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7335 추천 수 1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부정과 불의'를, '횡포'와 '억압'을, '사악'과, '허위'를 / 산산이 조각내는 저 우렁찬 함성을 절규를 듣는가 들었는가! (......) // '사사오입'도 '사바사바'도 '빽'도 '나이롱국'도 / '백주의 테러는 테러가 아니란' 궤변도 / '가죽잠바'도 그렇다 / 겨레를 좀먹는 어휘들랑 없어져야 한다. // 가난과 싸우며 정성껏 바친 우리들의 세금이 / '도금한 애국자'들에게 횡령당함을 거부한다. / 그 어느 정당이라도 착복함을 완강히 거부한다. / '민족'과 '조국'의 이름으로 기만을 일삼는 / 정상배와 아첨의 무리는 송두리째 뿌리를 뽑아야 한다. / 인민에겐 '준법'을 강요하며 '불법'을 자행하는 위정자는 없어져야 한다. / 있어서는 안 된다. 그리고 모든 '귀하신 몸'은 물러가야 한다.

이 시는 작고하신 김용호시인이 《조선일보》1960년 4월 28일자 석간에 발표한 시입니다. 「해마다 4월이 오면」이란 이 시를 읽다보면 4월 혁명이 왜 일어났는지를 상세하게 알게 됩니다. 그리고 4월 혁명의 배경을 이야기하면서 직설적으로 쏟아 붓는 목소리가 오늘 우리가 처한 상황을 보면서 던지는 질타가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당시에는 참으로 많은 시인이 4.19에 대한 시를 썼습니다. 김춘수시인은 "죄없는 그대들은 가고 / 잔인한 달 4월에 / 이제야 들었다. 그대들 음성이 / 메아리 되어 / 겨레의 가슴에 징을 치는 것을,"(「이제야 들었다 그대들 음성을」)이라고 노래했고, 김남조 시인은 "마침내 총으로 겨냥하여 / 정의와 생명을 쏘고 // 조국의 기에 / 검은 손으로 피 묻히던 / 4월 19일"(「기적의 탑을」)이라고 안타까워하였으며, 황금찬 시인은 "4월의 정신은 강물이 되어 흘러 가는데 / 나는 이 강가에 설 털끝 같은 면목도 없구나"(「학도위령제에 부쳐」)하고 애도하였습니다.

박희진 시인은 "피로써 찾은 우리의 주권! / 그것을 다시 더렵혀 되겠는가. / 어떻게 세운 나라라고! / 오 뉘우쳐라 아직도 한방울 피와 눈물이 있다면 뉘우쳐라. 아니 차라리 혼비백산하라!"(「썩은 탐관오리들에게」) 이렇게 매섭게 질타하였습니다.

제가 지금 예를 들고 있는 시인들은 굳이 성향을 나눈다면 보수적인 시인으로 분류할 수 있는 분들이십니다. 이 무렵에는 신동엽, 신동문, 김수영 같은 진보적인 생각을 가진 시인들 말고 박목월, 박두진, 조지훈, 유치환, 정한모, 구상, 박남수, 장만영, 김현승, 이원수, 김요섭 등등 말하자면 거의 모든 시인이 4.19혁명에 대해 동참하는 시를 썼습니다. 심지어 초등학교 학생도 이런 시를 썼습니다.

"잊을 수 없는 4월 19일 / 학교에서 파하는 길에 / 총알은 날아오고 / 피는 길을 덮는데 / 외로이 남은 책가방 / 무겁기도 하더군요 / 나는 알아요, 우리는 알아요 / 엄마 아빠 아무말 안해도 / 오빠와 언니들이 / 왜 피를 흘렸는지......"

당시 서울 수송국민학교 4학년 강명희 어린이가 쓴 시「오빠와 언니는 왜 총에 맞았나요」입니다. 어린이들도 다 알고 있던 4.19혁명을 교육부에서는 데모로 격하시키고 이를 전국의 학교에 자료로 만들어 배포하여 왜곡된 역사교육을 시키려고 하는 걸 보면서 가슴이 막힙니다. 우리 역사를 4.19 이전의 역사 그러니까 이승만 독재와 부패와 민주주의가 질식당하던 시대로 후퇴시키려는 것이라고밖에 생각되지 않습니다. 이들의 역사인식이 50년 전의 낡고 구태의연한 상태에 머물러 있다는 반증이기도 합니다. 50년 가까운 세월 동안 수많은 곡절과 변화와 역경을 겪으며 성장한 이 나라 민주주의 성숙도를 전혀 체감하거나 받아들이지 못하고 있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조지훈 시인은 1960년 4월 27일 《경향신문》에「마침내 여기 이르지 않곤 끝나지 않을 줄 이미 알았다」라는 시에서 "그것은 피눈물의 꽃파도였다 / 보았는가 너희는 / 남대문에서 대한문으로 세종로로 경무대로 넘쳐 흐르는 그 파도를 / 이것은 의거 / 이것은 혁명 / 이것은 안으로 안으로만 닫았던 민족혼의 분노였다" 라고 말하셨습니다. 조지훈 선생이 살아계신다면 뒤늦게 4.19단체 사무실을 찾아 사과한다느니 하면서 대충 사태를 덮으려 하는 장관을 향해 이렇게 말씀하셨을 것 같습니다.
















 


"불의한 권력에 붙어 / 백성의 목을 조른 자들아 / 불의한 폭력에 추세하여 / 그 권위를 과장하던 자들아 / 너희 피묻은 더러운 손을 / 이 거룩한 희생자에 대지 말라 (......) // 너희 죄 지은 자의 더러운 피를 수혈하지 말라 / 이대로 깨끗이 죽어갈지언정 / 썩은 피를 그 몸에 받고 살아나진 않으리라"(조지훈, 앞의 시 중에서)

/도종환 시인


  1. No Image notice by 風文 2023/02/04 by 風文
    Views 16002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2. 친구야 너는 아니

  3. No Image 26May
    by 바람의종
    2008/05/26 by 바람의종
    Views 7342 

    오늘 다시 찾은 것은

  4. No Image 27Aug
    by 바람의종
    2008/08/27 by 바람의종
    Views 7340 

    오솔길 - 도종환 (61)

  5. No Image 14Nov
    by 바람의종
    2008/11/14 by 바람의종
    Views 7340 

    기분 좋게 살아라

  6. No Image 12Dec
    by 바람의종
    2008/12/12 by 바람의종
    Views 7335 

    4.19를 노래한 시 - 도종환 (106)

  7. No Image 05Jul
    by 風文
    2015/07/05 by 風文
    Views 7335 

    기본에 충실하라!

  8. No Image 23Oct
    by 바람의종
    2008/10/23 by 바람의종
    Views 7334 

    눈물 속에 잠이 들고, 기쁜 마음으로 일어났다

  9. No Image 03Feb
    by 바람의종
    2009/02/03 by 바람의종
    Views 7333 

    출발 시간

  10. No Image 12Jan
    by 風文
    2015/01/12 by 風文
    Views 7333 

    행복 습관, 기쁨 습관

  11. No Image 12Nov
    by 바람의종
    2008/11/12 by 바람의종
    Views 7331 

    앞에 가던 수레가 엎어지면 - 도종환 (93)

  12. No Image 19Jun
    by 바람의종
    2008/06/19 by 바람의종
    Views 7330 

    우산

  13. No Image 06Aug
    by 바람의종
    2009/08/06 by 바람의종
    Views 7328 

    「의뭉스러운 이야기 2」(시인 이재무)

  14. No Image 24Dec
    by 風文
    2014/12/24 by 風文
    Views 7323 

    가까이 있는 사람부터

  15. No Image 25Apr
    by 바람의종
    2008/04/25 by 바람의종
    Views 7322 

    입을 여는 나무들 / 도종환

  16. No Image 10Dec
    by 風文
    2016/12/10 by 風文
    Views 7311 

    이발소 의자

  17. No Image 21Jun
    by 바람의종
    2008/06/21 by 바람의종
    Views 7302 

    목민관이 해야 할 일 / 도종환

  18. No Image 13Dec
    by 風文
    2014/12/13 by 風文
    Views 7299 

    "아래를 내려다보지 말라"

  19. No Image 11Nov
    by 바람의종
    2008/11/11 by 바람의종
    Views 7297 

    안네 프랑크의 일기 - 도종환 (89)

  20. No Image 11Jul
    by 바람의종
    2012/07/11 by 바람의종
    Views 7296 

    성공의 법칙

  21. No Image 18Jan
    by 風文
    2015/01/18 by 風文
    Views 7291 

    마른 하늘에 벼락

  22. No Image 15May
    by 윤안젤로
    2013/05/15 by 윤안젤로
    Views 7290 

    '잘 사는 것'

  23. No Image 11Jul
    by 바람의종
    2012/07/11 by 바람의종
    Views 7289 

    우리집에 핀 꽃을 찍으며

  24. No Image 23Aug
    by 바람의종
    2012/08/23 by 바람의종
    Views 7286 

    혼자 노는 법

  25. No Image 14Mar
    by 바람의종
    2009/03/14 by 바람의종
    Views 7284 

    잘 살아라. 그것이 최고의 복수다

  26. No Image 21Jul
    by 바람의종
    2008/07/21 by 바람의종
    Views 7283 

    평화의 촛불 - 도종환

  27. No Image 08Aug
    by 바람의종
    2008/08/08 by 바람의종
    Views 7283 

    다른 길로 가보자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 122 Next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