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0.07 13:26

여백 - 도종환 (77)

조회 수 11737 추천 수 1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언덕 위에 줄지어 선 나무들이 아름다운 건
  나무 뒤에서 말없이
  나무들을 받아 안고 있는 여백 때문이다
  나뭇가지들이 살아온 길과 세세한 잔가지
  하나 하나의 흔들림까지 다 보여주는
  넉넉한 허공 때문이다
  빽빽한 숲에서는 보이지 않는
  나뭇가지들끼리의 균형
  가장 자연스럽게 뻗어 있는 생명의 손가락을
  일일이 쓰다듬어 주고 있는 빈 하늘 때문이다
  여백이 없는 풍경은 아름답지 않다
  비어 있는 곳이 없는 사람은 아름답지 않다
  여백을 가장 든든한 배경으로 삼을 줄 모르는 사람은
  
  언덕 위에 있는 나무들, 산 위에 있는 나무들이 아름다운 건 그 뒤로 광활한 하늘이 펼쳐져 있기 때문이란 생각이 들 때가 있습니다. 저는 거기서 여백이 주는 아름다움을 봅니다. 솟대가 빽빽한 건물에 가려 있으면 아름답게 느껴지지 않습니다. 솟대의 뒤에는 빈 하늘이 배경이 되어 있어야 솟대다워 보입니다. 그래야 솟대의 아름다운 멋이 살아납니다.
  
  화폭을 유화물감으로 빈틈없이 채우기보다 여백으로 그냥 남겨두는 한국화가 저는 좋습니다. 조각품도 작품 주위에 빈 공간을 만들어 주어야 작품의 맛이 제대로 살아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것을 네거티브 스페이스라고 합니다.
  
  사람도 살아가는 동안 여기저기 여백을 마련해 두어야 합니다. 하루의 일정 중에 단 한 시간도 여백이 있는 시간이 없다면 우리는 숨도 제대로 못 쉬는 삶을 사는 것입니다. 하루 생활 중에도 여백의 시간이 있어야 하고 일을 하고 있는 동안에도 정신적인 여백을 가져야 합니다.
  
  아니 어디 한 군데쯤 비어 있는 것도 좋습니다. 완벽해 보이기보다 어딘가 허술한 구석이 있어 보이는 사람이 더 인간답게 느껴집니다. 우리가 열심히 일하며 사는 것도 정신적인 여백, 정신적인 여유를 더 많이 갖고자 하기 때문인지도 모릅니다. 여백을 여러분의 배경으로 삼아보세요. 그리로 바람 한 줄기 지나가게 해 보세요.










   
 
  도종환/시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風文 2023.02.04 16612
공지 친구야 너는 아니 1 風文 2015.08.20 106078
2810 진정한 길 바람의종 2008.01.31 9635
2809 "여기 있다. 봐라." 風文 2014.08.11 9635
2808 정면으로 부딪치기 바람의종 2012.07.11 9634
2807 자기 재능의 발견 風文 2014.08.18 9617
2806 단풍 - 도종환 (82) 바람의종 2008.10.17 9598
2805 어느 한 가로수의 독백 - 우종영 風磬 2006.11.21 9590
2804 착한 사람 정말 많다 風文 2014.11.29 9584
2803 비가 내리지 않는 하늘은 없다 風文 2014.08.29 9580
2802 개울과 바다 - 도종환 바람의종 2008.07.21 9557
2801 '바로 지금' 윤안젤로 2013.03.11 9552
2800 화창한 봄날 윤안젤로 2013.03.13 9552
2799 「바람에 날리는 남자의 마음」(소설가 성석제) 바람의종 2009.05.15 9540
2798 '바운스', 일류인생의 일류노래 윤안젤로 2013.05.20 9539
2797 목백일홍 - 도종환 (68) 바람의종 2008.09.18 9512
2796 주는 것과 받는 것 윤안젤로 2013.05.13 9505
2795 고맙다, 철없던 순간들 바람의종 2012.10.30 9493
2794 겨울 나무 - 도종환 (130) 바람의종 2009.02.14 9474
2793 상대적이며 절대적인 지식의 백과사전 中 - 베르나르 베르베르 바람의종 2008.01.15 9464
2792 용연향과 사람의 향기 / 도종환 바람의종 2008.04.21 9464
2791 살면서 가끔은 울어야 한다 윤안젤로 2013.03.11 9457
2790 긍정 에너지 風文 2014.08.06 9456
2789 제국과 다중 출현의 비밀: 비물질 노동 바람의종 2008.09.02 9455
2788 칼국수 風文 2014.12.08 9436
2787 고흐에게 배워야 할 것 - 도종환 (72) 바람의종 2008.09.23 9432
2786 가슴에 핀 꽃 風文 2014.12.24 942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122 Next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