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6.27 11:22

빈 병 가득했던 시절

조회 수 6177 추천 수 2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빈 병 가득했던 시절








 연극배우가 늘 배고픈 건 아니다. 그러나 보통 사람들보다 배고픈 날이 더 많은 건 사실이다. 십수 년 전 내가 가장 즐거워했던 자리는 삼겹살에 소주 또는 통닭에 생맥주가 있는 술자리였다. 몇 끼를 굶었건 얼마나 오래 연습을 했건 그런 술자리가 있으면 나는 흥분했고 어느새 행복해졌다. 지금까지도 몇몇 그때의 술자리들은 가슴 구석에 아련히 모셔져 있다. 제법 유명해진 요즘은 원 없이 그때처럼 먹을 수 있지만, 그때의 맛은 도무지 따라갈 수가 없다.

 언제인지 어떤 자리인지 생각도 나지 않지만 그날은 ‘따따블의 날’이었다. 삼겹살에 소주, 통닭에 생맥주가 이어지는 술자리였으니 말이다. 흥분된 만취 상태로 밤을 찢어 새벽을 맞이했고 첫차 뒷좌석에 실려 자취방에 들어왔다. 몇 시간이나 잤을까. 술은 못 깨고 겨우 잠만 깨 냄새나는 자취방을 나와 연습실로 향하는 버스에 오르려는 순간, 차비가 없음을 확인하고 급히 집으로 돌아왔다. 그리고 정신없이 동전을 찾기 시작했다. 삼십 여 분 후 손아귀에 들어온 돈은 오십 원. 그때 물가로 백 원이 부족했다. 걸어서 세 시간은 족히 걸리는 연습실, 작은 절망이 몰려왔다. 염치없이 옆집에서 빌릴 수도 없고 운전기사에게 사정하기도 쪽팔리고…. 평소 잔머리 잘 굴린다 소리 듣던 머리를 아무리 굴려도 답이 나오지 않았다.

 ‘공연도 아니고 연습인데 뭘…. 원래 성실한 놈도 아니구, 에잇, 양말이나 빨자.’
 신발장 옆에는 스무 짝이 넘는 양말이 쌓여 있었다. 대야를 가져와 양말을 담으려는 순간 신발장 옆에 수북이 쌓인 빈 병들에 시선이 꽂혔다. ‘가만, 저게 얼마야?’ 삼십 병도 거뜬히 넘는 빈 병들을 세어 보니 거의 천 원에 육박했다. 차비가 문젠가, 담배까지 살 수 있었다. 하하. 갑자기 천하를 얻은 기분. 정류장에서 담배 한 개비를 아주 건방지게 태우고 보무당당히 버스에 올라탔다.

 그 시절은 그렇게 늘 아슬아슬했고 오늘 벌어 내일을 버텨야 했지만, 멈추지는 않았다. 내가 가장 잘할 수 있는 것, 내가 가장 좋아하는 것이 일치했으니, 한 끼 굶어 술이었고 동가식서가숙이었지만 늘 행복했고 신났다.

 삼겹살에 소주, 통닭에 생맥주 한번 원 없이 먹어 본 적 없던 그 시절의 술자리. 그 잊을 수 없는 맛을 또다시 좋은 벗들과 느껴보고 싶다.


박철민 님 | 배우
-《행복한동행》2008년 6월호 중에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風文 2023.02.04 16664
공지 친구야 너는 아니 1 風文 2015.08.20 106115
2885 '성실'과 '실성' 風文 2015.06.24 6238
2884 '세상에서 가장 어려운 일' 윤영환 2013.06.15 9990
2883 '소식'을 하되... 바람의종 2012.04.27 5939
2882 '손을 씻다' 風文 2020.05.25 956
2881 '순수의식' 風文 2014.12.18 7046
2880 '스님은 고민 없지요?' 바람의종 2012.10.05 6914
2879 '시루논' 바람의종 2009.10.28 4177
2878 '실속 없는 과식' 윤영환 2013.06.28 9715
2877 '쓴 것을 가져오라' 風文 2022.01.13 1175
2876 '아침'을 경배하라 風文 2019.08.17 1000
2875 '안심하세요, 제가 있으니까요' 바람의종 2009.06.09 3991
2874 '애무 호르몬' 바람의종 2011.09.29 8864
2873 '액티브 시니어' 김형석 교수의 충고 風文 2022.05.09 1076
2872 '야하고 뻔뻔하게' 風文 2013.08.20 18848
2871 '어느 날 갑자기' 바람의종 2013.01.31 7171
2870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 風文 2020.05.07 961
2869 '어른 아이' 모차르트 風文 2023.11.21 927
2868 '어른'이 없는 세상 風文 2019.08.24 1046
2867 '어쩌면 좋아' 바람의종 2010.04.17 3453
2866 '억울하다'라는 말 風文 2023.01.17 924
2865 '언제 가장 행복했습니까?' 風文 2022.02.06 930
2864 '언제나 준비한다' 바람의종 2011.02.28 3162
2863 '얼굴', '얼골', '얼꼴' 風文 2019.08.19 1085
2862 '열심히 뛴 당신, 잠깐 멈춰도 괜찮아요' 바람의종 2013.01.15 7826
2861 '영혼의 우물' 風文 2017.12.14 376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22 Next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