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6480 추천 수 2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생각의 집부터 지어라








 설계를 의뢰하려는 이들 중에는 ‘구름 같은 집’의 겉모양에 집착하거나, 집을 지을까 말까 오랫동안 망설이다가 정작 설계는 초스피드로 해 달라고 요구하는 경우가 있다. 이들이야말로 집을 지을 마음의 준비가 부족한 사람들이다. 집을 잘 지으려면 무엇보다 생각부터 잘 지어야 하는데, 밑바탕도 없이 대뜸 그림부터 그리려는 조급함이 여간 커다란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좋은 설계를 하는 데 있어 소요 공간의 기능이나 면적 등도 중요한 필요조건이지만 비껴가서는 안 될 본질적인 물음들이 있다. 이를테면, ‘집은 왜 지으려 하는가?’, ‘집을 지어서 무엇을 얻으려(즐기려) 하는가?’등이 바로 그것이다.


 나는 그들이 평소 갖고 있는 집에 대한 생각들을 살펴보기 위해 소설가 유진오의 《창랑정기》나 법정 스님의 《텅 빈 충만》, 또는 박완서의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와 같은 작품들을 읽어 보았는지 슬며시 묻곤 한다. 물론 읽어 보지 않았다면 반드시 일독을 권하면서, 이들 작품을 예로 들어 구체적으로 집의 진면목은 어떠한 것이어야 하며 제대로 된 집을 위해 어떠한 개념이 필요한지를 내 식대로 풀이해 드리곤 한다. 그렇게 문학을 화두로 삼아 ‘사유의 집’을 함께 그리다 보면 서로의 인연이 어디까지일지를 대략 가늠하게 된다. 문학적인 상상력이 바탕이 되어 다소나마 정서적인 교감이 오고가는 경우라야 일을 함께 할 만하다고 보는 것이 내 나름의 일감 선택 방식이다. 


 수많은 문학 텍스트가 여실히 증거하고 있듯이 집을 제대로 짓는다 함은 하늘과 땅과 사람 사이의 소중한 인연을 잘 보듬어 이어가고자 함이다. 또한 집을 굳건히 일으켜 세운다 함은 단순히 아름다운 모양이나 풍광만을 취하는 것이 아니다. 그 속에 스며들 정신을 구축해 내는 것인 동시에 집주인의 자화상(인품)을 곧바로 드러내는 것이다. 그렇기에 설계에 뜸을 들여가며 신중에 신중을 기하지 않을 수 없다.


 요컨대 사유의 집 짓기는 집의 뼈대를 튼튼하게 하기 위한 기초공사나 다름없다. 생각이 부실하면 집 짓기는 형태의 유희로 끝날 공산이 크다. 집 모양이야 건축가에게 맡기더라도 사유의 텃밭만큼은 집주인도 함께 일구어야 한다. 문학적 상상력으로 대지 위에 ‘사유의 집’을 짓는 것! 그것이 바로 건축의 기본이요 출발이다.


김억중 님 | 건축가 , 한남대 교수
-《행복한동행》2008년 7월호 중에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風文 2023.02.04 15854
공지 친구야 너는 아니 1 風文 2015.08.20 105361
2885 저 하늘 저 별을 보라 風文 2014.11.24 10456
2884 죽은 돈, 산 돈 風文 2014.12.07 10453
2883 한 걸음 떨어져서 나를 보라 바람의종 2013.02.05 10439
2882 "무엇이 되고자 하는가?" 바람의종 2012.11.01 10436
2881 지금 내 가슴이 뛰는 것은 風文 2015.03.11 10420
2880 황무지 風文 2014.12.22 10410
2879 하루를 시작하는 '경건한 의식' 윤안젤로 2013.03.07 10399
2878 화를 다스리는 응급처치법 바람의종 2012.12.07 10395
2877 희망이란 바람의종 2012.08.01 10390
2876 잘 자는 아기 만드는 '잠깐 멈추기' 風文 2013.07.07 10377
2875 초록 꽃나무 / 도종환 바람의종 2008.05.23 10377
2874 눈에 보이지 않는 것 風文 2014.08.12 10370
2873 '백남준' 아내의 고백 윤안젤로 2013.04.03 10360
2872 집중력 風文 2014.08.11 10354
2871 존경받고, 건강해지려면 윤안젤로 2013.04.11 10329
2870 함께 산다는 것 風文 2014.08.06 10320
2869 세상에서 가장 슬픈건.. 風磬 2007.01.19 10319
2868 첼로를 연주할 때 윤안젤로 2013.04.11 10297
2867 「그녀 생애 단 한 번」(소설가 정미경) 바람의종 2009.06.09 10288
2866 누군가 윤안젤로 2013.05.27 10286
2865 들꽃은 햇빛을 찾아 옮겨 다니지 않는다 風文 2014.12.11 10236
2864 양철지붕에 올라 바람의종 2008.08.27 10234
2863 혼란 風文 2014.11.29 10224
2862 사고의 틀 윤영환 2013.06.28 10220
2861 두 개의 문 風文 2014.08.29 1021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22 Next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