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7281 추천 수 1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무더기 무더기 모여 저희끼리 서로 의지하고 끌어안은 채 추위를 견디는 애기 들국화가 곱다. 그런 애기 들국화나 고갯길에 피어 있는 보랏빛 작은 구절초 그들이 보여주는 애틋한 모습을 보고 있으면 가슴이 싸아해져 온다.

천상병 시인은

"산등성이 넘는 길 / 애기 들국화 // 가을은 다시 올까 / 다시 올테지 / 나와 네 외로운 마음이 / 지금처럼 / 순하게 겹친 / 이 순간이"

이렇게 애기 들국화를 보고 노래했다. 가을이야 계절이 바뀌고 해가 지나면 다시 오는 거지만 나와 네 외로운 마음이 애기 들국화 잎들처럼 그렇게 순하게 겹쳐져 있던 그런 가을은 정말 다시 오는 것일까를 시인은 묻고 있는 것이다. 매년 들국화를 대하면서 사실 한 번도 들국화에 대해서 내가 느끼는 남다르게 애틋한 심정을 글로 다 표현하지 못하고 있다는 생각을 많이 한다.

어제는 건널목 옆 빈터에 차를 세우고 전봇대 너머 들판 끝으로 붉게 타오르는 노을을 보았다. 가끔씩 느리게 지나가는 화물차 사이사이로 하늘은 주홍색 장작불꽃을 피우고 있는 것 같았다. 그렇게 타오르다 구름이 먼저 조금씩 어두워지고 나중에는 불에 타던 것들이 사위는 불꽃과 함께 검게 변하며 재가 되는 것처럼 하늘도 그렇게 거대하게 타다가 재가 되는 풍경을 지켜보았다. 그 속에서 사리처럼 반짝이며 나타나는 별을 보며 죽어버린 하늘에서 다시 솟아나는 목숨의 의미를 생각하였다. 그러나 그 느낌을 글로 다 표현하지 못하고 돌아왔다.

차가운 길가에 옹송거리며 저희끼리 모여 있는 나뭇잎들, 늦가을 저녁 서늘한 밤공기의 느낌, 저무는 저녁 햇살을 받고 서 있는 억새풀의 굽은 어깨, 멀리서 보이는 동네입구 느티나무의 넉넉한 자태, 눈에 갇힌 산골마을의 외딴 집에서 솟아오르는 굴뚝 연기, 내색하지 않고 속으로만 좋아하던 사람의 손을 처음 잡았을 때 손안에 쏙 들어오는 살의 감촉, 세상에는 글로 다 표현이 되지 않는 느낌들이 많다. 글 쓰는 사람이지만 정말 그것만은 아직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하였다고 생각하는 그런 것들이 있다.


'씨크릿 가든'의 어느 부분 또는 그리그의 '솔베이지 노래' 첫 두 소절을 듣다가 여기서 그만 생을 멈추었으면 하는 생각이 드는 때가 있다. 앞으로 더 잘 살 것 같지 않아서, 남은 날들 그저 때 묻고 부끄럽고 욕되게 살다가 갈 것만 같아서 차라리 이쯤에서 제 살을 깎아 먹고 사는 삶을 멈추어 버리는 게 어떨까 그런 생각이 드는 날이 있다. 그러나 더 선명하게 그 느낌 그 이유를 글로 표현하려고 해도 잘 표현되지 않는다. 가슴을 후려치던 피아노 소리의 느낌, 그 낱낱의 소리들을 따라가다 초겨울의 낙엽처럼 길가에 마구 뒹굴고 말던 내 마음이 글로는 하나도 표현되지 않을 때가 있다.

아, 어쩌면 좋은가. 글을 쓰는 일이 직업이 되어 있는데도 글로 다 표현하지 못하는 것들이 너무나 많으니.



도종환 시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風文 2023.02.04 13057
공지 친구야 너는 아니 1 風文 2015.08.20 102409
710 아주 낮은 곳에서 바람의종 2008.11.11 7153
709 마른 하늘에 벼락 風文 2015.01.18 7153
708 어떤 결심 바람의종 2012.05.30 7154
707 세상을 보게 해주는 창문 호단 2007.01.09 7158
706 다른 길로 가보자 바람의종 2008.08.08 7160
705 가까이 있는 사람부터 風文 2014.12.24 7160
704 가을엽서 - 도종환 (73) 바람의종 2008.09.24 7166
703 수줍은 대화도 좋고... 바람의종 2012.10.15 7167
702 작고 소소한 기적들 바람의종 2012.12.03 7168
701 천성대로 살자? 바람의종 2012.12.12 7172
700 슬픈 신부, 그러나 가장 행복한 순간 風文 2015.04.28 7178
699 산 - 도종환 (58) 바람의종 2008.08.19 7182
698 연인의 체취 風文 2015.07.05 7183
697 그렇게도 가까이! 바람의종 2012.07.13 7187
696 스스로 낫는 힘 바람의종 2012.09.27 7190
695 가장 큰 실수 風文 2015.02.17 7190
694 잃어버린 옛노래 風文 2015.07.26 7197
693 어머니 / 도종환 바람의종 2008.05.08 7205
692 열한번째 도끼질 바람의종 2012.08.29 7215
691 드러냄의 힘 바람의종 2012.12.17 7219
690 혼자서 앓는 병 風文 2014.12.02 7219
689 혼자 노는 법 바람의종 2012.08.23 7222
688 출발 시간 바람의종 2009.02.03 7223
687 오솔길 - 도종환 (61) 바람의종 2008.08.27 7235
686 4.19를 노래한 시 - 도종환 (106) 바람의종 2008.12.12 723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 122 Next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