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8215 추천 수 3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로마네스크, 고딕 양식 등은 유럽의 경관을 대표하는 양식들이다. 이들은 금박, 은박 등의 화려한 재료를 소재로 사용했을 뿐만 아니라 촛불과 빛을 이용한 효과로 미술사에서 보기 드문 장관을 연출한다. 이러한 중세 미술의 기반이 되는 철학은 무엇이었을까? 감각론으로서의 미학의 간략한 역사를 통해 살펴보자.
 







어떤 대상의 속성을 알려면 우리가 그것을 느끼는 감각론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감각론은 고대 그리스 철학자 플라톤에게서 본격적으로 얘기가 된다. 그는 감각을 ‘영혼의 기관’이라 불렀다. 영혼을 위한 수단이란 것이다. 그리고 시각, 청각, 후각, 미각의 네 가지 요소가 감각을 구성하는 것이라 보았다. 그는 시각을 매우 중요한 특권적인 것으로 보았으며, 촉각은 다른 기관과 다르게 그것에 해당하는 기관이 없다는 이유로 따로 분류하지 않았다.

아리스토텔레스는 플라톤의 네 가지 요소에 촉각을 더해서 다섯 개의 감각론을 주장하고 이들을 위계적으로 분류했다. 또 기존에 능동적인 지각으로 생각되던 감각을 수용기관으로 규정하고, 감각을 느끼는 것은 직접 접촉을 통하는 것이 아니고, 매질을 통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아리스토텔레스의 감각론은 중세로 넘어가면서 변화한다. 아우구스티누스의 「고백록」을 보면 중세 감각론의 특징이 잘 드러나고 있다. 여기서 그는 다섯 가지 감각을 은유와 비유, 상징의 수단을 갖고 변주하며 신을 찬양한다. 영원 불변하는 초월적인 아름다움은 신을 통해서 드러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신의 은총, 신의 섭리를 읽어야 한다는 것이 아우구스티누스에 와서 변화된 중세 감각론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중세 감각론은 이중화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하나님이 창조한 현재는 한편 아름다운 곳이지만, 단지 스쳐지나가는 곳일 뿐이다. 때문에 신이 창조한 현실 이면에 있는 신의 섭리를 주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 것이다. 그래서 다섯 가지 감각을 통해 지각된 세상에 대해서 경계하는 한편, 다섯 가지 감각을 육체를 떠난 정신화 된 형태로 신에게 바치는, 초월적인 세계에 주목하게 됐다.












또한 초월적인 세계를 표현하는 재료에 있어서 매우 세속적이고 감각적인 재료 취향을 보여주었다. 즉, 초월적 세계라는 형이상학을 현실에서 표현해야 하는 과제가 떨어진 미술가들이 결국 물질이라는 재료를 갖고 작업을 해야 했고, 여기에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해 낸 것이 바로 금박, 은박 등 광채가 나는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라 생각한 것이다. 따라서 가장 감각적이고 관능적이면서, 초월적인 해석이 붙는다는 것. 이것이 중세 감각론을 보는 중요한 포인트라 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배경에서 나타난 중세 예술은 결국 색채가 화려한 예술이 되었다. 고대 그리스의 조각이나 회화가 형(形)을 중요시 했던데 반해, 굉장히 감각적인 색 표현을 통해서 눈에 보이는 모든 것을 초월하는 신학적 의미, 종교적 의미, 초월적 의미를 부여한 것이다. 예컨대 어두운 로마네스크에서 촛불의 빛이 뻗어 나오는 효과라던가, 스테인드 글라스를 설치하여 자연 채광을 활용한 빛의 향연은 대단히 감각적인 효과를 내면서 어떤 초월적 세계를 암시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1. No Image notice by 風文 2023/02/04 by 風文
    Views 15019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2. 친구야 너는 아니

  3. No Image 11Sep
    by 바람의종
    2012/09/11 by 바람의종
    Views 8238 

    큰일을 낸다

  4. No Image 02Feb
    by 바람의종
    2012/02/02 by 바람의종
    Views 8232 

  5. No Image 05Mar
    by 윤안젤로
    2013/03/05 by 윤안젤로
    Views 8220 

    '굿바이 슬픔'

  6. No Image 03Dec
    by 風文
    2014/12/03 by 風文
    Views 8219 

    가을이 떠나려합니다

  7. 화려한 중세 미술의 철학적 기반

  8. No Image 09Aug
    by 風文
    2015/08/09 by 風文
    Views 8210 

    나를 인정해 주는 사람

  9. No Image 21Jan
    by 바람의종
    2013/01/21 by 바람의종
    Views 8204 

    인생 기술

  10. No Image 14Jan
    by 바람의종
    2013/01/14 by 바람의종
    Views 8192 

    그 꽃

  11. No Image 30Oct
    by 바람의종
    2012/10/30 by 바람의종
    Views 8191 

    가장 작은 소리, 더 작은 소리

  12. No Image 13Jun
    by 바람의종
    2012/06/13 by 바람의종
    Views 8178 

    꿈은 춤이다

  13. No Image 24May
    by 바람의종
    2009/05/24 by 바람의종
    Views 8176 

    「출근」(시인 김기택) 2009년 5월 22일_열아홉번째

  14. No Image 03Sep
    by 바람의 소리
    2007/09/03 by 바람의 소리
    Views 8174 

    지금 시작하고, 지금 사랑하자!

  15. No Image 23Sep
    by 바람의종
    2012/09/23 by 바람의종
    Views 8174 

    하루에 한끼만 먹어라

  16. No Image 22Nov
    by 바람의종
    2012/11/22 by 바람의종
    Views 8173 

    더 넓은 공간으로

  17. No Image 29Sep
    by 바람의종
    2008/09/29 by 바람의종
    Views 8171 

    친구라는 아름다운 이름

  18. 연암 박지원의 황금에 대한 생각

  19. No Image 29Oct
    by 바람의종
    2012/10/29 by 바람의종
    Views 8166 

    '홀로 있는 영광'

  20. No Image 23Oct
    by 바람의종
    2008/10/23 by 바람의종
    Views 8165 

    어머니가 촛불로 밥을 지으신다

  21. No Image 25Dec
    by 風文
    2014/12/25 by 風文
    Views 8158 

    명함 한 장

  22. No Image 24Jul
    by 바람의종
    2008/07/24 by 바람의종
    Views 8148 

    소인배 - 도종환

  23. No Image 05Dec
    by 風文
    2014/12/05 by 風文
    Views 8146 

    정답이 없다

  24. No Image 19Feb
    by 바람의종
    2008/02/19 by 바람의종
    Views 8142 

    젊은 날의 초상 中

  25. No Image 28Jan
    by 바람의종
    2008/01/28 by 바람의종
    Views 8141 

    참기름 장사와 명궁

  26. No Image 10Oct
    by 바람의종
    2008/10/10 by 바람의종
    Views 8141 

    혼자서는 이룰 수 없다

  27. No Image 20May
    by 바람의종
    2009/05/20 by 바람의종
    Views 8134 

    「이런 웃음을 웃고 싶다」(시인 김기택)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 122 Next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