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6378 추천 수 1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새해 산행


어수선한 연말이 지나고 또 바쁘게 새해가 왔습니다.
한 해가 가고 새해가 오는 연말연시는 차분하게 한 해를 마무리 짓고 새해 계획을 세우기 위해 마음을 가다듬는 시간보다는 대개 바쁘게 보내는 시간이 더 많습니다. 연말에는 한 해를 마무리하기 위한 각종 송년 모임으로 분주하고, 새해 첫날부터는 새롭게 시작하기 위한 인사를 하기 위해 바쁩니다. 신정 연휴를 보내면서 조용히 새로운 다짐을 해 보거나 새해 계획을 세울 시간도 없이 쫓기듯 한 해를 시작합니다.

연초에는 일부러 시간을 내서 산행을 했습니다.
겨울 산길은 언제 찾아도 좋습니다. 도심 속에서 쫓기는 생활, 무겁고 분주한 생각의 실타래들을 털고 빈 마음으로 산을 대할 수 있어서 좋습니다. 겨울 골짝을 얼지 않고 흐르는 물소리의 신선함이 좋고 참나무 마른 잎새를 스치고 지나가는 바람 소리가 제대로 들려서 좋습니다. 다른 계절의 산행 때와는 다르게 사람이 많지 않아서 더욱 좋습니다. 걸음이 여유로워지고 따라서 마음도 더욱 여유가 생깁니다.

그런데 사람의 몸은 허약하기 짝이 없고 마음 또한 변하기 쉬운 것이어서 몇 시간씩 걷다 보면 자연 발걸음도 무겁고 마음도 지치게 됩니다. 그럴 때면 올 한 해는 또 얼마나 힘들 것인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이렇게 산뜻한 걸음, 가벼운 마음으로 출발을 해도 걷다 보면 지치는 것입니다. 내가 선택한 길인데도 원망과 짜증이 생기고 그만 쉬고 싶다는 생각이 자꾸 생깁니다. 등에 진 짐도 무거워지고 이 짐을 벗어 다른 사람에게 주고 싶어 주저앉았는데 그 이야기가 떠올랐습니다.

원래 사람의 수명은 서른 살이었다고 합니다. 하느님이 우주 만물을 창조하시면서 다른 동물들과 똑같이 서른 살로 정하셨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당나귀가 달려와 "하느님, 그렇게 오래 살면 저는 허리가 휘도록 일을 해야 합니다. 줄여 주십시오." 해서 당나귀의 수명을 십이 년 깎아 십팔 년이 되게 했답니다.

그랬더니 개가 달려와 "저는 그렇게 오래 뛰어다닐 수가 없으니 저도 줄여 주십시오." 하고 간청해서 십팔 년을 줄여 십이 년이 되게 하였답니다. 이번에는 원숭이가 달려와 "저는 사람들을 웃기고 재롱이나 떨면서 사는데 늙어서는 그렇게 할 수도 없으니 깎아 주십시오." 하여 십 년으로 줄여 주었답니다.

그런데 사람은 하느님께 찾아와 "삼십 년은 너무 짧습니다." 하고 화를 내기에 당나귀와 개, 원숭이에게서 줄인 것을 모두 합쳐 사람에게 주었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사람의 수명은 팔십이 되었는데, 그 덕택에 사람은 사는 동안 당나귀처럼 무거운 짐을 지고 가야 하고, 개처럼 헐레벌떡 뛰어다녀야 하며, 원숭이처럼 먹을 것을 던져 주는 사람 앞에서 재롱을 떨고 바보짓을 하며 살게 되었다는 것입니다.

독일에서 전해 오는 이 이야기를 생각하며 올 한 해 우리가 지고 가야 할 짐과 바쁘게 뛰어다녀야 할 나날들과 밥벌이를 해야 할 시간들을 떠올려 보았습니다. 그러나 꼭 그렇지만은 않을 것입니다. 우리가 하는 일에서 삶의 보람을 찾고, 차곡차곡 쌓이는 일의 성과 속에서 살아 있는 의미를 확인하며, 그것으로 생활의 양식을 벌어 간다면 우리 인생은 그렇게 헛된 노고로 이어지는 삶만은 아닐 것입니다.

그럴 때일수록 마음을 다독이고 여유를 가져야 합니다. 그리고 또 가는 거지요. 저 산 저 고개 내가 넘어야 할 곳을 잃지 않으면 됩니다. 올 한 해도 앞으로 나의 인생도 그렇게 걸어가자는 생각을 했습니다.

마지막 정상을 향해 가는 길이 늘 제일 힘들지만, 그 고개를 넘었을 때의 기쁨 또한 고통 때문에 더욱 커지는 것이니 그렇게 묵묵히 가자 그런 생각도 들었습니다.

고갯마루가 얼마 남지 않았을 때였습니다. 걸음을 멈추고 뒤를 돌아다보았습니다. 산기슭마다 아름다운 눈으로 덮인 주흘산 봉우리가 보였습니다. 비경이었습니다. 저 아름다운 모습을 제대로 못보고 앞만 보고 왔구나. 가다가 가끔씩 뒤돌아보면 저렇게 아름다운 모습을 볼 수 있는데 올해도 또 앞만 보고 걷는 건 아닐는지 그 생각이 들었습니다.

올 한 해. 우리 모두 앞도 보고 뒤도 보며 여유 있게 간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도종환 시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風文 2023.02.04 15576
공지 친구야 너는 아니 1 風文 2015.08.20 105060
2685 두려움의 마귀 風文 2023.07.30 847
2684 여기는 어디인가? 風文 2023.10.12 847
2683 엄마를 닮아가는 딸 風文 2022.04.28 848
2682 외로움을 덜기 위해서 風文 2023.01.13 848
2681 '멋진 할머니'가 되는 꿈 風文 2023.04.03 848
2680 첫눈에 반한 사랑 風文 2023.04.16 848
2679 자기 존엄 風文 2023.07.29 848
2678 따뜻한 맛! 風文 2022.12.16 849
2677 24시간 스트레스 風文 2023.08.05 849
2676 자기 암시를 하라 風文 2022.09.07 851
2675 끈질긴 요청이 가져온 성공 - 패티 오브리 風文 2022.08.22 852
2674 외로움을 지켜주는 다리 風文 2019.06.19 854
2673 '그저 건강하게 있어달라' 風文 2022.01.26 855
2672 제가 그 희망이 되어드릴게요 風文 2023.02.04 855
2671 사는 맛, 죽을 맛 風文 2019.08.24 856
2670 긍정적 목표가 먼저다 風文 2020.05.02 856
2669 기립박수 風文 2019.08.17 857
2668 잊을 수 없는 시간들 風文 2019.08.26 857
2667 살아야 할 이유 風文 2019.08.29 857
2666 실수에 대한 태도 風文 2023.03.08 857
2665 약속을 지키는지 하나만 봐도 風文 2023.06.07 857
2664 살아있는 지중해 신화와 전설 - 7.2. 風文 2023.11.15 857
2663 한 송이 사람 꽃 風文 2023.11.22 857
2662 괴로워하고 있나요? 風文 2019.08.24 858
2661 첫 걸음 하나에 風文 2019.08.08 85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122 Next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