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7468 추천 수 1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http://www.pressian.com/article/article.asp?article_num=40081216221447&Section=04
바다로 가는 강물


여러 사람과 함께 어울려 살면서 자신을 잃지 않고 지켜 나간다는 것은 퍽 어려운 일입니다. 옛말에 '물이 너무 맑으면 고기가 없고, 사람이 너무 살피면 이웃이 없다'는 말이 있습니다. 너무 맑다는 말은 때 묻지 않고 물들지 않았다는 말입니다. 때 묻지 않고 자신을 지키기 위해 몸을 사리면서 살 수밖에 없는 삶은 결국 그 주위에 이웃이 모이지 않는 삶이 되고 만다는 데 딜레마가 있습니다.

부처도 중생 속에 있을 때 진정한 부처라 했습니다.
남과 어울리지 않으면서 자신을 지킨다는 것은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니지만 혼자 있을 때가 아니라 여럿 속에 있을 때도 자신을 잃지 않는 것은 어려운 일입니다. 그런 자아야말로 진정으로 튼튼한 자아라 할 수 있습니다.

바다에 이르는 강물의 모습을 보세요. 맨 처음 강물은 산골짝 맑은 이슬방울에서 시작합니다. 깨끗한 물들과 만나면서 맑은 마음으로 먼 길을 향해 달려가기 시작했을 것입니다.
그러나 차츰차츰 폭이 넓어지고 물이 불어나면서 깨끗하지 않은 물과도 섞이지 않을 수 없습니다. 세상의 한가운데를 가로질러 흐르면서는 더욱 심했을 것입니다.

더럽혀질 대로 더러워진 물이나 이미 죽은 것이나 다름없는 물, 썩은 물들이 섞여 들어오는 때도 있을 것입니다.

그러면서도 강물은 흐름을 멈추지 않습니다.
끊임없이 먼 곳을 향해 나아갑니다.

강의 생명력은 매순간마다 스스로 거듭 새로워지며 먼 곳까지 멈추지 않고 가는 데 있습니다. 가면서 맑아지는 것입니다. 더러운 물보다 훨씬 더 많은 새로운 물을 받아들이며 스스로 생명을 지켜 나가는 것입니다.

그것을 자정 작용이라 합니다. 그리하여 끝내 먼 바다에 이르는 것입니다. 비록 티 하나 없는 모습으로 바다에 이르지는 못하지만, 자신을 잃지 않으려고 몸부림쳐 온 모습으로 바다 앞에 서는 것입니다.

바다를 향해 첫걸음을 뗄 때만큼 맑지는 못하더라도 더 넓어지고 더 깊어진 모습으로 바다에 이르는 것입니다. 사람의 삶도 마찬가지입니다.


















 


섞여 흘러가면서도 제 자신의 본 모습을 잃지 않는 삶의 자세. 우리도 그런 삶의 자세를 바다로 가는 강물에서 배우는 것입니다.


/도종환 시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風文 2023.02.04 17447
공지 친구야 너는 아니 1 風文 2015.08.20 106991
1339 밤 한 톨 바람의종 2010.03.30 3929
1338 발끝으로 서기까지 風文 2021.09.04 624
1337 발걸음이 가벼워졌다 風文 2019.08.10 750
1336 발 없는 무용가 風文 2019.08.27 837
1335 반창고 아프지 않게 떼는 법 風文 2013.08.19 14640
1334 반짝이는 눈동자 바람의종 2012.09.26 6701
1333 반성의 힘 風文 2014.12.30 5960
1332 반려자 바람의종 2011.04.19 3363
1331 밖에서 오는 고통 바람의종 2010.10.13 3231
1330 박상우 <말무리반도> 바람의종 2008.02.27 10112
1329 박달재 - 도종환 (65) 바람의종 2008.09.04 5392
1328 바쁘다는 것은 風文 2023.04.13 1026
1327 바보의 벽을 깨라 바람의종 2011.04.19 4078
1326 바보 마음 風文 2015.06.20 5659
1325 바로 지금 바람의종 2008.10.01 6091
1324 바로 말해요, 망설이지 말아요 風文 2022.02.10 873
1323 바로 말해요, 망설이지 말아요 風文 2024.03.26 836
1322 바람직한 변화 바람의종 2011.12.28 6355
1321 바람 부는 날 바람의종 2009.03.01 6126
1320 바라보기만 해도 바람의종 2010.08.04 2557
1319 바다로 가는 강물 - 도종환 (76) 바람의종 2008.10.04 5695
» 바다로 가는 강물 - 도종환 (108) 바람의종 2008.12.18 7468
1317 바늘구멍 風文 2020.06.18 976
1316 밀가루 반죽 風文 2023.08.03 768
1315 믿음과 행동의 일치 風文 2019.08.31 97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 122 Next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