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5761 추천 수 1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따뜻한 상징


앉은뱅이책상에 앉아 글을 쓰고 있는데 어깨가 시려옵니다. 창문 쪽에서 한기가 한 호흡씩 밀려오는 게 보입니다. 커튼을 쳤지만 그것만으로 냉기를 막을 수는 없습니다. 밤이 깊어지면서 기온이 점점 내려가고 있는 게 방안에서도 느껴집니다. 난로에 불을 피울까 하다가 오늘은 이대로 견뎌보자고 생각합니다. 앞으로 더 큰 추위가 몰려올 걸 생각하니 땔나무를 좀 아껴야겠습니다. 오늘 같은 겨울밤, 시린 어깨를 모포로 감싸며 견뎌야 할 시련의 날들에 대해 생각하며 깊게 잠들지 못하는 이들이 있을 겁니다.

어떤 밤에 혼자 깨어 있다 보면 이 땅의 사람들이 지금 따뜻하게 그것보다는, 그들이 그리워하는 따뜻하게 그것만큼씩 춥게 잠들어 있다는 사실이 왜 그렇게 눈물겨워지는지 모르겠다 조금씩 발이 시리기 때문에 깊게 잠들고 있지 못하다는 사실이 왜 그렇게 눈물겨워지는지 모르겠다 그들의 꿈에도 소름이 조금씩 돋고 있는 것이 보이고 추운 혈관들도 보이고 그들의 부엌 항아리 속에서는 길어다 놓은 이 땅의 물들이 조금씩 살얼음이 잡히고 있는 것이 보인다 요즈음 추위는 그런 것 때문이 아니라고 하지만, 요즈음 추위는 그런 것 때문이 아니라고 하지만, 그들의 문전마다 쌀 두어 됫박쯤씩 말없이 남몰래 팔아다 놓으면서 밤거리를 돌아다니고 싶다 그렇게 밤을 건너가고 싶다 가장 따뜻한 상징, 하이얀 쌀 두어 됫박이 우리에겐 아직도 가장 따뜻한 상징이다

정진규 시인도「따뜻한 상징」이란 시에서 춥게 잠들어 있는 사람을 생각하며 이렇게 눈물겨워 합니다. 발이 시려서 깊게 잠들지 못하는 사람이 있다는 것, 그래서 "그들의 꿈에도 소름이 조금씩 돋고 있는 것이 보이고 추운 혈관들도 보이"는 것 같다고 합니다. "부엌 항아리 속에서는 길어다 놓은 이 땅의 물들이 조금씩 살얼음이 잡히고 있는" 겨울밤 "그들의 문전마다 쌀 두어 됫박쯤씩 말없이 남몰래 팔아다 놓으면서 밤거리를 돌아다니고 싶다" 고 합니다.


















 


나도 춥고 배고프던 소년시절이 있었습니다. 그때 친구들이 집집마다 쌀 두어 됫박씩 걷어 마루에 놓고 간 적이 있었습니다. 그때 마루에 놓여 있던 하이얀 쌀자루를 생각합니다. 내게 그 쌀자루는 언제나 따뜻한 상징입니다. "요즈음 추위는 그런 것 때문이 아니라고 하지만" 우리에겐 오늘도 역시 따뜻한 상징이 필요합니다. 그 상징은 진정으로 아픔을 나누려는 따뜻한 마음이 만들어 내는 상징입니다.

/도종환 시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風文 2023.02.04 16304
공지 친구야 너는 아니 1 風文 2015.08.20 105746
385 천직 바람의종 2011.12.13 5292
384 천천히 걷기 바람의종 2009.02.12 7103
383 천천히 글 쓰고, 천천히 커피 마시고... 風文 2014.08.12 9390
382 천천히 다가가기 바람의종 2009.08.01 7572
381 철이 들었다 바람의종 2011.06.28 6690
380 철이 들었다 風文 2015.06.03 5609
379 첫 걸음 하나에 風文 2019.08.08 874
378 첫눈 오는 날 만나자 風文 2015.08.09 10874
377 첫눈에 반한 사랑 風文 2023.04.16 913
376 첫사랑의 기억 風文 2019.09.05 1078
375 청년들의 생존 경쟁 風文 2020.07.17 2019
374 청년들의 생존 경쟁 風文 2023.07.30 1115
373 청년은 '허리'다 風文 2023.11.14 1658
372 청년의 가슴은 뛰어야 한다 바람의종 2009.07.13 5708
371 청년의 가슴은 뛰어야 한다 風文 2014.08.18 9345
370 청소 바람의종 2008.11.03 7894
369 청춘 경영 바람의종 2010.09.27 4335
368 청춘, 그 금쪽같은 시간 바람의종 2011.01.30 5646
367 청춘의 권리 風文 2014.12.28 7741
366 청춘의 기억 바람의종 2012.04.30 6707
365 청춘의 특권 風文 2013.07.09 12863
364 체 게바라처럼 바람의종 2012.10.04 8766
363 첼로를 연주할 때 윤안젤로 2013.04.11 10297
362 초겨울 - 도종환 (109) 바람의종 2008.12.23 8473
361 초능력의 날개 風文 2014.12.15 699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 122 Next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