 2022.08.22 739
375 딱 한 번의 실천이 가져온 행복 - 클로디트 헌터 風文 2022.08.23 697
374 남 따라한 시도가 가져온 성공 - TV 프로듀서 카를라 모건스턴 風文 2022.08.27 678
373 세계 평화를 요청한 소년 - 마크 빅터 한센 風文 2022.08.28 831
372 자기 가치를 요청한 여성 - 제인 블루스테인 風文 2022.08.28 624
371 1%의 가능성을 굳게 믿은 부부 - 릭 겔리나스 風文 2022.08.29 754
370 정열적으로 요청한 부부 - 젝키 밀러 風文 2022.08.30 833
369 공포와 맞서 요청한 남자 - 마크 빅터 한센 風文 2022.09.01 816
368 경험을 통해 배운 남자 - 하브 에커 風文 2022.09.02 709
367 끈질기게 세상에 요청한 남자 - 안토니 로빈스 風文 2022.09.03 747
366 101가지 소원 목록을 만들어라 - 바바라 드 안젤리스 風文 2022.09.04 550
365 열렬하게 믿어라 - 레이몬드 R. 風文 2022.09.05 799
364 자기 암시를 하라 風文 2022.09.07 729
363 꿈의 공책을 만들어라 - 패티 한센 風文 2022.09.08 1138
362 소원의 시한을 정하라 風文 2022.09.09 660
361 지금보다 더 나빠질 수 없다., 요청한들 잃을 것이 없다 風文 2022.09.10 70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 122 Next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