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5762 추천 수 2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매일 새로워지는 카피처럼








 지하철을 기다리는 내 모습을 보면, 방송작가라는 게 티가 날지도 모른다. 역내 간이서점 앞에서 부지런히 인쇄물을 훑기 때문이다. 신문이나 잡지 표지를 훑다가 참신한 제목이 나오면 얼른 휴대전화 메모장에 입력한다. 큰 제목들은 독자들을 끄는 중요한 문장이며, 그 매체 편집장들이 머리 빠져가며 지은 것이다. 제목만 메모해 두어도 재미있는 문장을 만드는 데 도움이 된다.


 아인슈타인은 면도할 때 아이디어가 나왔다고 한다. 그런데 나의 아이디어는 극장에서 영화가 시작되기 전 광고가 나올 때 가장 작렬하게 솟구치는 것 같다. 광고는 15초 정도의 짧은 시간 안에 제품을 팔기 위한 온갖 아이디어와 에너지가 농축돼 있기 때문이다. 물론 광고 카피도 부지런히 메모한다. 세태가 녹아 있기 때문에 세상을 읽는 데에는 카피가 아주 충성스러운 바로미터가 돼 준다.


 방송작가가 된 뒤, 내 인생관은 ‘적자생존’이 되었다. 적어야 사는 ‘적자생존’ 말이다. 말이 아주 빠른 진행자와 일하는 나는, 매일 엄청난 양의 원고를 써야 하기 때문에 매일매일 다양한 소재가 필요하다. 커피를 마시다 옆자리에서 들리는 얘기에 귀가 솔깃할 때가 있고, 드라마나 쇼를 보다가, 길을 걷다가 어디서든 보고 느끼고 듣는 것을 메모해 두고, 거기에서 멘트 소재를 얻어낸다.


 최근에는 온라인에서의 만남도 소중해지고 있다. 나는 가까운 이들과의 카페 다섯 개, 잘 모르는 이들과의 카페 열두 개, 그리고 개인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다. 10대부터 5, 60대까지 다양한 세대가 주고받는 세상사를 통해서 요즘 사람들이 무엇을 꿈꾸고 고뇌하며 즐거워하는지도 감 잡고 있다.


 그러나 내가 메모나 만남보다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따로 있다. 그것은 혼자 생각하는 시간이다. 다른 사람과 만나는 시간을 ‘광장’이라 한다면, 혼자 생각하는 시간은 ‘밀실’인 셈이다. ‘무엇을 쓸까, 어떻게 쓸까.’ 혼자 사고하는 시간 없이는 그저 그런, 내 생각은 실종된, 남과 비슷한 원고를 쓰게 되기 때문이다. 매일 새롭게 태어나는 방송작가가 되려면 생각하기를 즐기는 ‘사고(思考)뭉치’가 돼야 한다.


 매일 새로운 카피처럼 되기 위해서 오늘도 나는 ‘적자생존’에 앞서서 ‘사고뭉치’의 시간을 갖는다. 방송이 끝나는 시간도 the end가 아니라 ‘the and’이므로.




 


송정연 님 |<이숙영의 파워 fm>방송작가, 《그래 가끔 하늘을 보자》 저자
-《행복한동행》2008년 6월호 중에서






  1. No Image notice by 風文 2023/02/04 by 風文
    Views 15424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2. 친구야 너는 아니

  3. No Image 12Jul
    by 바람의종
    2008/07/12 by 바람의종
    Views 6475 

    생각의 집부터 지어라

  4. 왕이시여, 어찌 이익을 말씀하십니까?

  5. No Image 09Jul
    by 바람의종
    2008/07/09 by 바람의종
    Views 7062 

    후배 직원을 가족같이 사랑하라

  6. No Image 04Jul
    by 바람의종
    2008/07/04 by 바람의종
    Views 8960 

    이장님댁 밥통 외등

  7. No Image 03Jul
    by 바람의종
    2008/07/03 by 바람의종
    Views 6629 

    얼굴빛

  8. No Image 01Jul
    by 바람의종
    2008/07/01 by 바람의종
    Views 7948 

    雨中에 더욱 붉게 피는 꽃을 보며

  9. No Image 27Jun
    by 바람의종
    2008/06/27 by 바람의종
    Views 6139 

    빈 병 가득했던 시절

  10. No Image 24Jun
    by 바람의종
    2008/06/24 by 바람의종
    Views 7809 

    그 시절 내게 용기를 준 사람

  11. No Image 23Jun
    by 바람의종
    2008/06/23 by 바람의종
    Views 7922 

    여린 가지 / 도종환

  12. 길 떠나는 상단(商團)

  13. No Image 21Jun
    by 바람의종
    2008/06/21 by 바람의종
    Views 7294 

    목민관이 해야 할 일 / 도종환

  14. No Image 19Jun
    by 바람의종
    2008/06/19 by 바람의종
    Views 7321 

    우산

  15. No Image 13Jun
    by 바람의종
    2008/06/13 by 바람의종
    Views 7240 

    지금 아니면 안 되는 것

  16. 화려한 중세 미술의 철학적 기반

  17. No Image 11Jun
    by 바람의종
    2008/06/11 by 바람의종
    Views 5762 

    매일 새로워지는 카피처럼

  18. No Image 09Jun
    by 바람의종
    2008/06/09 by 바람의종
    Views 8078 

    촛불의 의미 / 도종환

  19. No Image 07Jun
    by 바람의종
    2008/06/07 by 바람의종
    Views 6933 

    이로움과 의로움 / 도종환

  20. No Image 02Jun
    by 바람의종
    2008/06/02 by 바람의종
    Views 8021 

    등 / 도종환

  21. No Image 31May
    by 바람의종
    2008/05/31 by 바람의종
    Views 8482 

    폐허 이후 / 도종환

  22. No Image 31May
    by 바람의종
    2008/05/31 by 바람의종
    Views 7004 

    일상의 기회를 만들기 위해

  23. No Image 29May
    by 바람의종
    2008/05/29 by 바람의종
    Views 8883 

    가장 큰 재산 / 도종환

  24. 느낌의 대상에서 이해의 대상으로?

  25. No Image 27May
    by 바람의종
    2008/05/27 by 바람의종
    Views 5353 

    매너가 경쟁력이다

  26. No Image 26May
    by 바람의종
    2008/05/26 by 바람의종
    Views 7331 

    오늘 다시 찾은 것은

  27. No Image 23May
    by 바람의종
    2008/05/23 by 바람의종
    Views 10334 

    초록 꽃나무 / 도종환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Next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