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5302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불은 나무에서 생겨 나무를 불사른다


 불은 나무에서 생겨나 도리어 나무를 불사른다(火從木出還燒木)는 말이 있습니다. 『직지심체요절』에 나오는 고승대덕의 말입니다. 사람들은 처음에 나무에 막대를 비벼 불을 얻었습니다. 나무에서 불을 얻었으니 그 불이 꺼지지 않도록 다른 나무들을 꺾어다 계속 불에 얹었고 그 불로 몸을 덥히고 먹을 것을 만들었습니다. 나무의 처지에서 보면 나무에서 불이 생겼으나 그 불 때문에 모든 나무들이 땔감이 되고 수없이 불태워지게 된 것입니다.
  녹은 쇠에서 생겨나 쇠를 갉아 먹습니다. 쇠로 만들어진 것은 비길 데 없이 단단하지만 쇠를 못 쓰게 만들고 마는 것은 결국 쇠 자신에게서 생겨납니다. 쇠로 만든 연모는 모든 것을 베고 쓰러뜨리고 갈아엎지만 그 자신은 정작 그의 내부에서 생긴 녹으로 스러지고 맙니다.
  
  내 몸을 무너뜨리는 것도 결국은 내 자신의 내부에서 움틉니다. 외부의 자극과 시련에는 꿈쩍도 않고 버티며 살아가다가도 내부에서 나를 녹슬게 만드는 것들로 끝내는 무너지고 맙니다. 외부의 적보다 더 무서운 것은 언제나 나의 내부에 있습니다.
  
  사람들은 어떤 일을 좋아서 시작합니다. 그 일을 하며 기뻐하고 삶의 기쁨과 보람도 거기서 느꼈는데 내가 좋아서 시작한 일로 결국은 괴로워하고 번뇌하는 때가 옵니다. 사람마다 자신의 몸에 자신 있어 하는 곳이 있습니다. 그러나 자신의 몸에서 가장 자신 있어 하고 자랑스러워하던 부분이 나이 들면 제일 먼저 고장 나고 병들게 됩니다.
  
  사슴이 노루가 다른 짐승보다 더 멋있어 보이는 것은 화려하고 아름다움 뿔을 가졌기 때문입니다. 사슴도 그렇게 크고 멋진 관을 머리에 쓰고 있는 것이 자랑스러웠을 것입니다. 그러나 갑자기 맹수가 나타나 도망을 가야 할 때 넝쿨과 나뭇가지에 가장 걸리기 쉬운 것 또한 그 뿔입니다. 사슴은 알고 있을까요, 사냥꾼들이 그 뿔 때문에 추적의 발걸음을 멈추지 않는다는 것을.
  
  명예를 얻고자 갖은 고초를 다 겪지만 명예를 얻고 나면 그 명예 때문에 늘 가파른 벼랑 끝에 서 있어야 합니다. 권력을 얻고자 뼈가 부스러지고 살이 짓뭉개지도록 고생을 하면서도 참지만 권력을 지키는 과정도 역시 뼈를 깎고 살이 타들어가는 듯한 삶이어서 제 살과 남의 살로 깎아 만든 권력의 산꼭대기에서 외줄을 타듯 살아가야 합니다.
  
  살아가는 데 돈이 가장 전지전능한 물건인 것 같아서 돈을 벌기 위해 발버둥치다 돈 때문에 군데군데 벌겋게 녹이 슬어 있는 제 모습을 발견하고 씁쓸해지는 날이 있습니다. 사랑의 따뜻한 온기 없이는 살 수 없을 것 같았는데 사랑의 불길이 제 몸을 태우고 사랑하던 사람의 삶도 다 태워 결국 재밖에 남기지 않는다는 걸 사람들은 겪어서 압니다. 그러나 또 자신을 태우는 일을 반복하게 되는 게 사람입니다. 저를 태우는 것이 늘 저에게서 비롯되고 저를 녹슬게 하는 것이 저 자신에게서 비롯된다는 걸 알고도 같은 길을 걷게 됩니다. 그러고는 인생을 고통의 바다라고 부릅니다. 그 바다는 누가 만들고 있는지요.










   
 
  도종환/시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風文 2023.02.04 12543
공지 친구야 너는 아니 1 風文 2015.08.20 101959
310 같이 커피를 마시고 싶은 사람 바람의 소리 2007.08.31 8799
309 테리, 아름다운 마라토너 바람의종 2008.02.22 8810
308 '애무 호르몬' 바람의종 2011.09.29 8816
307 문제아 風文 2014.12.08 8828
306 다리가 없는 새가 살았다고 한다. 바람의종 2008.04.05 8833
305 고백할게 바람의종 2008.03.14 8834
304 하늘의 눈으로 보면 바람의종 2012.05.22 8837
303 어디로 가야 할지 알 수가 없다 윤안젤로 2013.03.23 8841
302 그대는 황제! 風文 2014.12.28 8849
301 희망이란 바람의종 2009.07.31 8866
300 내 사랑, 안녕! 風文 2014.08.11 8867
299 이장님댁 밥통 외등 바람의종 2008.07.04 8883
298 카프카의 이해: 먹기 질서와 의미 질서의 거부 바람의종 2008.08.19 8887
297 개 코의 놀라운 기능 바람의종 2008.05.08 8889
296 원초적인 생명의 제스처, 문학 바람의종 2008.05.06 8896
295 창밖의 눈 바람의종 2013.01.25 8899
294 '느낌' 風文 2014.08.12 8905
293 그들의 뒤를 따라가 보자 바람의종 2008.03.06 8908
292 '남의 떡이 더 커 보인다' 바람의종 2013.01.10 8913
291 그대 생각날 때면 風文 2015.08.09 8915
290 아는 만큼 보인다? 風文 2014.08.06 8919
289 8.15와 '병든 서울' - 도종환 (57) 바람의종 2008.08.19 8939
288 자작나무 - 도종환 (127) 바람의종 2009.02.06 8957
287 위대한 당신의 위대한 판단 바람의종 2012.12.21 8957
286 우기 - 도종환 (48) 바람의종 2008.07.26 898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 122 Next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