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7230 추천 수 1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책문이란 과거시험의 마지막 관문이 되는 시험을 말합니다. 대과를 거친 인재들 가운데 33명이 남습니다. 이들은 더 이상 탈락하지 않습니다. 다만 등수만 결정될 뿐입니다. 이들이 왕 앞에서 치르는 최종 시험이 책문입니다. 왕은 절박한 심정으로 인재를 뽑기를 원했기에 그 시대의 가장 절실한 물음을 던지고 과거에 응시한 사람 역시 목숨을 걸고 시대의 문제를 날카롭게 질책하며 답합니다.
  
  광해군 3년에 임금은 선비들의 의견 차이를 조정할 길이 없고 전란을 겪고 살아남은 백성을 소생시키기 위해 시급하게 해야 할 세제문제와 토지문제 등에 대해 대책을 묻는 문제를 냅니다. 이 문제에 대한 자기의 견해를 피력하면서 임숙영은 답안지에다 이렇게 씁니다.
  
  "정치적 조치는 반드시 시의에 맞게 해야 하고 인재를 쓰거나 무능한 자를 내칠 때는 반드시 공정한 방법에 따라야 하며, 높은 지위에는 반드시 후덕한 사람을 써야 하고, 모든 관직에는 반드시 유능한 사람을 등용해야 하며, 수령은 반드시 재능 있는 사람을, 장수는 반드시 능력 있는 사람을 기용해야 합니다. (.....) 전하께서는 자기 수양에 깊이 뜻을 두시되, 자만을 심각하게 경계하십시오. 대체로 자만하면 뜻이 날로 교만해지고, 마음이 날로 게을러지며, 덕이 나날이 깎이고, 공이 나날이 무너집니다. 그렇게 되면 만사가 제대로 되지 않고, 온갖 정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전하께서 경계해야 할 것이 바로 거기에 있는 것입니다."
  
  이 책문에서 임숙영은 책제를 벗어나 왕에게 아첨하는 자와 척족의 횡포와 언로가 막혀서 임금과 신하 사이에 소통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 등을 격렬하게 비판합니다. 시험을 주관하는 우의정 심희수는 장원으로 급제시키려 했으나 광해군은 진노하여 그의 이름을 삭제할 것을 명합니다. 그러자 영의정 이덕형, 좌의정 이항복이 삭과의 부당함에 대해 간절히 변론을 하게 되고 이 파동은 넉 달을 끌다가 결국 시관인 심희수가 벼슬을 내놓으면서 일단락됩니다. 물론 임숙영은 벼슬길에 오릅니다.
  
  벼슬길로 나가기 위한 마지막 관문 앞에 서 있으면서도 두려워하지 않고 "나라의 병은 왕 바로 당신에게 있습니다" 하고 직언하는 기개는 이 나라의 선비정신의 핵심을 이룹니다. 시대는 달라도 시대의 고민은 예나 지금이나 다르지 않습니다. 지금 이 책문의 구절구절을 대통령이나 권력의 핵심에 있는 이들도 읽을 수 있게 되기를 바랍니다.










   
 
  도종환/시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風文 2023.02.04 16995
공지 친구야 너는 아니 1 風文 2015.08.20 106499
2310 나는 어떤 사람인가? 風文 2019.08.25 911
2309 나는 오늘도 달려간다 바람의종 2011.02.03 3510
2308 나는 왜 글을 쓰는가? 바람의종 2011.11.15 4691
2307 나는 용기를 선택하겠다 바람의종 2008.11.11 5518
2306 나는 좋아, 그런데 왜 청하지 않니? 風文 2022.08.19 978
2305 나는 지금도 충분히 좋은 사람이다 바람의종 2010.10.09 3969
2304 나도 내 소리 내 봤으면 風文 2015.08.09 7616
2303 나도 자라고 너도 크고... 바람의종 2012.10.16 6667
2302 나로 존재하는 것 바람의종 2009.08.11 4366
2301 나를 넘어서는 도전 정신 風文 2023.01.14 1012
2300 나를 돕는 친구 바람의종 2009.04.09 7156
2299 나를 드러내는데 10년이 걸렸다 風文 2022.02.05 1369
2298 나를 만들어 준 것들 바람의종 2007.12.14 6131
2297 나를 바라보는 시간 風文 2015.07.26 9782
2296 나를 발가벗겨 전시하다 바람의종 2010.11.22 3276
2295 나를 버린 친모를 생각하며 風文 2023.02.16 948
2294 나를 속이는 눈 바람의종 2009.09.04 5203
2293 나를 어루만지는 일 바람의종 2010.03.19 4380
2292 나를 인정해 주는 사람 風文 2015.08.09 8390
2291 나를 행복하게 해주는 세 가지 바람의종 2012.06.12 7543
2290 나를 화나게 하는 것들 風文 2022.02.04 711
2289 나만의 '깊은산속 옹달샘' 바람의종 2010.08.27 3442
2288 나만의 고독한 장소 風文 2023.04.16 773
2287 나무 명상 바람의종 2009.06.09 6034
2286 나무그늘 바람의종 2012.04.23 576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 122 Next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