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5721 추천 수 2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매일 새로워지는 카피처럼








 지하철을 기다리는 내 모습을 보면, 방송작가라는 게 티가 날지도 모른다. 역내 간이서점 앞에서 부지런히 인쇄물을 훑기 때문이다. 신문이나 잡지 표지를 훑다가 참신한 제목이 나오면 얼른 휴대전화 메모장에 입력한다. 큰 제목들은 독자들을 끄는 중요한 문장이며, 그 매체 편집장들이 머리 빠져가며 지은 것이다. 제목만 메모해 두어도 재미있는 문장을 만드는 데 도움이 된다.


 아인슈타인은 면도할 때 아이디어가 나왔다고 한다. 그런데 나의 아이디어는 극장에서 영화가 시작되기 전 광고가 나올 때 가장 작렬하게 솟구치는 것 같다. 광고는 15초 정도의 짧은 시간 안에 제품을 팔기 위한 온갖 아이디어와 에너지가 농축돼 있기 때문이다. 물론 광고 카피도 부지런히 메모한다. 세태가 녹아 있기 때문에 세상을 읽는 데에는 카피가 아주 충성스러운 바로미터가 돼 준다.


 방송작가가 된 뒤, 내 인생관은 ‘적자생존’이 되었다. 적어야 사는 ‘적자생존’ 말이다. 말이 아주 빠른 진행자와 일하는 나는, 매일 엄청난 양의 원고를 써야 하기 때문에 매일매일 다양한 소재가 필요하다. 커피를 마시다 옆자리에서 들리는 얘기에 귀가 솔깃할 때가 있고, 드라마나 쇼를 보다가, 길을 걷다가 어디서든 보고 느끼고 듣는 것을 메모해 두고, 거기에서 멘트 소재를 얻어낸다.


 최근에는 온라인에서의 만남도 소중해지고 있다. 나는 가까운 이들과의 카페 다섯 개, 잘 모르는 이들과의 카페 열두 개, 그리고 개인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다. 10대부터 5, 60대까지 다양한 세대가 주고받는 세상사를 통해서 요즘 사람들이 무엇을 꿈꾸고 고뇌하며 즐거워하는지도 감 잡고 있다.


 그러나 내가 메모나 만남보다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따로 있다. 그것은 혼자 생각하는 시간이다. 다른 사람과 만나는 시간을 ‘광장’이라 한다면, 혼자 생각하는 시간은 ‘밀실’인 셈이다. ‘무엇을 쓸까, 어떻게 쓸까.’ 혼자 사고하는 시간 없이는 그저 그런, 내 생각은 실종된, 남과 비슷한 원고를 쓰게 되기 때문이다. 매일 새롭게 태어나는 방송작가가 되려면 생각하기를 즐기는 ‘사고(思考)뭉치’가 돼야 한다.


 매일 새로운 카피처럼 되기 위해서 오늘도 나는 ‘적자생존’에 앞서서 ‘사고뭉치’의 시간을 갖는다. 방송이 끝나는 시간도 the end가 아니라 ‘the and’이므로.




 


송정연 님 |<이숙영의 파워 fm>방송작가, 《그래 가끔 하늘을 보자》 저자
-《행복한동행》2008년 6월호 중에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風文 2023.02.04 13543
공지 친구야 너는 아니 1 風文 2015.08.20 102892
2910 행복을 전하는 글 바람의종 2007.12.14 6225
2909 행복을 부르는 생각 바람의종 2012.03.27 6536
2908 행복을 만드는 언어 風文 2015.02.09 6748
2907 행복은 우리에게 있다 風文 2019.08.14 772
2906 행복과 불행은 쌍둥이 형제라고? 바람의종 2007.08.09 22460
2905 행복 습관, 기쁨 습관 風文 2015.01.12 7273
2904 행간과 여백 風文 2023.05.17 787
2903 해법은 있다 바람의종 2012.02.29 4901
2902 항상 웃는 내 모습에 자부심을 갖는다 바람의종 2012.09.18 9315
2901 항상 같은 곳에만 머물러 있다면 바람의종 2012.10.29 10486
2900 함부로 땅을 뒤엎지 말라 바람의종 2009.11.03 5390
2899 함부로 땅을 뒤엎지 말라 바람의종 2011.07.30 5047
2898 함께 책읽는 즐거움 風文 2017.11.29 2844
2897 함께 산다는 것 風文 2014.08.06 10175
2896 함께 산다는 것 風文 2014.12.24 8746
2895 함께 본다는 것 바람의종 2012.11.14 7313
2894 함께 꿈꾸는 세상 바람의종 2011.03.19 3945
2893 함구 바람의종 2011.08.05 5792
2892 할머니의 사랑 바람의종 2009.04.25 6479
2891 할매의 봄날 風文 2015.04.27 7927
2890 할 일의 발견 風文 2014.12.03 7456
2889 한쪽 가슴으로 사랑하기 바람의종 2010.08.20 5195
2888 한숨의 크기 윤안젤로 2013.05.20 11137
2887 한마음, 한느낌 風文 2023.01.21 852
2886 한국말을 한국말답게 風文 2022.01.30 71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22 Next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