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7.21 18:04

개울과 바다 - 도종환

조회 수 9535 추천 수 2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개울은 제가 그저 개울인 줄 안다
  산골짝에서 이름 없는 돌멩이나 매만지며
  밤에는 별을 안아 흐르고 낮에는 구름을 풀어
  색깔을 내며 이렇게 소리없이
  낮은 곳을 지키다 가는 물줄기인 줄 안다
  물론 그렇게 겸손해서 개울은 미덥다
  개울은 제가 바다의 핏줄임을 모른다
  바다의 시작이요 맥박임을 모른다
  아무도 눈여겨 보아주지 않는
  소읍의 변두리를 흐린 낯빛으로 지나가거나
  어떤 때는 살아 있음의 의미조차 잊은 채
  떠밀려 서쪽으로 서쪽으로 가고 있는 줄로 안다
  쏘가리나 피라미를 키우는 산골짝 물인지 안다
  그러나 가슴속 그 물빛으로 마침내
  수천 수만 바닷고기를 자라게 하고
  어선만한 고래도 살게 하는 것이다
  언젠가 개울은 알게 될 것이다
  제가 곧 바다의 출발이며 완성이었음을
  멈추지 않고 흐른다면
  그토록 꿈꾸던 바다에 이미 닿아 있다는 걸
  살아 움직이며 쉼없이 흐른다면
  
  「개울」이란 제 시입니다. 골짜기에서 흐르는 작은 물줄기가 개울입니다. 개울은 아무도 눈여겨 보아주지 않는 물입니다. 그저 쏘가리나 피라미가 사는 산골짝 물입니다. 그러나 거대한 바다도 개울에서 출발하였습니다. 개울은 비록 낮은 곳에 있는 보잘것없어 보이는 물이지만 그 개울 하나 하나가 바다의 핏줄이었던 것입니다. 바다의 시작이요 맥박인 것입니다.
  
  그러나 바다까지 가려면 멈추지 말고 나아가야 합니다. 살아 움직이면서 쉼 없이 흘러야 합니다. 주저앉거나 포기하면 그 순간부터 개울은 부패하기 시작합니다. 늘 깨어 있어야 하고 맑은 모습으로 흘러야 합니다. 바다를 향해 달려가는 걸음을 멈추지 않으므로 개울물이 맑은 것입니다. 그래야 바다의 출발이고 완성일 수 있습니다.
  
  우리 자신이 아무도 눈여겨 보아주지 않는 개울물처럼 느껴질 때가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혼자이지 않습니다. 우리는 실핏줄처럼 다른 물들과 연결되어 있고 함께 있습니다. 우리는 멈추지 않고 흘러가 바다에서 만나게 될 것입니다.











   
 
  도종환/시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風文 2023.02.04 16487
공지 친구야 너는 아니 1 風文 2015.08.20 105911
2810 정면으로 부딪치기 바람의종 2012.07.11 9634
2809 "여기 있다. 봐라." 風文 2014.08.11 9634
2808 진정한 길 바람의종 2008.01.31 9627
2807 자기 재능의 발견 風文 2014.08.18 9617
2806 비가 내리지 않는 하늘은 없다 風文 2014.08.29 9580
2805 어느 한 가로수의 독백 - 우종영 風磬 2006.11.21 9578
2804 단풍 - 도종환 (82) 바람의종 2008.10.17 9577
2803 착한 사람 정말 많다 風文 2014.11.29 9573
2802 '바로 지금' 윤안젤로 2013.03.11 9552
2801 화창한 봄날 윤안젤로 2013.03.13 9548
2800 '바운스', 일류인생의 일류노래 윤안젤로 2013.05.20 9539
» 개울과 바다 - 도종환 바람의종 2008.07.21 9535
2798 「바람에 날리는 남자의 마음」(소설가 성석제) 바람의종 2009.05.15 9535
2797 목백일홍 - 도종환 (68) 바람의종 2008.09.18 9512
2796 주는 것과 받는 것 윤안젤로 2013.05.13 9505
2795 고맙다, 철없던 순간들 바람의종 2012.10.30 9493
2794 용연향과 사람의 향기 / 도종환 바람의종 2008.04.21 9461
2793 겨울 나무 - 도종환 (130) 바람의종 2009.02.14 9459
2792 살면서 가끔은 울어야 한다 윤안젤로 2013.03.11 9457
2791 상대적이며 절대적인 지식의 백과사전 中 - 베르나르 베르베르 바람의종 2008.01.15 9455
2790 제국과 다중 출현의 비밀: 비물질 노동 바람의종 2008.09.02 9455
2789 긍정 에너지 風文 2014.08.06 9450
2788 칼국수 風文 2014.12.08 9436
2787 고흐에게 배워야 할 것 - 도종환 (72) 바람의종 2008.09.23 9425
2786 가슴에 핀 꽃 風文 2014.12.24 942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122 Next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