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8200 추천 수 3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로마네스크, 고딕 양식 등은 유럽의 경관을 대표하는 양식들이다. 이들은 금박, 은박 등의 화려한 재료를 소재로 사용했을 뿐만 아니라 촛불과 빛을 이용한 효과로 미술사에서 보기 드문 장관을 연출한다. 이러한 중세 미술의 기반이 되는 철학은 무엇이었을까? 감각론으로서의 미학의 간략한 역사를 통해 살펴보자.
 







어떤 대상의 속성을 알려면 우리가 그것을 느끼는 감각론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감각론은 고대 그리스 철학자 플라톤에게서 본격적으로 얘기가 된다. 그는 감각을 ‘영혼의 기관’이라 불렀다. 영혼을 위한 수단이란 것이다. 그리고 시각, 청각, 후각, 미각의 네 가지 요소가 감각을 구성하는 것이라 보았다. 그는 시각을 매우 중요한 특권적인 것으로 보았으며, 촉각은 다른 기관과 다르게 그것에 해당하는 기관이 없다는 이유로 따로 분류하지 않았다.

아리스토텔레스는 플라톤의 네 가지 요소에 촉각을 더해서 다섯 개의 감각론을 주장하고 이들을 위계적으로 분류했다. 또 기존에 능동적인 지각으로 생각되던 감각을 수용기관으로 규정하고, 감각을 느끼는 것은 직접 접촉을 통하는 것이 아니고, 매질을 통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아리스토텔레스의 감각론은 중세로 넘어가면서 변화한다. 아우구스티누스의 「고백록」을 보면 중세 감각론의 특징이 잘 드러나고 있다. 여기서 그는 다섯 가지 감각을 은유와 비유, 상징의 수단을 갖고 변주하며 신을 찬양한다. 영원 불변하는 초월적인 아름다움은 신을 통해서 드러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신의 은총, 신의 섭리를 읽어야 한다는 것이 아우구스티누스에 와서 변화된 중세 감각론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중세 감각론은 이중화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하나님이 창조한 현재는 한편 아름다운 곳이지만, 단지 스쳐지나가는 곳일 뿐이다. 때문에 신이 창조한 현실 이면에 있는 신의 섭리를 주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 것이다. 그래서 다섯 가지 감각을 통해 지각된 세상에 대해서 경계하는 한편, 다섯 가지 감각을 육체를 떠난 정신화 된 형태로 신에게 바치는, 초월적인 세계에 주목하게 됐다.












또한 초월적인 세계를 표현하는 재료에 있어서 매우 세속적이고 감각적인 재료 취향을 보여주었다. 즉, 초월적 세계라는 형이상학을 현실에서 표현해야 하는 과제가 떨어진 미술가들이 결국 물질이라는 재료를 갖고 작업을 해야 했고, 여기에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해 낸 것이 바로 금박, 은박 등 광채가 나는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라 생각한 것이다. 따라서 가장 감각적이고 관능적이면서, 초월적인 해석이 붙는다는 것. 이것이 중세 감각론을 보는 중요한 포인트라 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배경에서 나타난 중세 예술은 결국 색채가 화려한 예술이 되었다. 고대 그리스의 조각이나 회화가 형(形)을 중요시 했던데 반해, 굉장히 감각적인 색 표현을 통해서 눈에 보이는 모든 것을 초월하는 신학적 의미, 종교적 의미, 초월적 의미를 부여한 것이다. 예컨대 어두운 로마네스크에서 촛불의 빛이 뻗어 나오는 효과라던가, 스테인드 글라스를 설치하여 자연 채광을 활용한 빛의 향연은 대단히 감각적인 효과를 내면서 어떤 초월적 세계를 암시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風文 2023.02.04 14371
공지 친구야 너는 아니 1 風文 2015.08.20 103830
2610 황홀한 끌림 바람의종 2009.03.23 7460
2609 당신이 희망입니다 바람의종 2009.03.23 4704
2608 점심시간에는 산책을 나가라 바람의종 2009.03.23 7062
2607 꽃소식 - 도종환 (145) 바람의종 2009.03.23 6276
2606 고맙고 대견한 꽃 - 도종환 (146) 바람의종 2009.03.23 7013
2605 2도 변화 바람의종 2009.03.24 7384
2604 사람이 항상 고상할 필요는 없다 바람의종 2009.03.25 5541
2603 들은 꽃을 자라게 할 뿐, 소유하려 하지 않습니다 - 도종환 (147) 바람의종 2009.03.26 5216
2602 사랑하다 헤어질 때 바람의종 2009.03.26 5541
2601 자기 비하 바람의종 2009.03.27 6589
2600 모과꽃 - 도종환 (148 - 끝.) 바람의종 2009.03.29 6829
2599 내 서른살은 어디로 갔나 바람의종 2009.03.29 6086
2598 생각의 산파 바람의종 2009.03.30 5819
2597 몸이 아프면 바람의종 2009.03.31 5671
2596 "'거룩한' 바보가 세상을 구할 수 있을까?" 바람의종 2009.03.31 11139
2595 네 안의 거인을 깨워라 바람의종 2009.04.03 7004
2594 아름다운 욕심 바람의종 2009.04.03 4896
2593 엄마의 일생 바람의종 2009.04.03 4906
2592 "영원히 변하지 않는 영혼은 있는가?" 바람의종 2009.04.03 8606
2591 불타는 열정 바람의종 2009.04.09 4803
2590 나를 돕는 친구 바람의종 2009.04.09 7084
2589 내면의 어른 바람의종 2009.04.09 5930
2588 계란말이 도시락 반찬 바람의종 2009.04.09 6857
2587 젊음의 특권 바람의종 2009.04.13 8624
2586 손을 놓아줘라 바람의종 2009.04.13 572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 122 Next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