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7.21 18:04

개울과 바다 - 도종환

조회 수 9387 추천 수 2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개울은 제가 그저 개울인 줄 안다
  산골짝에서 이름 없는 돌멩이나 매만지며
  밤에는 별을 안아 흐르고 낮에는 구름을 풀어
  색깔을 내며 이렇게 소리없이
  낮은 곳을 지키다 가는 물줄기인 줄 안다
  물론 그렇게 겸손해서 개울은 미덥다
  개울은 제가 바다의 핏줄임을 모른다
  바다의 시작이요 맥박임을 모른다
  아무도 눈여겨 보아주지 않는
  소읍의 변두리를 흐린 낯빛으로 지나가거나
  어떤 때는 살아 있음의 의미조차 잊은 채
  떠밀려 서쪽으로 서쪽으로 가고 있는 줄로 안다
  쏘가리나 피라미를 키우는 산골짝 물인지 안다
  그러나 가슴속 그 물빛으로 마침내
  수천 수만 바닷고기를 자라게 하고
  어선만한 고래도 살게 하는 것이다
  언젠가 개울은 알게 될 것이다
  제가 곧 바다의 출발이며 완성이었음을
  멈추지 않고 흐른다면
  그토록 꿈꾸던 바다에 이미 닿아 있다는 걸
  살아 움직이며 쉼없이 흐른다면
  
  「개울」이란 제 시입니다. 골짜기에서 흐르는 작은 물줄기가 개울입니다. 개울은 아무도 눈여겨 보아주지 않는 물입니다. 그저 쏘가리나 피라미가 사는 산골짝 물입니다. 그러나 거대한 바다도 개울에서 출발하였습니다. 개울은 비록 낮은 곳에 있는 보잘것없어 보이는 물이지만 그 개울 하나 하나가 바다의 핏줄이었던 것입니다. 바다의 시작이요 맥박인 것입니다.
  
  그러나 바다까지 가려면 멈추지 말고 나아가야 합니다. 살아 움직이면서 쉼 없이 흘러야 합니다. 주저앉거나 포기하면 그 순간부터 개울은 부패하기 시작합니다. 늘 깨어 있어야 하고 맑은 모습으로 흘러야 합니다. 바다를 향해 달려가는 걸음을 멈추지 않으므로 개울물이 맑은 것입니다. 그래야 바다의 출발이고 완성일 수 있습니다.
  
  우리 자신이 아무도 눈여겨 보아주지 않는 개울물처럼 느껴질 때가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혼자이지 않습니다. 우리는 실핏줄처럼 다른 물들과 연결되어 있고 함께 있습니다. 우리는 멈추지 않고 흘러가 바다에서 만나게 될 것입니다.











   
 
  도종환/시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風文 2023.02.04 13528
공지 친구야 너는 아니 1 風文 2015.08.20 102871
2635 고마워... 윤안젤로 2013.03.07 8286
2634 아버지 책 속의 옛날돈 윤안젤로 2013.03.11 8282
2633 큐피드 화살 風文 2014.11.24 8279
2632 전혀 다른 세계 바람의종 2008.10.17 8272
2631 나그네 바람의종 2007.03.09 8266
2630 solomoon 의 잃어버린 사랑을 위하여(17대 대선 특별판) 바람의종 2007.12.20 8266
2629 희망의 발견 바람의종 2009.06.17 8258
2628 벽을 허물자 바람의종 2008.11.29 8256
2627 흉내내기 風文 2014.12.16 8250
2626 무슨 일이 일어나든... 風文 2014.12.28 8248
2625 아버지의 포옹 바람의종 2013.02.14 8245
2624 무관심 바람의종 2008.03.12 8242
2623 오늘 음식 맛 바람의종 2012.12.10 8237
2622 "일단 해봐야지, 엄마" 風文 2014.12.24 8235
2621 향기에서 향기로 바람의종 2012.12.31 8229
2620 이야기가 있는 곳 風文 2014.12.18 8229
2619 새로운 세상을 창조한다 바람의종 2012.12.21 8228
2618 가을 오후 - 도종환 (94) 바람의종 2008.11.15 8224
2617 '나는 내가 바꾼다' 중에서 바람의종 2008.03.08 8220
2616 인생 나이테 風文 2015.07.26 8219
2615 진실한 사랑 바람의종 2008.02.11 8218
2614 「그 부자(父子)가 사는 법」(소설가 한창훈) 바람의종 2009.05.20 8213
2613 왕이시여, 어찌 이익을 말씀하십니까? 바람의종 2008.07.09 8211
2612 사사로움을 담을 수 있는 무한그릇 바람의종 2008.02.03 8210
2611 가을이 떠나려합니다 風文 2014.12.03 819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 122 Next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