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7.16 05:55

벌주기

조회 수 6452 추천 수 2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벌주기

언어예절

“사람을 죽인 자는 그도 죽이며, 남을 다치게 한 이는 곡물로 보상하고, 물건을 훔친 이는 임자의 노비로 삼는다.”(옛조선 8조 금법에서)


형벌을 담은 선언이다. 소략한 듯하지만 기록이 사라졌을 뿐 옛조선의 규율이라고 그리 허술하지만은 않았을 터이다. 나무라거나 꾸짖어도 안 되면 결국 벌주기(징계)로 갈 수밖에 없다. 이는 일상적인 말로 풀 수준을 넘은 것으로서, 집단마다 간추린 학칙·사규·복무규정 등 갖가지 제도화된 법규가 있다. 드물지만 사사로이 행하는 벌도 있다.

학교에서는 경고·견책·근신·정학·퇴학·제적·퇴교 등이, 기업·공무원 쪽에서는 경고·견책·감봉·정직·해임·파면 등 단계를 나눠 벌을 준다. 형사·민사 사항은 이런 쪽과 상관없이 법 따라 행한다.

이처럼 틀로 굳혀 행하는 절차들이 과연 말의 영역을 벗어난 것인가? 그렇지는 않다. 좀더 복잡해질 뿐이다. 누구도 억울해선 안 되겠기에 절차마다 말글로 경위를 밝힐 기회를 준다. 떼나 억지처럼 보이는 시위도 나름의 정당성이 있다. 잘못이 없음을 말하거나(발명), 구실을 대며 그럴듯하게 둘러대고(변명), 그리 된 까닭이나 이유를 밝힌다.(해명) 집단 앞에 개인은 약하지만 집단을 걸어 시비를 가리는 절차가 있다.

법·행정·정치도 결국은 말글로 이뤄진다. 법은 강제력을 바탕으로 행정·판결의 근거가 되는데, 언제든 새롭게 거래를 트고 규제할 필요가 생기므로 손질을 자주한다. 법·제도가 아무리 정치해도 사람을 가장 많이 죽이는 동물이 사람이다. 극단적 징계 방식인 전쟁도 말로 합리화한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風文 2023.02.04 15777
공지 친구야 너는 아니 1 風文 2015.08.20 105232
3035 힘이 부치거든 더 힘든 일을 하라 바람의종 2010.05.31 6481
3034 힘을 냅시다 風文 2020.05.05 1176
3033 힘써야 할 세가지 일 바람의종 2012.08.29 13736
3032 힘들 때, '기쁨의 목록' 만들기 風文 2014.11.29 10016
3031 힘내요! 나도, 당신도. 風文 2019.08.30 1328
3030 힘과 용기가 필요하다면 바람의종 2008.07.31 11500
3029 힐러의 손 윤영환 2013.06.28 14953
3028 히틀러는 라디오가 없었다면 존재할 수 없었다 바람의종 2008.08.05 17080
3027 희열을 느끼는 순간 風文 2020.05.01 1361
3026 희열감이 뭉게구름처럼 윤안젤로 2013.03.07 12832
3025 희생할 준비 바람의종 2011.11.09 8519
3024 희생 정신 바람의종 2012.06.11 11893
3023 희미한 추억을 되살리려면 風文 2022.02.06 1282
3022 희망이란 風文 2013.08.20 19496
3021 희망이란 바람의종 2009.07.31 9073
3020 희망이란 바람의종 2010.08.03 7824
3019 희망이란 윤영환 2011.08.16 6969
3018 희망이란 바람의종 2012.08.01 10382
3017 희망이란 風文 2015.06.03 7417
3016 희망이란 風文 2019.08.12 1275
3015 희망이란 風文 2021.09.02 983
3014 희망이란 風文 2022.06.01 1182
3013 희망이란 風文 2023.08.04 1376
3012 희망의 줄 바람의종 2011.02.03 7138
3011 희망의 스위치를 눌러라 바람의종 2008.12.27 862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22 Next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