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6384 추천 수 1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십일월도 하순 해 지고 날 점점 어두워질 때
비탈에 선 나무들은 스산하다
그러나 잃을 것 다 잃고
버릴 것 다 버린 나무들이
맨몸으로 허공에 그리는 풍경이
가장 아름다운 건 이 무렵이다
거기다 철 이른 눈이라도 내려
허리 휘어진 나무들의 모습은 숙연하다
이제 거둘 건 겨자씨만큼도 없고
오직 견딜 일만 남았는데
사방팔방 수묵화 아닌 곳 없는 건 이 때다
알몸으로 맞서는 처절한 날들의 시작이
서늘하고 탁 트인 그림이 되는 건

십일월 하순, 이맘때쯤이면 잎이란 잎은 다 집니다. 나뭇잎을 다 잃고 비탈에 선 나무들도 우리도 마음 스산하기 이를 데 없습니다. 그러나 산 아래 앉아 바라보면 비탈과 능선에 선 나무들이 이때 오히려 더 아름답습니다. 잎이 다 지고나면 나무들은 알몸의 빈 가지만 남게 되는데 그 세세한 잔가지들이 능선을 따라 이어지며 그리는 그림이 그야말로 한 폭의 풍경화입니다. 아니 "사방팔방 수묵화 아닌 곳 없"습니다.

이제 겨울이 오고 찬바람 불고 눈발이 몰아칠 터인데, 알몸으로 맞서야 하는 처절한 날들만이 남았는데 그 모습이 그림입니다. 가진 것 다 잃고 오직 견딜 일만 남았는데도 그것이 탁 트인 그림이 되는 십일월 하순의 풍경을 보며 인생의 깨달음 하나를 얻습니다. 우리의 처절한 삶을 어떻게 아름다운 그림으로 바꾸어야 할 것인가를 생각합니다.


/도종환 시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風文 2023.02.04 12917
공지 친구야 너는 아니 1 風文 2015.08.20 102299
2735 희망이란 바람의종 2009.07.31 8874
2734 그대는 황제! 風文 2014.12.28 8860
2733 어디로 가야 할지 알 수가 없다 윤안젤로 2013.03.23 8850
2732 하늘의 눈으로 보면 바람의종 2012.05.22 8844
2731 고백할게 바람의종 2008.03.14 8843
2730 문제아 風文 2014.12.08 8837
2729 다리가 없는 새가 살았다고 한다. 바람의종 2008.04.05 8834
2728 테리, 아름다운 마라토너 바람의종 2008.02.22 8824
2727 '애무 호르몬' 바람의종 2011.09.29 8822
2726 가장 큰 재산 / 도종환 바람의종 2008.05.29 8811
2725 같이 커피를 마시고 싶은 사람 바람의 소리 2007.08.31 8809
2724 겁먹지 말아라 風文 2014.12.04 8797
2723 자본주의 사회에서 더 행복해지는 법 바람의종 2008.04.02 8796
2722 성숙한 지혜 바람의종 2012.12.10 8790
2721 「첫날밤인데 우리 손잡고 잡시다」(시인 유안진) 바람의종 2009.05.17 8785
2720 「밥 먹고 바다 보면 되지」(시인 권현형) 바람의종 2009.06.25 8767
2719 결혼 서약 바람의종 2012.10.15 8766
2718 사랑에 목마른 사람일수록 바람의종 2012.06.11 8734
2717 중국 비즈니스 성패의 절대요건 風文 2014.11.24 8730
2716 사람은 떠나도 사랑은 남는다 바람의종 2012.11.01 8717
2715 추억의 기차역 바람의종 2012.10.15 8715
2714 깨기 위한 금기, 긍정을 위한 부정 바람의종 2008.02.15 8714
2713 행복한 사람 - 도종환 (50) 바람의종 2008.08.01 8707
2712 행복한 농사꾼을 바라보며 바람의종 2008.04.22 8703
2711 체 게바라처럼 바람의종 2012.10.04 868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122 Next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