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7.18 11:07

사과

조회 수 6537 추천 수 1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사과

언어예절

잘못했으니 너그러이 봐 달라고 비는 것이 사과다. 사람이 아무리 바르고 곧게 산다 해도 일이 잘못될 때가 적잖다. 마음을 어지럽히고, 손해를 끼치거나 다치게 하는 등 살다 보면 사적공적인 잘잘못이 생기기 마련이다.

사람들은 잘못했다고 말하기를 꺼린다. 체면이 상하고 책임이 따르는 까닭이다. 그렇지만 사과할 일은 낯을 돌보지 말고 제때 하고 넘어가야 옳다. 뉘우치고 용서를 비는 자세가 비뚤어진 것을 바로잡는 길이다. 잘못을 저지르고도 모른다거나 잡아떼거나 뭉개는 태도는 어질지 못한 일이다. 흔히 잘못을 정당화하기도 하고, 잘못을 인정하라는 상대를 트집 잡아 윽박지르기도 한다. 도둑이 매를 드는 격이다. 용서를 빌어도 받아들일 쪽 마음인데, 이 정도면 말이 통하지 않는 단계다.

일이 잘못된 데는 무능해서, 실수로, 게을러서, 일부러, 할 수 없이, 구조적인 문제로 … 연유가 숱하며, 사과 종류도 의례적인 것, 마지못해서, 말뿐인 사과, 묵은 사과, 대국민 사과 … 등 갖가지다.

세기에 따라 안됐다·미안하다·유감이다·잘못했다·사죄한다·책임지겠다 …에다 몹시·충심으로·깊이·대단히·매우·머리숙여·무척 … 같은 꾸밈말을 쓴다. 해명과 다짐을 아울러야 제격이다.

사과는 마땅히 행해야 할 도리이자 문제를 푸는 좋은 방식이다. 보상이 따라야 할 때도 있다. 그 책임이 나라에 있을 때 ‘보상법’을 꾸리기도 한다. 나라 사이에서는 ‘사과’에 더욱 인색한데, 그 세기나 용어를 두고 협상을 하기도 한다. 주고받는 말이 아이들이나 동네 장삼이사의 말싸움과 크게 다를 바는 없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風文 2023.02.04 12933
공지 친구야 너는 아니 1 風文 2015.08.20 102306
3035 힘이 부치거든 더 힘든 일을 하라 바람의종 2010.05.31 6416
3034 힘을 냅시다 風文 2020.05.05 1075
3033 힘써야 할 세가지 일 바람의종 2012.08.29 13598
3032 힘들 때, '기쁨의 목록' 만들기 風文 2014.11.29 9831
3031 힘내요! 나도, 당신도. 風文 2019.08.30 1104
3030 힘과 용기가 필요하다면 바람의종 2008.07.31 11263
3029 힐러의 손 윤영환 2013.06.28 14859
3028 히틀러는 라디오가 없었다면 존재할 수 없었다 바람의종 2008.08.05 16893
3027 희열을 느끼는 순간 風文 2020.05.01 1231
3026 희열감이 뭉게구름처럼 윤안젤로 2013.03.07 12777
3025 희생할 준비 바람의종 2011.11.09 8385
3024 희생 정신 바람의종 2012.06.11 11800
3023 희미한 추억을 되살리려면 風文 2022.02.06 1034
3022 희망이란 風文 2013.08.20 19343
3021 희망이란 바람의종 2009.07.31 8874
3020 희망이란 바람의종 2010.08.03 7736
3019 희망이란 윤영환 2011.08.16 6916
3018 희망이란 바람의종 2012.08.01 10261
3017 희망이란 風文 2015.06.03 7252
3016 희망이란 風文 2019.08.12 1090
3015 희망이란 風文 2021.09.02 819
3014 희망이란 風文 2022.06.01 1033
3013 희망이란 風文 2023.08.04 1251
3012 희망의 줄 바람의종 2011.02.03 7081
3011 희망의 스위치를 눌러라 바람의종 2008.12.27 841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22 Next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