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2.23 06:52

진흙 속의 진주처럼

조회 수 9034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진흙 속의 진주처럼



로마의 시인 터틀리언은
“햇빛은 하수구까지 고르게 비추어 주어도
햇빛 자신은 더러워지지 않는다”고 하였다.
훌륭한 사람은 진흙 속에 있는 진주와 같아서
주위 환경에 오염되지 않으며
또 금방 알아낼 수 있다는 뜻이다.


- 김방이의《천년의 지혜가 담긴 109가지 이야기》 중에서 -

  1.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Date2023.02.04 By風文 Views12859
    read more
  2. 친구야 너는 아니

    Date2015.08.20 By風文 Views102248
    read more
  3. 좋은 생각, 나쁜 생각

    Date2008.10.22 By바람의종 Views9054
    Read More
  4. 어떤 이가 내게 정치소설가냐고 물었다 - 이외수

    Date2008.12.28 By바람의종 Views9045
    Read More
  5. 쉬어가라

    Date2012.05.18 By바람의종 Views9045
    Read More
  6. 엄마의 기도상자

    Date2013.02.14 By바람의종 Views9043
    Read More
  7. 진흙 속의 진주처럼

    Date2008.12.23 By바람의종 Views9034
    Read More
  8. 사랑해요 엄마

    Date2017.01.02 By風文 Views9023
    Read More
  9. 다다이스트가 되어 보자!

    Date2008.08.19 By바람의종 Views9017
    Read More
  10. 그대에게 의미있는 일

    Date2012.12.17 By바람의종 Views8999
    Read More
  11. 하늘 같은 지도자보다 바다 같은 지도자

    Date2013.04.19 By윤안젤로 Views8992
    Read More
  12. 간절하지 않으면 꿈꾸지 마라

    Date2013.03.13 By윤안젤로 Views8990
    Read More
  13. 우기 - 도종환 (48)

    Date2008.07.26 By바람의종 Views8984
    Read More
  14. 위대한 당신의 위대한 판단

    Date2012.12.21 By바람의종 Views8963
    Read More
  15. 자작나무 - 도종환 (127)

    Date2009.02.06 By바람의종 Views8960
    Read More
  16. 8.15와 '병든 서울' - 도종환 (57)

    Date2008.08.19 By바람의종 Views8945
    Read More
  17. 원초적인 생명의 제스처, 문학

    Date2008.05.06 By바람의종 Views8929
    Read More
  18. 그들의 뒤를 따라가 보자

    Date2008.03.06 By바람의종 Views8925
    Read More
  19. '남의 떡이 더 커 보인다'

    Date2013.01.10 By바람의종 Views8925
    Read More
  20. 아는 만큼 보인다?

    Date2014.08.06 By風文 Views8924
    Read More
  21. 그대 생각날 때면

    Date2015.08.09 By風文 Views8915
    Read More
  22. '느낌'

    Date2014.08.12 By風文 Views8910
    Read More
  23. 창밖의 눈

    Date2013.01.25 By바람의종 Views8900
    Read More
  24. 개 코의 놀라운 기능

    Date2008.05.08 By바람의종 Views8895
    Read More
  25. 카프카의 이해: 먹기 질서와 의미 질서의 거부

    Date2008.08.19 By바람의종 Views8894
    Read More
  26. 이장님댁 밥통 외등

    Date2008.07.04 By바람의종 Views8888
    Read More
  27. 내 사랑, 안녕!

    Date2014.08.11 By風文 Views8875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122 Next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