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0.07 13:26

여백 - 도종환 (77)

조회 수 11664 추천 수 1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언덕 위에 줄지어 선 나무들이 아름다운 건
  나무 뒤에서 말없이
  나무들을 받아 안고 있는 여백 때문이다
  나뭇가지들이 살아온 길과 세세한 잔가지
  하나 하나의 흔들림까지 다 보여주는
  넉넉한 허공 때문이다
  빽빽한 숲에서는 보이지 않는
  나뭇가지들끼리의 균형
  가장 자연스럽게 뻗어 있는 생명의 손가락을
  일일이 쓰다듬어 주고 있는 빈 하늘 때문이다
  여백이 없는 풍경은 아름답지 않다
  비어 있는 곳이 없는 사람은 아름답지 않다
  여백을 가장 든든한 배경으로 삼을 줄 모르는 사람은
  
  언덕 위에 있는 나무들, 산 위에 있는 나무들이 아름다운 건 그 뒤로 광활한 하늘이 펼쳐져 있기 때문이란 생각이 들 때가 있습니다. 저는 거기서 여백이 주는 아름다움을 봅니다. 솟대가 빽빽한 건물에 가려 있으면 아름답게 느껴지지 않습니다. 솟대의 뒤에는 빈 하늘이 배경이 되어 있어야 솟대다워 보입니다. 그래야 솟대의 아름다운 멋이 살아납니다.
  
  화폭을 유화물감으로 빈틈없이 채우기보다 여백으로 그냥 남겨두는 한국화가 저는 좋습니다. 조각품도 작품 주위에 빈 공간을 만들어 주어야 작품의 맛이 제대로 살아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것을 네거티브 스페이스라고 합니다.
  
  사람도 살아가는 동안 여기저기 여백을 마련해 두어야 합니다. 하루의 일정 중에 단 한 시간도 여백이 있는 시간이 없다면 우리는 숨도 제대로 못 쉬는 삶을 사는 것입니다. 하루 생활 중에도 여백의 시간이 있어야 하고 일을 하고 있는 동안에도 정신적인 여백을 가져야 합니다.
  
  아니 어디 한 군데쯤 비어 있는 것도 좋습니다. 완벽해 보이기보다 어딘가 허술한 구석이 있어 보이는 사람이 더 인간답게 느껴집니다. 우리가 열심히 일하며 사는 것도 정신적인 여백, 정신적인 여유를 더 많이 갖고자 하기 때문인지도 모릅니다. 여백을 여러분의 배경으로 삼아보세요. 그리로 바람 한 줄기 지나가게 해 보세요.










   
 
  도종환/시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風文 2023.02.04 13648
공지 친구야 너는 아니 1 風文 2015.08.20 102979
2960 사랑 바람의종 2008.03.04 6599
2959 사람, 생명의 노래 바람의종 2008.03.04 6581
2958 새처럼 연약한 것 바람의종 2008.03.06 5688
2957 그들의 뒤를 따라가 보자 바람의종 2008.03.06 8940
2956 호밀밭의 파수꾼 중에서.... 바람의종 2008.03.07 7493
2955 '나는 내가 바꾼다' 중에서 바람의종 2008.03.08 8220
2954 휴 프레이더의 '나에게 쓰는 편지' 中 - 바람의종 2008.03.10 9184
2953 "삶이 나에게 가르쳐 준 것들" 中 바람의종 2008.03.11 9846
2952 스탈린은 진정한 사회주의자가 아니였다!! 바람의종 2008.03.12 7288
2951 무관심 바람의종 2008.03.12 8242
2950 대학생의 독서 바람의종 2008.03.13 7085
2949 세상을 사는 두 가지의 삶 바람의종 2008.03.14 7636
2948 고백할게 바람의종 2008.03.14 8856
2947 문학대중화란 - 안도현 바람의종 2008.03.15 6738
2946 현실과 이상의 충돌 바람의종 2008.03.16 9793
2945 노인과 여인 바람의종 2008.03.16 6620
2944 소금과 호수 바람의종 2008.03.18 7688
2943 이거 있으세요? 바람의종 2008.03.19 8300
2942 비닐 우산 바람의종 2008.03.19 5426
2941 아버지는 누구인가? 바람의종 2008.03.19 7447
2940 오늘을 위한 아침 5분의 명상 바람의종 2008.03.20 8654
2939 Gustav Klimt and the adagietto of the Mahler 5th symphony 바람의종 2008.03.27 14053
2938 사랑이 잔혹한 이유는 에로스 신 부모 탓? 바람의종 2008.03.27 26461
2937 자본주의 사회에서 더 행복해지는 법 바람의종 2008.04.02 8821
2936 다리가 없는 새가 살았다고 한다. 바람의종 2008.04.05 885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22 Next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