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6959 추천 수 2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이로움과 의로움 / 도종환




맹자가 양혜왕을 만났을 때 왕은 맹자에게 '장차 이 나라를 이롭게 할 어떤 방도를 가지고 왔느냐'고 묻습니다. 그러자 맹자는 '왕이 어찌 이로움을 말하느냐 오직 인과 의가 있을 따름이다.' 하고 대답을 합니다. 『맹자』제 1장 맨 앞에 나오는 이야기입니다. 맹자는 이로움보다는 의로움이 먼저라고 말을 꺼낸 이유를 이렇게 설명합니다.
  
  "만약 왕께서 어떻게 하면 내 나라에 이익이 될까? 하는 것만을 먼저 생각하시면, 대부들도 마찬가지로 어떻게 해야 내 영지에 이익이 될까? 하는 것만을 생각할 것이고, 선비나 서민들까지도 어떻게 하면 나에게 이익이 될까? 하는 것만을 생각할 것입니다. 위아래가 서로 다투어 이익만을 추구하게 되면 나라가 위태로워질 것입니다."
  
  "일만의 십분의 일인 일천을 가졌거나, 일천의 십분의 일인 일백을 가졌다고 하더라도 결코 적게 가졌다고는 말하지 못할 것입니다. 그러나 만약 의(義)를 경시하고 이(利)를 중시한다면 남의 것을 모두 빼앗지 않고서는 만족할 수 없을 것입니다."
  
  왕의 초청을 받고 간 자리에서 맹자는 왕에게 이로움만을 먼저 생각하는 왕이 되어서 안 되는 이유를 이렇게 설명합니다. 당시는 전국시대였습니다. 밖으로는 국가 간의 경쟁은 갈수록 치열해지고, 안으로는 배신과 야합이 그치지 않는 난세였습니다. 왕들은 모두 부국강병을 앞세운 채 천하를 손에 쥐고자 이름난 원로석학을 초빙하여 고견을 듣는 자리를 마련하곤 했는데 맹자도 그렇게 해서 양혜왕과 만나게 되었을 것입니다.
  
  이명박정부가 앞세운 실용은 철저히 이로움에 바탕을 둔 사고방식입니다. 내게 이익이 되느냐 안 되느냐를 바탕으로 사고하고 판단하고 결정합니다. 옳은 일인가 그렇지 않은가는 결정의 주요변수가 아닙니다. 실용주의는 자칫하면 맹자의 경고대로 만족할 줄 모르는 사람, 남의 것을 빼앗아 자기만족을 채우려는 사람들로 가득 찬 사회를 만들게 됩니다. 또한 모든 이의 이익을 만족시켜주는 일이 불가능하므로 자기와 이해관계를 같이 하는 사람들의 이익만을 보장해 주는 정치를 하게 됩니다. 심지어 다른 사람의 생명과 희생을 담보로 해서라도 이익이 된다면 관철하고자 합니다. 미국산 쇠고기 파동의 밑바탕에도 이런 사고방식의 천박함과 미숙함이 깔려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렇게 쉽게 생각하였다가 그것은 옳지 않다고 말하는 전국민적 저항에 부딪히게 된 것입니다. 원로들의 의견을 들어서 민심수습책을 발표하겠다고 하는데 근본적인 문제에 대해 바르게 이야기해 줄 수 있는 원로가 누구일지 궁금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風文 2023.02.04 16776
공지 친구야 너는 아니 1 風文 2015.08.20 106240
2910 행복을 전하는 글 바람의종 2007.12.14 6292
2909 행복을 부르는 생각 바람의종 2012.03.27 6548
2908 행복을 만드는 언어 風文 2015.02.09 6910
2907 행복은 우리에게 있다 風文 2019.08.14 890
2906 행복과 불행은 쌍둥이 형제라고? 바람의종 2007.08.09 22657
2905 행복 습관, 기쁨 습관 風文 2015.01.12 7343
2904 행간과 여백 風文 2023.05.17 945
2903 해법은 있다 바람의종 2012.02.29 4926
2902 항상 웃는 내 모습에 자부심을 갖는다 바람의종 2012.09.18 9419
2901 항상 같은 곳에만 머물러 있다면 바람의종 2012.10.29 10577
2900 함부로 땅을 뒤엎지 말라 바람의종 2009.11.03 5447
2899 함부로 땅을 뒤엎지 말라 바람의종 2011.07.30 5080
2898 함께 책읽는 즐거움 風文 2017.11.29 3010
2897 함께 산다는 것 風文 2014.08.06 10331
2896 함께 산다는 것 風文 2014.12.24 8850
2895 함께 본다는 것 바람의종 2012.11.14 7351
2894 함께 꿈꾸는 세상 바람의종 2011.03.19 4019
2893 함구 바람의종 2011.08.05 5836
2892 할머니의 사랑 바람의종 2009.04.25 6550
2891 할매의 봄날 風文 2015.04.27 8126
2890 할 일의 발견 風文 2014.12.03 7606
2889 한쪽 가슴으로 사랑하기 바람의종 2010.08.20 5253
2888 한숨의 크기 윤안젤로 2013.05.20 11221
2887 한마음, 한느낌 風文 2023.01.21 987
2886 한국말을 한국말답게 風文 2022.01.30 83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22 Next
/ 122