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7119 추천 수 1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책문이란 과거시험의 마지막 관문이 되는 시험을 말합니다. 대과를 거친 인재들 가운데 33명이 남습니다. 이들은 더 이상 탈락하지 않습니다. 다만 등수만 결정될 뿐입니다. 이들이 왕 앞에서 치르는 최종 시험이 책문입니다. 왕은 절박한 심정으로 인재를 뽑기를 원했기에 그 시대의 가장 절실한 물음을 던지고 과거에 응시한 사람 역시 목숨을 걸고 시대의 문제를 날카롭게 질책하며 답합니다.
  
  광해군 3년에 임금은 선비들의 의견 차이를 조정할 길이 없고 전란을 겪고 살아남은 백성을 소생시키기 위해 시급하게 해야 할 세제문제와 토지문제 등에 대해 대책을 묻는 문제를 냅니다. 이 문제에 대한 자기의 견해를 피력하면서 임숙영은 답안지에다 이렇게 씁니다.
  
  "정치적 조치는 반드시 시의에 맞게 해야 하고 인재를 쓰거나 무능한 자를 내칠 때는 반드시 공정한 방법에 따라야 하며, 높은 지위에는 반드시 후덕한 사람을 써야 하고, 모든 관직에는 반드시 유능한 사람을 등용해야 하며, 수령은 반드시 재능 있는 사람을, 장수는 반드시 능력 있는 사람을 기용해야 합니다. (.....) 전하께서는 자기 수양에 깊이 뜻을 두시되, 자만을 심각하게 경계하십시오. 대체로 자만하면 뜻이 날로 교만해지고, 마음이 날로 게을러지며, 덕이 나날이 깎이고, 공이 나날이 무너집니다. 그렇게 되면 만사가 제대로 되지 않고, 온갖 정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전하께서 경계해야 할 것이 바로 거기에 있는 것입니다."
  
  이 책문에서 임숙영은 책제를 벗어나 왕에게 아첨하는 자와 척족의 횡포와 언로가 막혀서 임금과 신하 사이에 소통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 등을 격렬하게 비판합니다. 시험을 주관하는 우의정 심희수는 장원으로 급제시키려 했으나 광해군은 진노하여 그의 이름을 삭제할 것을 명합니다. 그러자 영의정 이덕형, 좌의정 이항복이 삭과의 부당함에 대해 간절히 변론을 하게 되고 이 파동은 넉 달을 끌다가 결국 시관인 심희수가 벼슬을 내놓으면서 일단락됩니다. 물론 임숙영은 벼슬길에 오릅니다.
  
  벼슬길로 나가기 위한 마지막 관문 앞에 서 있으면서도 두려워하지 않고 "나라의 병은 왕 바로 당신에게 있습니다" 하고 직언하는 기개는 이 나라의 선비정신의 핵심을 이룹니다. 시대는 달라도 시대의 고민은 예나 지금이나 다르지 않습니다. 지금 이 책문의 구절구절을 대통령이나 권력의 핵심에 있는 이들도 읽을 수 있게 되기를 바랍니다.










   
 
  도종환/시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風文 2023.02.04 14318
공지 친구야 너는 아니 1 風文 2015.08.20 103769
210 풍족할 때 준비하라 風文 2019.08.26 880
209 프란시스코 교황의 '아름다운 메시지' 風文 2020.05.06 893
208 플라시보 효과 바람의종 2012.04.20 5841
207 피곤해야 잠이 온다 風文 2022.01.30 781
206 피땀이란 말 바람의종 2012.04.03 6358
205 피로감 風文 2020.05.02 852
204 피의 오염, 자연 치유 風文 2019.06.19 932
203 피천득의 수필론 風文 2023.11.22 939
202 피해갈 수 없는 사건들 風文 2022.05.26 1010
201 핀란드의 아이들 - 도종환 (123) 바람의종 2009.02.02 8433
200 하기 싫은 일을 위해 하루 5분을 투자해 보자 바람의종 2008.08.21 9788
199 하나를 바꾸면 전체가 바뀐다 바람의종 2011.08.12 6374
198 하나만 아는 사람 風文 2023.04.03 857
197 하나의 가치 바람의종 2008.04.29 7027
196 하느님의 사랑, 우리의 사랑 - 도종환 (80) 바람의종 2008.10.13 7879
195 하늘 같은 지도자보다 바다 같은 지도자 윤안젤로 2013.04.19 9072
194 하늘, 바람, 햇살 바람의종 2013.01.31 7876
193 하늘나라에 교실을 짓자꾸나! 風文 2020.06.18 923
192 하늘에 반짝반짝 꿈이 걸려있다 바람의종 2008.12.23 6055
191 하늘에서 코끼리를 선물 받은 연암 박지원 바람의종 2008.02.09 14111
190 하늘은 스스로 돕는 자를 돕는다. 風文 2022.12.02 1060
189 하늘의 눈으로 보면 바람의종 2012.05.22 8906
188 하루 10분 일광욕 風文 2014.10.10 11496
187 하루 2리터! 바람의종 2011.05.12 4661
186 하루 가장 적당한 수면 시간은? 風文 2022.05.30 124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Next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